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

  • 이봉춘
  • |
  • 민족사
  • |
  • 2015-02-10 출간
  • |
  • 816페이지
  • |
  • ISBN 978899874242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43,000원

즉시할인가

38,7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8,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책머리에 … 4

제1부
불유교대의 배경과 초기 불교정책

제1장 불유교대의 역사적 배경………………………………………--- 21
Ⅰ. 고려 후기불교의 현실 동향… ……………………………… 23
Ⅱ. 성리학의 전래와 세력 성장… ……………………………… 41
Ⅲ. 신흥 사대부들의 배불 여론 … …………………………… 52
Ⅳ. 여말의 불교 억제책… ………………………………………… 67

제2장 신왕조의 혁신정치와 불교정책……………………………… 75
Ⅰ. 유교적 이념 추구와 배불의지……………………………… 77
Ⅱ. 태조의 신불과 불교정책 방향……………………………… 91
Ⅲ. 유신들의 척불양상… ………………………………………… 109
제3장 태종대의 배불 단행과 논거…………………………………… 127
Ⅰ. 불사 설행과 배불 시도… …………………………………… 129
Ⅱ. 배불정책의 단행과 결과……………………………………… 147
Ⅲ. 태종의 대불태도의 이중성… ……………………………… 163
Ⅳ. 배불의 논거와 명분 …………………………………………… 179
제4장 세종대의 배불계승과 변화… ………………………………… 191
Ⅰ. 흥유시책의 배불적 의미………………………………………… 193
Ⅱ. 치세 전기의 배불시책… ………………………………………… 202
Ⅲ. 불사설행과 대불인식의 변화…………………………………… 218
Ⅳ. 후기의 불사와 유신들의 저항… ……………………………… 232


제2부
배불의 강화와 고착

제1장 성종대 유교정치와 배불 강화… …………………………… 251
Ⅰ. 왕실불교와 유신세력의 대립… …………………………… 253
Ⅱ. 세조대 흥불정책의 철폐……………………………………… 260
Ⅲ. 친정 이후의 유교정치와 배불……………………………… 271
Ⅳ. 승니사태와 도승법 정지……………………………………… 282
제2장 연산군의 배불책과 파불의 동인…………………………… 303
Ⅰ. 갑자사화 이전의 배불책……………………………………… 305
Ⅱ. 사화 이후의 배불 전개… …………………………………… 318
Ⅲ. 파불적 정책 추이의 동인 …………………………………… 329
제3장 중종대 배불정책과 그 성격…………………………………… 339
Ⅰ. 불교정책의 배경 세력들……………………………………… 341
Ⅱ. 사림파 부상의 배불적 의미………………………………… 346
Ⅲ. 배불 유형과 그 성격…………………………………………… 352
Ⅳ. 역승급패 시행의 사정………………………………………… 364

제3부
흥불정책과 교단의 자립활동

제1장 전기 숭불주들의 흥불정책…………………………………… 377
Ⅰ. 숭불주 출현의 배경과 요인… ……………………………… 380
Ⅱ. 숭불주들의 흥불정책 개요… ……………………………… 385
Ⅲ. 흥불정책의 특징과 의미……………………………………… 400
제2장 불전언해와 그 사상… …………………………………………… 413
Ⅰ. 불전언해 착수와 그 경과… ………………………………… 415
Ⅱ. 언해자의 법통과 신불사상… ……………………………… 424
Ⅲ. 언해 불전으로 본 사상 경향… …………………………… 436
Ⅳ. 불전언해 사업의 사상적 이념……………………………… 443
제3장 교단의 경제현실과 대응………………………………………… 451
Ⅰ. 전기의 경제적 제재와 억압… ……………………………… 453
Ⅱ. 중기 이후의 경제적 수탈과 잡역… ……………………… 463
Ⅲ. 불교교단의 자구적 경제활동……………………………… 470
제4장 불교의 자립노력과 현실참여………………………………… 479
Ⅰ. 산중불교화와 현실과제… …………………………………… 481
Ⅱ. 불교교단의 자립·자활 노력………………………………… 487
Ⅲ. 대사회·국가적 현실 참여…………………………………… 496
Ⅳ. 불교의 새로운 존재방식과 그 의미……………………… 513
제5장 왕실과 일반대중의 관음신앙………………………………… 519
Ⅰ. 선초 왕실의 관음신앙 전승………………………………… 521
Ⅱ. 일반대중의 관음신앙과 그 성격…………………………… 533
Ⅲ. 조선 말기 묘련사 관음결사………………………………… 550
제6장 도총섭 제도의 발생과 확대…………………………………… 567
Ⅰ. 조선 전기 승직의 변천………………………………………… 569
Ⅱ. 도총섭 제도의 발생… ………………………………………… 579
Ⅲ. 총섭직의 확대 운영… ………………………………………… 582
Ⅳ. 승풍 규정과 도총섭… ………………………………………… 588

제4부
조선불교의 인물과 사상

제1장 역사적 전환

도서소개

통사적인 입장에서 조선시대 불교사를 연구한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 불교는 조선시대 내내 억압의 대상 1호였고, 비판의 대상이었다. 이로 인하여 인적 물적 억압과 종교적 침체, 그리고 교학적 사상적인 쇠퇴가 수반되었다. 이 시대 불교인들의 생존방식은 힘겨운 나날이었다. 그러나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 부정적으로만 보면 다른 것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역사를 공부하는 학자는 어떤 사건을 단언하기 보다는 종합적인 이유를 고찰하고 비평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책은 통사적인 입장에서 조선시대 불교사를 연구한 것이다. 조선시대 불교사는 신라, 고려시대 불교사에 비하여 우울한 장면, 때론 비참한 장면이 많다. 정치, 이념적인 억압으로 인하여 불교는 조선시대 내내 기를 펴지 못하고 살았다. 불교는 조선시대 내내 억압의 대상 1호였고, 비판의 대상이었다. 이로 인하여 인적 물적 억압과 종교적 침체, 그리고 교학적 사상적인 쇠퇴가 수반되었다. 이 시대 불교인들의 생존방식은 힘겨운 나날이었다. 그러나 부정적으로만 볼 필요는 없다. 부정적으로만 보면 다른 것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역사를 공부하는 학자는 어떤 사건을 단언하기 보다는 종합적인 이유를 고찰하고 비평하는데 초점을 두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야만 역사는 발전하기 때문이다.

<저자의 서문>

책머리에

한국불교사에서 조선시대의 불교는 여전히 어둠 속에 남겨져 있다. 그 역사 과정에 대한 불편한 기억들 때문이다. 정치로부터 한결같이 강제되어 온 피지배적 상황, 인적 물적 억압과 종교적 침체, 교학과 사상의 쇠퇴, 불교인들의 힘겨운 생존방식 등 이 시대 불교의 경험들 대부분은 우울하다. 이런 기억들을 되짚는 일이 마음 편할 리 없다. 조선불교의 역사는 찬연한 신라불교나 국교의 지위를 누린 고려불교와 대비되면서, 그 쇠락상이 더욱 부각된 측면도 있다. 어떻게 말하든, 그동안 한국불교사 연구에서 조선불교가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온 것은 이런 사정들과 무관하지 않다.
이처럼 이른바 인기 없는 조선불교를 마음에 두고 숙제로 삼아 온 지 벌써 많은 세월이 지났다. 돌아보건대, 1975년 대학원에 진학하여 불교학을 공부하면서 나의 학문적 관심은 역사분야 연구에 기울고 있었다. 불교의 순수 교학과 사상 또는 신앙의 중요성을 모를 바는 아니었다. 또 역사의 전개에도 그것의 내용들이 어떤 형태로든 관련되고 작용한다는 사실도 어렴풋이 짐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교학·사상·신앙과 같이 관념성 혹은 선택적 지지를 필요로 하는 문제들보다는 그 구체적 현실태로서 인간 삶의 궤적을 보여주는 역사문제가 내게는 우선의 관심사로 들어왔다. 교학 사상 등의 문제는 어떤 한 가지 틀로만 고정시킬 수 없으며 다분히 주관적인 관점과 해석에 따라 얼마든지 가변적일 수 있다. 바로 그런 점 때문에 인간의 경험적 사실을 말하는 역사문제의 규명 쪽에 더 마음이 끌린 셈이다.
이런 이유들로 광범한 불교사 가운데서도 한국불교사를 전공으로 선택한 내게 조선불교는 특별한 의미로 다가왔다. 처음에 그것은 상식과 선입견 수준 그대로 어둠 짙은 한 시대의 역사로만 읽혀졌다. 하지만, 점차 조선불교에서는 우리가 많은 부분들을 쉽게 간과해 왔음을 느낄 수 있었다. 일찍이 경험해 보지 않은 5백 년의 기나긴 역경을 겪으면서도 불교의 생명력을 끝까지 유지해 온 이 시대 불교인들의 의지와, 고난 극복을 위한 다방면의 활동 노력들이 특히 그러하였다. 내가 이런 조선불교를 연구하겠다고 결심을 굳히게 된 데에는 아직도 이 분야가 상당 부분 미답지로 남아 있다는 사실도 크게 작용하였다.
그러나 여기에는 그동안 관심 받지 못해 온 이 시대 불교에서 의외의 건강함과 긍정성을 말할 수도 있겠다는 기대와 희망이 더 컸다. 도대체 조선불교의 실상은 어떤 것인가. 억불과 배불은 오로지 정치상의 문제이기만 한 것인가. 이 시대 불교전반을 침체와 쇠퇴로만 규정할 수 있는가. 기존의 시각에 대한 반성적 의미에서 조선불교를 오히려 과대평가하는 듯한 인식은 타당한가. 불교의 본질에 비추어 새롭게 바라보아야 할 이 시대 불교의 또 다른 면모는 없는가. 결국 조선불교를 어떻게 성격 지우고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인가. 이 같은 문제의식들 속에서 진행해 온 그동안의 조선불교에 대한 탐구와 천착이 나에게는 큰 기쁨이었고 일종의 사명과도 같았다.
이 책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는 이런 나의 오랜 관심과 애착으로 얻게 된 한 작은 결과물이다. 그러나 의욕만 앞세웠을 뿐 지닌 재주와 능력의 한계로 겨우 노력의 흔적 정도를 모아 놓은 것이어서 부끄러운 마음뿐이다. 여기에 실은 글들은 그동안 여러 학술지에 발표해 온 논 문들을 모아 재정리 한 것으로, 처음부터 한 권의 저술로 기획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서로 다른 시기에 쓴 글들을 한데 모으다 보니 다소의 중복이 불가피하였고, 각 부별 분류와 배열 또한 적합하지 못한 점이 있다. 다만 조선불교의 실상을 규명해 보고자 했던 출발 시점의 내 본래 의도는 어느 정도 반영된 것으로 자위를 삼고 있다.

내용 구성

「조선시대 불교사 연구」부별 내용의 개요를 간추려 말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제1부 불유교대의 배경과 초기 불교정책

불교와 유교가 교대하는 역사적 배경으로서 먼저 주목한 바는 고려 후기 불교 특히 그 말기 불교의 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