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마워, 권지수 교육학

고마워, 권지수 교육학 교원임용고사 대비 기본서

  • 권지수
  • |
  • 박문각
  • |
  • 2017-01-10 출간
  • |
  • 856페이지
  • |
  • ISBN 979117023813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4,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Part 01 교육과정

Chapter 01 교육과정 개발 

Section 01 교육과정 개발 절차 

01 교육목표의 설정 

02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 

 

Section 02 교육과정 개발 모형

01 타일러(Tyler)의 합리적 모형

02 타바(Taba)의 교사 중심 모형 

03 스킬벡(Skilbeck)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모형(SBCD)

04 위긴스와 맥타이(Wiggins & McTighe)의 백워드 설계 모형 

05 슈왑(Schwab)의 실제적 개발 모형 

06 워커(Walker)의 숙의(熟議) 모형(실제적 개발 모형) 

07 아이즈너(Eisner)의 예술적 접근 모형 

08 교육과정 연구의 접근방법과 재개념주의 

 

Chapter 02 교육과정 유형

Section 01 공식적 교육과정 

01 교과 중심 교육과정(1920년대 이전) 

02 경험 중심 교육과정(1920~1950년대) 

03 학문 중심 교육과정(1960~1970년대)

04 인간 중심 교육과정(1970년대 이후)

05 통합 교육과정

 

Section 02 잠재적 교육과정

01 개 념 

02 잠재적 교육의 장(場) 

03 특 징

04 의 의

05 잠재적 교육과정을 고려한 교육과정 개발 

 

Section 03 영 교육과정

01 개 념 

02 특 징

03 의 의 

 

Chapter 03 우리나라 교육과정

Section 01 교육과정의 결정 및 운영

01 교육과정의 결정

02 학교 교육과정의 운영 

Section 02 2015 개정 교육과정 

01 2015 개정 교육과정

02 자유학기제

 

Part 02 교육심리학

Chapter 01 학습자의 특성

Section 01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01 지능(intelligence) 

02 창의성 

03 인지양식(Cognitive style) 

 

Section 02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01 자아개념(self concept) 

02 동기이론(motivation theory) 

 

Chapter 02 학습자의 발달 

Section 01 인지발달 이론 

01 피아제(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02 비고츠키(Vygotsky)의 인지발달 이론 

 

Section 02 성격발달 이론 

01 프로이드(Freud)의 성격발달이론 

02 에릭슨(Erikson)의 성격발달이론

03 마샤(Marcia)의 정체감 지위(identity status) 이론 

 

Section 03 도덕성 발달이론

01 피아제(Piaget)의 도덕성 발달이론 

02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 

 

Section 04 사회성 발달이론

01 셀만(Selman)의 사회적 조망수용이론(사회인지 발달이론)

 

Section 05 생태학적 발달이론 

01 개 관 

02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생태학적 환경의 구조체계 

03 이론에 대한 평가 

 

Chapter 03 학습자의 학습 

Section 01 행동주의 학습이론 

01 파블로프(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이론 

02 손다이크(Thorndike)의 도구적 조건형성 이론 

03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

 

Section 02 사회인지 학습이론

01 기본 입장

02 모델링 이론(관찰학습 이론, modeling, observational learning theory)

03 관찰학습(모델링)의 과정 

04 자기조절(self-regulation) 

05 사회인지 학습이론의 교육적 시사 및 적용 

 

Section 03 인지주의 학습이론 

01 형태주의 학습이론 

02 정보처리이론(Information-Processing Theory) 

03 대안 모형 

 

Section 04 인본주의 학습이론

01 개 관 

02 인간에 대한 기본가정 

03 학습이론의 특징 

04 학습원리 

05 비 판 

 

Section 05 전이와 망각

01 전이(transfer) 

02 망각(forgetting) 

 

Chapter 04 적응과 부적응 

Section 01 부적응 

01 개 념 

02 스트레스의 유형 

 

Section 02 적응기제

01 적응기제 

02 방어기제 

03 도피기제 

04 공격기제

 

Part 03 교수학습 및 교육공학

Chapter 01 교수학습 

Section 01 교수설계 

01 교수·학습의 이해

02 교수설계모형(instructional design model) 

 

Section 02 교수이론(교수·학습이론) 

01 완전학습모형 

02 탐구·발견식 교수이론 

03 오수벨(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이론 

04 가네(Gagne?a)의 목표별 수업이론

05 교수내용 조직전략 이론 

06 구성주의 교수이론 

 

Section 03 교수방법(교수·학습방법)

01 강의법 

02 문답법 

03 토의법 

04 문제해결학습(Dewey, problem method) 

05 프로젝트학습(구안법, project method) 

06 자기주도학습(SDL:Self-Directed Learning) 

07 개별화 학습(individualized instruction) 

08 협동학습(cooperative learning) 

 

Chapter 02 교육공학 

Section 01 교육공학의 이해 

01 교육공학(Educational technology)의 개념 

02 교수·학습에 대한 교육공학적 접근의 특징 

03 교육공학의 역사 

 

Section 02 교수매체(수업매체) 

01 교수(수업)매체

02 교수매체의 선정과 활용 

 

Section 03 교수·학습의 혁신 

01 원격교육(distance education) 

02 블렌디드 러닝과 플립드 러닝

 

Part 04 교육평가

Chapter 01 교육평가 

Section 01 교육평가의 이해

01 개 관 

02 평가관 

03 평가의 절차와 오류 

 

Section 02 교육평가의 모형 

01 가치중립모형(목표달성모형, goal attainment model) 

02 가치판단모형(judgement-oriented evaluation) 

03 의사결정모형 

 

Section 03 교육평가의 유형 

01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 

02 평가시기에 따른 유형

03 수행평가(performance assessment) 

04 성취평가(achievement assessment) 

05 기타 평가 유형

 

Chapter 02 평가도구 

Section 01 평가도구 

01 평가도구의 양호도 

02 평가도구의 제작 

 

Section 02 문항분석

01 고전검사이론(classical test theory) 

02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Part 05 생활지도와 상담

Chapter 01 생활지도

Section 01 생활지도의 이해 

01 생활지도의 원리 

02 생활지도의 과정(주요 영역) 

Section 02 생활지도의 실제 

01 청소년 비행이론

02 진로지도 이론 

 

Chapter 02 상담활동 

Section 01 상담활동의 이해 

01 상담의 기본조건 

02 상담의 대화기법 

 

Section 02 상담이론 

01 정신역동적 상담이론 

02 행동중심 상담이론(행동주의 상담이론) 

03 인지중심 상담이론(인지적 상담이론) 

04 정서중심 상담이론(인본주의 상담이론) 

05 기타 상담이론

 

Part 06 교육행정학

Chapter 01 교육행정 이론

Section 01 교육행정의 개념 

01 교육에 관한 행정(법규해석적·공권적 입장)

02 교육을 위한 행정(조건정비적·기능학설적 입장) 

03 행정과정론(administrational process) 

04 행동과학적 교육행정(사회과학적 입장) 

05 정책실현설 

 

Section 02 교육행정의 이론 

01 과학적 관리론 

02 관료제 이론(Bureaucracy theory) 

03 인간관계론 

04 체제이론(system theory) 

05 사회과정(Social Process)이론 

06 의사결정이론(decision-making theory)

07 지도성 이론(leadership theory)

08 동기이론(motivation theory) 

09 의사소통이론(communication theory)

 

Chapter 02 학교조직 이론 

Section 01 학교조직론 

01 학교조직론 

02 조직과 갈등관리 

03 학교의 재구조화(restructuring) 

04 조직풍토(Organizational Climate) 

05 조직문화(organizational culture) 

 

Section 02 장학(supervision) 

01 장학(supervision)의 개요 

02 장학(supervision)의 유형 

 

Section 03 학교경영과 학급경영 

01 학교경영 

02 학급경영 

 

Section 04 교원의 능력개발 

01 개 념 

02 현직교육 

 

Section 05 교육재정론 

01 개 요 

02 교육비 

03 지방교육재정 

04 교육예산제도

 

Part 07 교육사회학

Chapter 01 교육사회학 이론 

Section 01 교육사회학의 개요

01 교육사회학의 개념 

02 교육사회학의 시작

03 교육사회학 연구방법 

 

Section 02 구교육사회학 

01 기능이론(functionalism) 

02 갈등이론(contradiction theory) 

 

Section 03 신교육사회학 

01 개 관 

02 신교육사회학의 주요 이론들 

 

Chapter 02 교육과 사회 

Section 01 교육과 사회화

01 사회화(socialization) 

02 사회이동과 교육

03 문화와 교육 

04 시험의 기능

 

Section 02 교육과 사회평등 

01 교육과 사회평등 

02 교육평등관 

03 교육격차 인과론(학업성취 격차이론) 

 

Section 03 학력상승이론

01 학습욕구이론

02 기술기능이론 

03 (신)마르크스이론 

04 지위경쟁이론(권력경쟁이론) 

05 국민통합론(국민형성론) 

 

Chapter 03 평생교육과 다문화교육 

Section 01 평생교육

01 개 관 

02 평생교육의 구현 

 

Section 02 다문화교육 

01 개 관

02 다문화교육의 내용 

 

Section 03 영재교육 

01 영재의 정의(개념) 

02 영재교육의 방법 

 

Part 08 교육철학

Chapter 01 교육철학 일반 

Section 01 교육의 개념과 목적 

01 교육의 개념 

02 교육의 목적 

 

Section 02 지식과 경험 

01 지식과 교육

02 프래그머티즘(pragmatism)과 듀이(J. Dewey) 

 

Chapter 02 현대 교육사조

Section 01 현대 교육사조Ⅰ

01 진보주의(Progressivism, 1920년대) 

02 본질주의(Essentialism, 1930년대) 

03 항존주의(Perennialism, 영원주의, 1940년대) 

04 (문화)재건주의(Reconstructionism, 1950~60년대) 

 

Section 02 현대 교육사조Ⅱ 

01 실존주의(실존적 현상학, Existentialism, Existential phenomenology)

02 분석철학(Analytic philosophy)

03 비판이론(Critical theory, 비판적 교육학, 해방적 교육학 ? 마르크스주의의 르네상스)과 교육 

04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Part 09 서양교육사

Chapter 01 고대 교육사상 

Section 01 고대 교육사상가Ⅰ

01 소피스트(Sophist)

02 소크라테스(Socrates) 

 

Section 02 고대 교육사상가Ⅱ 

01 플라톤(Platon) 

02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Chapter 02 근대 교육사상 

Section 01 근대 교육사상가Ⅰ 

01 근대 교육사상의 전개 과정

02 루소(Rousseau) 

 

Section 02 근대 교육사상가Ⅱ

01 페스탈로치(J. H. Pestalozzi, 1746~1827) 

02 헤르바르트(J. F. Herbart, 1776~1841) 

 

Part 10 한국교육사

한국교육사 

Section 01 고등교육기관의 이해 

01 고구려의 태학(太學)

02 통일신라시대의 국학(國學) 

03 고려시대 

04 조선시대의 성균관(成均館) 

 

Section 02 인재선발방식의 이해 

01 신라와 통일신라 

02 고려와 조선

Section 03 조선시대의 교육사상 

01 성리학(性理學) 

02 실학(實學)


저자소개

약 력

- 고려대학교 대학원

- 박문각임용고시학원 교육학논술 초빙교수

- 박문각임용고시학원 논술·면접 초빙교수

- 교원대학교, 대구대학교, 제주대학교, 한양대학교 특강 교수

- 대검찰청 미래기획단 형사법 단원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소 연구원 

도서소개

본 서적은 최적화(最適化)되어 있다. 무엇엔가 가장 알맞다는 것이다. 무엇에 가장 알맞은가는 그 서적의 성격을 결정한다. 본 서적은 철저히 교육학 수험서를 지향하며, 그런 점에서 수험서로서 가장 최적화되어 있다. 따라서 교육학의 각 분과 학문 영역을 철저히 수험 적합형으로 최적화시켜 가장 능률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본 서적의 출간의도가 있다.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본 서적은 교육학의 모든 분과 학문 영역을 핵심 중심으로 간결하게 요약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되 한 권으로 끝낼 수 있도록 하였다.


출판사 서평

본 서적은 철저히 시험에서 승리하기 위해 태어났다. 그 시험이 임용시험이든 행정고시 또는 교육전문직 시험이든 대학원이나 대학의 학과시험이든 불문한다. 본 서적을 통해 시간과 경제의 비용을 절감하면서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필자는 본 서적을 집필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였지만 아직 부족한 점도 일부 엿보인다. 이는 향후 개정판을 통해 보완할 것을 약속드리며, 모쪼록 본 서적이 교육에 헌신하고자 하는 동도제현께 탁월한 선택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