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반공학의 기본적 이론과 해설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풍부한 그림을 제시한 핵심 지침서!
『지반지질공학의 기초』는 토목공학과 학부 과정의 지반공학, 대학원 과정의 지반공학과 토목지질학의 핵심을 포함하지만 강의노트를 모은 것은 아니다. 본 도서는 지반 프로젝트의 설계에 유용한 도표 및 해석을 포함하고 있으나 설계지침서는 아니다. 본 도서는 모든 지반공학의 주제를 강조하는 기본적 이론과 해석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풍부한 그림을 제시하는 일종의 요약서이다.
이 책은 임계상태토질역학(Critical State Soil Mechanics)을 근간으로 토질역학, 기초공학 및 토목지질학 분야의 핵심 주제를 다루고 있다. 본 도서의 원제는 “Fundamentals of Ground Engineering”인데 Ground Engineering은 지반공학 및 토목지질학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심사숙고 끝에 역자는 지반공학이 아닌 지반지질공학으로 번역했다. 용어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critical은 임계(臨界)로, limit/limiting은 한계(限界)로 번역했다. 원문에는 다양한 형태의 오류가 존재하지만 모두 적절히 수정했으며,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 문구를 추가했다. 본 도서는 저자의 이전 도서인 “The Mechanics of Soils and Foundations, 2nd Edition”(Taylor & Francis, 2007)의 요약판에 가깝다고 할 수 있는데, 본 도서의 학습 후 심화학습을 위해 일독을 권한다.
이 책을 소설처럼 처음부터 끝까지 순차적으로 읽을 필요는 없다. 이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학습에 대한 주제를 선정하고 본 도서가 무엇을 논의하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그 후 특정 주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도서를 찾아야 하지만, 그 도서의 내용이 본 도서에서 논의한 간단한 기본 역학이론 및 해석과 일치하는지를 확인해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학습은 도시의 지도를 탐색하는 것과 유사하고, 목적지는 다양하지만 독자들은 각 모퉁이에서 어디로 가는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