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이웅 교육학(2010)

이웅 교육학(2010)

  • 이웅
  • |
  • 형설
  • |
  • 2010-01-10 출간
  • |
  • 1113페이지
  • |
  • 257 X 188 mm
  • |
  • ISBN 9788956433592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4,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비자에 보면 수주대토(守株待兎)라는 말이 나온다. 이는 한 농부가 우연히 나무의 그루터기에 부딪쳐 죽은 토끼를 얻게 된 후부터 농사에 힘쓰지 않고 그루터기만 지키고 있다가 일 년 농사를 망쳤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시대 변화에 불구하고 변화에 대처함이 없이 변통할 줄 모르는 사람들을 빗대어 하는 말이다. 따라서 변화하는 시대에 교육학에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교육학 시험을 치르는데 교육학의 과목이 광범위하고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 매우 어려운 과목이기도 하다. 이에 대비하여 본서만 충실히 학습하면 고득점을 얻을 수 있도록 엮은 교육학 수험서이다. 본서의 편저자는 서울 교육연수원 또는 노량진 수험가나 대학에서 수많은 수험생들에게 25년 넘게 강의하면서 교육학이 너무 방대한 영역인 데도 물구하고 이를 체계적이고 조직적으로 학습하는 데에 어려웠던 것을 감안하여 최대한 체계화하여 각 단원을 일목요연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본서의 특성은, 첫째 각 단원별로 전체적인 윤곽을 통찰할 수 있도록 기본핵심이론을 제시하였으며, 둘째 교육학시험에 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mindmap으로 정리함으로써 출제 경향에 맞는 분석적 방법에 중점을 두고 발간하였다. 셋째 기본문제를 통해 원리정립을 재확인하였고, 넷째 심화 문제를 통해 최근에 변화된 이해력과 적응력을 길러줌으로써 교육학에서 통찰력을 길러 이해함으로써 수험생들께 혼동을 피할 수 있도록 핵심 통합적인 영역을 철저히 분석하여 구성하였다.

목차

제1단계 : 합격강의노트
제1장 | 교육의 기초
교육의 기초 01 교육개념 정의의 의의 / 10
교육의 기초 02 서양의 두 가지 교육관-주형관과 성장관 / 11
교육의 기초 03 교육개념 정의의 두 가지 접근 / 12
교육의 기초 04 교육개념의 규범적 정의 / 13
교육의 기초 05 교육개념의 서술적 정의 / 15
교육의 기초 06 교육개념의 준거 / 16
교육의 기초 07 교육과 훈련 / 17
교육의 기초 08 교육과 교화 / 18
교육의 기초 09 교육목적의 의의 / 18
교육의 기초 10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 19
교육의 기초 11 우리나라의 교육목적 / 20
교육의 기초 12 형식적 교육과 비형식적 교육 / 21
교육의 기초 13 학교교육 / 21
교육의 기초 14 성인교육(Andragogy) / 24
교육의 기초 15 사회교육 / 25
교육의 기초 16 평생교육 / 28
교육의 기초 17 평생교육과 평생교육의 구현방안 / 31
교육의 기초 18 자유교양교육(liveral education) / 34
교육의 기초 19 전인교육 / 35
교육의 기초 20 인성교육4 / 36
교육의 기초 21 영재교육 / 37
교육의 기초 22 특수교육(특수교육진흥법의 주요내용) / 39
교육의 기초 23 환경교육 / 41
교육의 기초 24 북한의 교육 / 44
교육의 기초 25 통일교육 / 47

제2장 | 서양교육사 및 교육철학
서양교육사 01 고대 그리스 교육의 특성 / 53
서양교육사 02 스파르타위 교육 / 54
서양교육사 03 아테네의 교육 / 55
서양교육사 04 소피스트의 교육사상 / 56
서양교육사 05 소크라텍스의 교육사상 / 57
서양교육사 06 플라톤의 교육사상 / 59
서양교육사 07 아리스토텔레스의 교육사상 / 61
서양교육사 08 고대 로마의 특성과 로마 교육의 시대구분 / 63
서양교육사 09 고대 로마의 교육 / 64
서양교육사 10 고대 로마의 교육사상 / 65
서양교육사 11 서양 중세의 기독교 교육 / 67
서양교육사 12 중세의 교회학교 / 67
서양교육사 13 수도원학교 / 68
서양교육사 14 스콜라 철학과 그 영향 / 70
서양교육사 15 중세의 기사교육 / 71
서양교육사 16 중세의 시민학교 / 73
서양교육사 17 중세 대학의 성립과 발전 / 74
서양교육사 18 르네상스와 르네상스 인문주의 교육의 특성 / 75
서양교육사 19 르네상스 인문주의 교육의 유형 / 77
서양교육사 20 인문주의 교육사상가 / 79
서양교육사 21 종교개혁과 르네상스 인문주의의 비교 / 80
서양교육사 22 신교의 종교관과 교육관 / 81
서양교육사 23 신교와 구교의 교육할동 / 82
서양교육사 24 루터의 교육사상 / 83
서양교육사 25 실학주의의 의의 / 84
서양교육사 26 실학주의 교육사상의 유형 / 86
서양교육사 27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 88
서양교육사 28 로크의 교육사상 / 91
서양교육사 29 계몽사상과 18세기 교육 / 93
서양교육사 30 루소의 교육사상 / 95
서양교육사 31 범애주의 교육사상 / 99
서양교육사 32 19세기 신인문주의 교육의 특성 / 101
서양교육사 33 페스탈로치의 교육사상 / 102
서양교육사 34 프뢰벨의 교육사상 / 105
서양교육사 35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 / 107
서양교육사 36 국가주의와 피히테의 교육사상 / 109
서양교육사 37 산업혁명과 교육 / 110
서양교육사 38 근대공교육제도의 수립 / 112
서양교육사 39 19세기 신교육운동 / 115
서양교육사 40 몬테소리의 교육사상 / 117
서양교육사 41 니일(A. S. Neill, 18841973)의 교육사상 / 119
교육철학 42 교육철학의 의미와 기능 / 120
교육철학 43 방법적 지식 / 121
교육철학 44 명제적 지식 / 121
교육철학 45 귀납법과 지식 / 122
교육철학 46 연역법과 지식 / 123
교육철학 47 전통적 교육철학 / 124
교육철학 48 실용주의 / 125
교육철학 49 듀이의 교육철학 / 127
교육철학 50 진보주의 / 129
교육철학 51 본질주의 / 131
교육철학 52 항존주의 / 132
교육철학 53 재건주의 / 134
교육철학 54 현상학 / 135
교육철학 55 해석학 / 137
교육철학 56 실존주의 / 139
교육철학 57 실증주의 / 141
교육철학 58 분석적 교육철학 / 142
교육철학 59 비판이론 / 143
교육철학 60 구조주의(structuralism) / 144
교육철학 61 포스트모더니즘 / 145

제3장 | 한국교육사 및 동양철학
한국교육사 01 고구려와 백제의 교육 / 148
한국교육사 02 화랑도 / 149
한국교육사 03 통일신라의 국학과 독서삼품과 / 151
한국교육사 04 신라의 교육사상 / 152
한국교육사 05 고려시대 교육의 특성 / 153
한국교육사 06 고려의 국자감 / 155
한국교육사 07 고려의 학당과 향교 / 158
한국교육사 08 고려의 과거제도와 교육 / 159
한국교육사 09 고려의 사학 - 12도와 서당 / 160
한국교육사 10 유교사상의 전개 / 161
한국교육사 11 공자의 교육사상 / 162
한국교육사 12 맹자의 교육사상 / 164
한국교육사 13 성리학과 주자의 교육사상 / 165
한국교육사 14 성리학의 학습관과 교사관 / 168
한국교육사 15 양명학 / 169
한국교육사 16 성리학의 전래와 그 영향 / 170
한국교육사 17 조선 성리학의 교육연구 / 170
한국교육사 18 주리론과 주기론 / 172
한국교육사 19 권근의 교육사상 / 173
한국교육사 20 이황의 교육사상 / 173
한국교육사 21 이이의 교육사상 / 175
한국교육사 22 조선교육의 특징 / 177
한국교육사 23 조선의 교육적 인간상-선비 / 78
한국교육사 24 조선의 관학(1)-성균관 / 179
한국교육사 25 조선의 관학(2)-4학 / 181
한국교육사 26 조선의 관학(3)-향교 / 182
한국교육사 27 조선의 잡학교육 / 184
한국교육사 28 조선의 과거제도 / 185
한국교육사 29 조선의 서당 / 187
한국교육사 30 조선의 서원 / 189
한국교육사 31 실학(實學)의 의의 / 190
한국교육사 32 실학자들의 교육사상 / 192
한국교육사 33 혜강 최한기(1803~1877)의 교육사상 / 94
한국교육사 34 실학의 교육개혁론 / 195
한국교육사 35 개화사상의 교육관 / 197
한국교육사 36 개화기 정부의 교육정책(1876~1894) / 197
한국교육사 37 개화기의 신식관립학교 / 198
한국교육사 38 개신교와 근대학교 / 199
한국교육사 39 갑오개혁과 근대적 교육제도의 도입 / 201
한국교육사 40 개화기의 전통교육 / 201
한국교육사 41 교육입국조서 / 202
한국교육사 42 근대학교의 개황 / 203
한국교육사 43 갑오개혁기 정부의 교육정책 / 204
한국교육사 44 갑오교육개혁에 대한 평가 / 205
한국교육사 45 개화기(1894~1910)의 민족교육운동 / 206
한국교육사 46 개화기의 민족사학 / 206
한국교육사 47 교육구국운동 / 208
한국교육사 48 근대의 교육사상가 / 209
한국교육사 49 일제하 교육의 전개 / 210
한국교육사 50 일제의 우민화 교육정책 / 213
한국교육사 51 일제하 민족교육운동 / 215
한국교육사 52 미군정하 교육 / 217
한국교육사 53 미군정하 교육운동 / 219

제4장 | 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01 교육사회학 이론의 유형 / 221
교육사회학 02 기능이론 / 222
교육사회학 03 사회화에 대한 기능주의 사회학자들의 입장 / 224
교육사회학 04 기술기능이론 / 226
교육사회학 05 인간자본론 / 227
교육사회학 06 갈등이론 / 228
교육사회학 07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비교 / 230
교육사회학 08 경제적 재생산론 / 2132
교육사회학 09 문화적 재생산론 / 233
교육사회학 10 문화적 헤게모니론 / 233
교육사회학 11 자본주의 국가론 / 234
교육사회학 12 문화적 제국주의론 / 235
교육사회학 13 저항이론 / 236
교육사회학 14 해석적 접근 / 237
교육사회학 15 사회화에 대한 해석적 접근 / 239
교육사회학 16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 241
교육사회학 17 교사의 생존전략과 방어적 수업 / 242
교육사회학 18 낙인과 상호작용 / 244
교육사회학 19 신교육사회학 / 245
교육사회학 20 신교육사회학의 이론들 / 248
교육사회학 21 교육과정 사회학 / 247
교육사회학 22 교육과 문화 / 248
교육사회학 23 사회화의 기관 / 250
교육사회학 24 사회이동 / 251
교육사회학 25 기능론과 갈등론의 교육선발관 / 252
교육사회학 26 엘리트주의와 평등주의의 선발관 / 252
교육사회학 27 호퍼의 교육선발 유형 / 253
교육사회학 28 터너의 교육선발 유형 / 254
교육사회학 29 우리나라의 교육선발 / 255
교육사회학 30 시험의 교육적 기능과 사회적 기능 / 256
교육사회학 31 교육과 사회평등-평등화 기여론 / 257
교육사회학 32 인간자본론에 대한 비판-노동시장 분단론 / 259
교육사회학 33 교육의 불평등 기여론 / 260
교육사회학 34 교육의 허용적 평등 / 261
교육사회학 35 교육의 보장적 평등 / 261
교육사회학 36 교육의 과정적 평등 / 263
교육사회학 37 교육의 결과적 평등 / 264
교육사회학 38 교육평동론에 대한 갈등론의 입장 / 265
교육사회학 39 교육기회의 분배와 결정요인 / 266
교육사회학 40 학업성취 격차에 대한 교육사회학 이론의 입장 / 267
교육사회학 41 학업성취 격차의 원인논쟁-문화실조론과 문화다원론 / 268
교육사회학 42 학업성취 격차의 요인 / 269
교육사회학 43 사회변동과 교육 / 270
교육사회학 44 학교팽창과 학력상승의 원인 / 271
교육사회학 45 학교사회의 이해 / 275
교육사회학 46 대안학교 / 277
교육사회학 47 신자유주의와 학교선택론 / 279

제5장 | 교육심리
교육심리 01 발달의 개념과 원리 / 281
교육심리 02 언어의 발달 / 283
교육심리 03 지능의 개념 / 2896
교육심리 04 지능이론 / 287
교육심리 05 지능검사 / 288
교육심리 06 지능의 결정요인과 학업성 / 290
교육심리 07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 290
교육심리 08 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 / 293
교육심리 09 감성지능 / 294
교육심리 10 창의력 / 295
교육심리 11 뇌의 기능적 턱승과 학습 프로그램 / 299
교육심리 12 인지양식 / 301
교육심리 13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 302
교육심리 14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 304
교육심리 15 Case의 신피아제 이론 / 307
교육심리 16 비고츠키의 인지발달이론 / 308
교육심리 17 Freud의 성격발달단계 / 311
교육심리 18 Erikson의 성격발달이론 / 312
교육심리 19 Kohlberg의 도덕성 발달단계 / 315
교육심리 20 도덕성의 교육 / 316
교육심리 21 자아개념 / 317
교육심리 22 동기의 유형 / 318
교육심리 23 성취동기 / 319
교육심리 24 자아효능감이론 / 321
교육심리 25 동기이론-신행동주의적 접근 / 322
교육심리 26 귀인이론 / 323
교육심리 27 불안과 학업성취 / 325
교육심리 28 학업성취와 기대수준 / 326
교육심리 29 학습동기 유발전략 / 326
교육심리 30 학습의 개념 / 328
교육심리 31 행동주의 학습이론의 기본전제 / 328
교육심리 32 고전적(수동적) 조건현성이론 / 329
교육심리 33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 331
교육심리 34 사회인지(관찰)학습이론 / 335
교육심리 35 인지주의 학습이론의 기본입장 / 337
교육심리 36 형태주의 학습이론 / 337
교육심리 37 정보처리이론 / 339
교육심리 38 메타인지 / 341
교육심리 39 망각 / 341
교육심리 40 연습 / 342
교육심리 41 전이 / 343
교육심리 42 전이의 이론 / 344
교육심리 43 강화와 벌의 제공원칙 / 345
교육심리 44 바람직한 행동의 증강기법 / 346
교육심리 45 문제행동의 교정을 위한 기법 / 347
교육심리 46 스트레스의 개념과 원인 / 348
교육심리 47 스트레스에 대한 과제중심의 반응 / 350
교육심리 48 방어기제 / 351
교육심리 49 청소년 비행이론 / 354

제6장 | 생활지도
생활지도와 상담 01 생활지도의 정의 / 357
생활지도와 상담 02 생활지도의 원리 / 358
생활지도와 상담 03 생활지도의 주요 활동 / 359
생활지도와 상담 04 생활지도의 새로운 활동 / 360
생활지도와 상담 05 상담의 정의 / 362
생활지도와 상담 06 상담의 목표 / 363
생활지도와 상담 07 상담관계 / 364
생활지도와 상담 08 상담에서의 대화의 기법 / 366
생활지도와 상담 09 상담의 과정과 기법 / 368
생활지도와 상담 10 인지중심 상담이론 / 371
생활지도와 상담 11 Beck의 인지상담이론 / 372
생활지도와 상담 12 Ellis의 인지·정서·행동 기법 / 375
생활지도와 상담 13 지시적 상담 / 379
생활지도와 상담 14 정신분석 상담이론 / 380
생활지도와 상담 15 인간중심 상담이론 / 381
생활지도와 상담 16 게슈탈트 상담이론 / 384
생활지도와 상담 17 현실요법 상담이론 / 386
생활지도와 상담 18 상호제지에 의한 심리치료이론 / 386
생활지도와 상담 19 의미용법 / 387
생활지도와 상담 20 교류분석 / 389
생활지도와 상담 21 집단상담 / 391
생활지도와 상담 22 진로지도 / 392

제7장 | 교육과정
교육과정 01 교육과정의 의의 / 395
교육과정 02 교육과정의 충의 / 396
교육과정 03 교육과정의 운영체제 / 397
교육과정 04 교육과정의 이론적 접근 / 398
교육과정 05 교육과정의 개발이론 / 399
교육과정 06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제1차~5차) / 403
교육과정 07 제6차 교육과정(1992~1999) / 406
교육과정 08 제7차 교유고가정의 운영체제 / 408
교육과정 09 학교교육과정의 운영 / 409
교육과정 10 제7차 교육과정의 방향 및 기본방침 / 413
교육과정 11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 414
교육과정 12 제7차 교육과정 개정안 / 417
교육과정 13 교육내용의 선정 / 423
교육과정 14 학습경험의 선정원리 / 424
교육과정 15 교육내용의 조직원리 / 425
교육과정 16 교육과정과 교과서 / 428
교육과정 17 교과중심 교육과정 / 429
교육과정 18 경험중심 교육과정 / 431
교육과정 19 학문중심 교육과정 / 434
교육과정 20 인간중심 교육과정 / 437
교육과정 21 지식의 구조 / 439
교육과정 22 지식의 형식 / 441
교육과정 23 잠재적 교육과정 / 442
교육과정 24 영 교육과정 / 445

제8장 | 교수학습지도
교수학습 01 수업의 정의 / 447
교수학습 02 수업의 변인 / 448
교수학습 03 교수학습지도의 원리 / 449
교수학습 04 수업과정 모형 / 451
교수학습 05 수업목표의 정의 / 453
교수학습 06 수업목표의 진술 / 454
교수학습 07 학습과제분석 / 457
교수학습 08 요구분석 / 459
교수학습 09 준비성, 출발점 행동, 선행학습 / 460
교수학습 10 수업의 설계 / 461
교수학습 11 강의식 교수법 / 464
교수학습 12 의식교수법 / 466
교수학습 13 토의법의 종류 / 468
교수학습 14 문답식 교수법 / 474
교수학습 15 문제해결법과 구안법 / 475
교수학습 16 역할놀이 교수법 / 477
교수학습 17 탐구수업 / 479
교수학습 18 소집단수업 / 182
교수학습 19 협동학습 / 483
교수학습 20 협동학습의 모형 / 485
교수학습 21 무학년제와 팀티칭제 / 486
교수학습 22 개별화 교수 프로그램 / 488
교수학습 23 자기주도적 학습이론 / 492
교수학습 24 질문과 판서 / 493
교수학습 25 Carroll과 Bloom의 완전학습 모형 / 495
교수학습 26 Ausubel의 유의미학습이론 / / 497
교수학습 27 Bruner의 발견식 교수이론 / 500
교수학습 28 Gagne의 9가지 수업사태 / 503
교수학습 29 Gagne의 목표별 수업이론 / 506
교수학습 30 Skinner의 프로그램 학습이론 / 508
교수학습 31 Massialas의 탐구교수이론 / 5410
교수학습 32 Keller의 학습동기유발 교수이론 / 512
교수학습 33 플랜더스의 언어적 상호작용 모형 / 515
교수학습 34 구성주의 교수 학습이론 / 516
교수학습 35 학습이론과 교수 설계 / 521

제9장 | 교육공학
교육공학 01 교육공학의 기초 / 524
교육공학 02 교수메체의 의의 / 528
교육공학 03 비투사 메체 / 529
교육공학 04 OHP / 530
교육공학 05 실물 화상기, 슬라이드 및 필름스트립 / 533
교육공학 06 컴퓨터 프로젝터(computer projector) / 535
교육공학 07 시청각 매체와 TV교육방송 / 536
교육공학 08 시각자료의 제작 / 538
교육공학 09 컴퓨터를 활용한 시각자료의 제작 / 540
교육공학 10 컴퓨터 관리수업(CM) / 541
교육공학 11 컴퓨터를 활용한 수업의 특징 / 542
교육공학 12 컴퓨터 보조수업(CAI)의 장단점 / 543
교육공학 13 컴퓨터 보조수업의 유형 / 543
교육공학 14 멀티미디어의 교육적 활용 / 548
교육공학 15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 / 551
교육공학 16 웹기반 교육 / 554
교육공학 17 웹페이지의 제작 / 556
교육공학 18 원격교육 / 557
교육공학 19 컴퓨터를 이용한 개별적응검사 / 559
교육공학 20 버튼이론의 개관 / 560
교육공학 21 컴퓨터 화면 설계의 원리 / 560
교육공학 22 아이콘 설계의 원리 / 561

제10장 | 교육행정
교육행정 01 교육행성의 개념 / 564
교육행정 02 교육행정의 원리 / 565
교육행정 03 과학적 관리론 / 568
교육행정 04 산업관리론과 행정관리론 / 570
교육행정 05 인간관계론 / 571
교육행정 06 개방체제이론 / 572
교육행정 07 Kaufmann의 체제접근 모형 / 574
교육행정 08 사회과정이론 / 575
교육행정 09 동기이론 / 577
교육행정 10 직무 재설계 / 582
교육행정 11 상황적 지도성 이론 / 583
교육행정 12 변역적 지도성, 초유량 지도성, 도덕적 지도성 / 585
교육행정 13 관료제 / 586
교육행정 14 조직의 개념과 원리 / 588
교육행정 15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 589
교육행정 16 계선조직, 참모조직, 위원회 조직 / 591
교육행정 17 조직의 유형 / 592
교육행정 18 학교조직의 특성 / 595
교육행정 19 의사결정 모형 / 596
교육행정 20 의사결정 참여 수준 / 598
교육행정 21 의사소통이론 / 599
교육행정 22 조직의 갈등관리 / 301
교육행정 23 교육제도와 행정조직 / 603
교육행정 24 교육자치제도 / 604
교육행정 25 장학행정 / 607
교육행정 26 교내자율장학 / 610
교육행정 27 인사행정 / 613
교육행정 28 교육재정(1)-교육재정의 개념과 특성 / 618
교육행정 29 교육재정(2)-교육경비와 표준교육비 / 620
교육행정 30 교육재정(3)-지방교육재정 / 621
교육행정 31 학교경영과 단위학교 책임경영제 / 623
교육행정 32 학교경영기법(1)-목표관리기법(MBO) / 625
교육행정 33 학교경영기법(2)-과업평가계획기법(PERT) / 626
교육행정 34 학교경영기법(3)-총체적 질 관리(TQM) / 628
교육행정 35 학교경영기법(4)-조직개발기법과 정보관리체제 / 629
교육행정 36 학교경영기법(5)-기획예산제도와 영기준 예산제도 / 630
교육행정 37 학교운영위원회 / 632
교육행정 38 학교예산회계제도 / 634
교육행정 39 일상경비, 도급경비, 학교운영지원비 / 637
교육행정 40 학교발전기금 / 638
교육행정 41 학교예산의 운영 / 639
교육행정 42 학교경영조직 / 640
교육행정 43 학급경영 / 643
교육행정 44 교육법의 개념과 성격 / 645
교육행정 45 시험에 자주 나오는 교육법규 및 실무 / 648

제11장 | 교육평가 및 통계연구
교육평가 01 평가와 측정 / 651
교육평가 02 교육관과 평가 / 651
교육평가 03 교육평가의 시각 변화 / 653
교육평가 04 측정관, 평가관, 총명관 / 654
교육평가 05 교육평가의 원리와 절차 / 656
교육평가 06 교육평가의 모형 / 657
교육평가 07 표준화 검사 / 660
교육평가 08 규준지향평가와 목표지향평가 / 662
교육평가 09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 / 665
교육평가 10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 666
교육평가 11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 672
교육평가 12 수행평가 / 673
교육평가 13 타당도 / 678
교육평가 14 신뢰도 / 681
교육평가 15 객관도와 실용도 / 683
교육평가 16 인지적 교육목표와 평가문항 / 684
교육평가 17 정의적 교수목표와 평가문항 / 989
교육평가 18 선택형 문항의 의미 / 691
교육평가 19 선택형 문항-진위형, 배합형 / 692
교육평가 20 선택형 문항-선다형 문항 / 694
교육평가 21 선택성 문항 제작시 유의사항 / 696
교육평가 22 서답형 문항의 제작 / 697
교육평가 23 문항분석 / 700
교육평가 24 문항난이도 / 701
교육평가 25 문항변별도 / 702
교육평가 26 문항반응분포 / 703
교육평가 27 문항유형 분석 / 705
교육평가 28 통계의 기초 / 706
교육통계 29 척도의 종류 / 707
교육통계 30 집중경향치 / 708
교육통계 31 정상분포, 정적 편포, 부적 편포 / 710
교육통계 32 표준편차 / 711
교육통계 33 표준편차와 정상분포곡선의 활용 / 713
교육통계 34 표준점수 / 714
교육통계 35 상관분석 / 716
교육통계 36 검증, 변량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카이검증 / 717
교육연구 37 교육연구의 의의 / 720
교육연구 38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 723
교육연구 39 질문지법 / 724
교육연구 40 관찰법 / 725
교육연구 41 평정법 / 728
교육연구 42 면접법 / 730
교육연구 43 사회성 측정법 / 731
교육연구 44 투사법 / 783
교육연구 45 의미분석과 내용분석 / 736
교육연구 46 표집의 기초 / 737
교육연구 47 확률적 표집방법 / 739
교육연구 48 비확률적 표집 / 743
교육연구 49 표집오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744
교육연구 50 실험연구 / 745
교육연구 51 실험설계 / 787
교육연구 52 가설의 설정과 검증 / 751
교육연구 53 메타분석과 델파이 방법 / 753

제2단계 : 마인드맵
1. 교육학 개론 및 교사론 / 4
2. 서양교육사 및 교육철학 / 5
3. 한국교육사 및 동양철학 / 6
4. 교육사회학 / 8
5. 교육심리학 / 10
6. 생활지도 / 14
7. 교육과정 / 15
8. 교수학습지도 / 16
9. 교육공학 / 17
10. 교육행정법규 / 18
11. 교육평가 및 통계연구 / 19

제3단계 : 기초예제
- 기초예제 / 22 - 정답 및 해설 / 95

제4단계 : 심화유제
제1장 교육학 개론 및 교사론 / 138
제2장 서양교육사 및 교육철학 / 142
제3장 한국교육사 및 동양철학 / 150
제4장 교육사회학 / 159
제5장 교육심리학 / 170
제6장 생활지도 / 191
제7장 교육과정 / 199
제8장 교수-학습지도 / 210
제9장 교육공학 / 224
제10장 교육행정법규 / 228
제11장 교육평가 및 통계·연구 / 248

정답 및 해설 / 262
제1장 교육학 개론 및 교사론 / 262
제2장 서양교육사 및 교육철학 / 264
제3장 한국교육사 및 동양철학 / 268
제4장 교육사회학 / 272
제5장 교육심리학 / 277
제6장 생활지도 / 286
제7장 교육과정 / 290
제8장 교수-학습지도295
제9장 교육공학 / 301
제10장 교육행정법규 / 303
제11장 교육평가 및 통계·연구 / 312

부록
- 2010학년도 교육학 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초등) / 320
- 2010학년도 교육학 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중등) / 344

저자소개

교육학 전공(학부, 대학원)前) 충남대, 목원대, 건국대, 중앙대, 동국대, 전주대 교육학 특강 강사
서울 노량진 한교 고시학원 교육학 대표 교수
서울 노량진 이그재모 고시학원 교육학 대표 교수
現) 한국 교육학 연구소 교육학 대표교수
서울 교원나라, 티쳐빌 교육연수원 교육학 대표 교수
서울 유니텔 고육연수원 교육학 대표 교수
노량진 중앙 교육학 연구소 대표
서울 위즈 고시학원 교육학 대표 교수
노량진 베리타스 고시학원 교육학 대표 교수
EBS 교육학 특강 교수
교육학 강의 경력 23년
교육학 교감 승진 시험
교육학 전문직 장학사 승진 시험
교육학 사무관 승진 시험
초, 중등 임용고시 교육학 대표
-저서
『나선형 교육학』, 교원각(1997)
『이웅 교육학 상, 중, 하』, 엑스퍼트(2000)
『이웅 교육학 문제풀이집』, 엑스퍼트(2006)
『이웅교육학 교육학 핵심모음집』, 한국교육기획(2007)
『이웅교육학 합격 서브노트』, 한국교육기획(2007)
『형설 이웅 교육학 상,하』, 도서출판 형설(2009)
『기출문제 단원별 분석 문제집』, 도서출판 형설(2009)
『알기쉬운 이웅 교육학』, 도서출판 형설(2009)
『쏙쏙 이웅 교육학』, 도서출판 형설(2009)
『한라에서 백두까지 단원별 문제풀이』, 도서출판 형설(2009)
『교육학 문제풀이및 합경강의 노트』, 도서출판 형설(2009)

도서소개

『이웅 교육학』(2010)은 교육전문직, 교사임용, 대학원, 사무관 승진 수험 대비 교재이다. 각 단원별로 전체적인 윤곽을 통찰할 수 있도록 기본핵심이론을 제시하였으며 교육학시험에 관한 내용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mindmap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다양한 유형과 난이도의 문제를 통해 문제 적응력을 높이고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