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 01
총 론
01 행정의 개념과 특성 13
02 행정과 경영 19
03 행정과 정치 20
04 현대국가와 현대행정의 특징 22
05 시장실패와 정부역할 24
06 정부규제 27
07 정부실패와 해결방안 37
08 제3섹터, NGO, 시민참여 42
09 민영화 44
10 행정이념(본질적 가치) 48
11 행정이념(수단적 가치) 53
12 최신 행정이념, 이념 간 조정 58
13 행정학 성립과 접근법, 학문적 특징 64
14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69
15 행태론 71
16 생태론과 체제론 73
17 비교행정, 발전행정론 75
18 현상학과 신행정론 75
19 공공선택론 77
20 포스트모더니티 81
21 신제도주의 82
22 신공공관리론 87
23 뉴거버넌스 95
24 신공공서비스론(NPS), 기타 100
25 행정이론 흐름 종합 104
PART 02
정책론
01 정책의 의의와 특징 111
02 정책유형 114
03 정책과정 참여자 122
04 정책의제 설정 124
05 권력모형-다원주의vs엘리트주의 133
06 무의사결정론 134
07 권력모형-기타, 국가주의, 조합주의 137
08 정책네트워크, 이슈네트워크 138
09 정책대안탐색, 분석 유형 140
10 불확실성과 미래예측기법 141
11 미래예측기법 : 직관적 예측 143
12 비용편익·비용효과분석 146
13 정책결정모형-개인산출지향 150
14 정책결정모형 - 집단산출지향 160
15 정책결정 과정 기타 169
16 정책 집행론, 일선관료제 172
17 정책목표 181
18 정책실험, 타당도, 신뢰도 182
19 정책평가 188
20 정부업무평가 및 기타 192
21 기획론 195
PART 03
조직론
01 조직의 기초와 유형 201
02 조직의 주요 원리 206
03 동기부여 이론(내용이론) 207
04 동기부여 이론(과정이론) 216
05 조직과 환경 220
06 조직의 목표와 조직문화 224
07 조직구조 변수 226
08 조직구조 유형 230
09 공식, 비공식 조직 236
10 계선기관, 참모기관 236
11 관료제 238
12 탈관료제 245
13 위원회 246
14 공기업 248
15 책임운영기관 251
16 조직관리(의사전달, 갈등, 권위) 253
17 리더십1 257
18 리더십2, 기타 최신이론 260
19 정보공개 265
20 행정참여, PR, 행정절차법, 행정지도 266
21 조직 발전(OD) 266
22 조직동태화 (네트워크, 학습조직, 기타) 266
23 MBO 275
24 TQM 275
25 최근 조직혁신론 (SM,BPR,CRM) 278
26 한국 조직론 현실 281
PART 04
인사행정
01 인사행정의 발달, 엽관주의, 정실주의 287
02 실적주의 291
03 직업공무원제 292
04 대표관료제 294
05 적극적 인사행정 300
06 고위공무원단 301
07 중앙인사기관 303
08 공직분류체계 304
09 계급제와 직위분류제 307
10 공무원 임용, 모집 317
11 시험 319
12 능력발전 (근무성적평정, 다면평가) 323
13 교육훈련, 승진, 배치전환 335
14 사기관리(사기, 고충처리) 338
15 신분보장, 징계 340
16 보수, 연금 346
17 공무원단체, 정치적 중립 350
18 공직윤리와 공직부패 352
19 한국현실과 인사행정 364
PART 05
재무행정론
01 예산의 의의, 기능, 형식 369
02 예산관련법률, 재무행정조직 371
03 예산원칙과 예외 375
04 예산의 종류-특별회계, 기금 382
05 예산의 분류 388
06 계획과 예산, 재정민주주의 395
07 예산결정이론 397
08 예산결정이론-LIBS 401
09 예산이론-PBS 403
10 예산이론-PPBS 406
11 예산이론-ZBB 407
12 기타 예산이론-일몰법 등 408
13 <SPAN style="mso-fareast-font-family: </body></html></P></FONT></SPAN></body></html></P></FONT></SPAN></body></html></P></FONT></SPAN></body></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