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야만과 신화

야만과 신화

  • 한승원
  • |
  • 예담
  • |
  • 2016-10-10 출간
  • |
  • 576페이지
  • |
  • 143 X 223 X 34 mm /708g
  • |
  • ISBN 978895913069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 작가들의 스승이자 한국 문단의 거목,
한승원이 50년 작가 생활 동안 발표했던
모든 중단편 중에서 직접 가려 뽑은 인생의 소설들!


한국 문단의 거목이자 한국 작가들의 스승 한승원의 등단 50주년 자선 중단편집 『야만과 신화』가 예담에서 출간됐다. 한승원은 1966년 《신아일보》에 「가증스런 바다」가 입선되고 1968년 《대한일보》에 「목선」이 당선되면서 본격적으로 작품 활동을 한 지 올해로 50년을 맞았다. 그동안 30여 편의 장편소설과 80여 편의 중단편소설을 쓰고 6권의 시집, 10여 권의 산문집을 펴내면서 누구보다 성실하고 근면한 작가로 왕성하게 집필해왔다.
이 소설집은 한승원이 50년 작가 생활 동안 발표했던 모든 중단편 중에서 직접 가려 뽑은 인생의 소설들 13편을 묶었다. 데뷔작 「목선」부터 대표작 「폐촌」ㆍ「해신의 늪」ㆍ「해변의 길손」 등을 포함해 한승원의 예술관을 엿볼 수 있는 「그러나 다 그러는 것만은 아니다」까지, ‘야만’과 ‘신화’라는 두 단어로 포괄되는 한승원 문학의 주제가 응집된 한 권으로, 평생의 궤적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선집이다. 가장 토속적인 고향 바닷가 마을 이야기에서 보편적인 인간의 근원과 생명력, 에로티시즘과 샤머니즘이 소용돌이치는 신화적ㆍ설화적ㆍ환상적 리얼리즘의 세계를 구축해온 작품들은 서사가 희미해진 한국 문학에 여전히 강력한 서사가 살아 있음을 증명해준다.

영원한 농현의 책,
시간이 아무리 흘러도 사라지지 않을 무한 텍스트


문학평론가 김형중은 작가 자신이 특히 아껴서 직접 엄선한 작품들만 모은 『야만과 신화』를 “영원한 농현의 책”이라고 불렀다. ‘농현’은 한승원이 ‘한 작가’로 직접 등장하기도 하는 단편소설 「그러나 다 그러는 것만은 아니다」에서 원로 사진작가 이장환이 자신의 예술적 이상으로 제시한 말로, 농현이란 이런 것이다.

“여름에 피어 있는 해바라기꽃 속에 지난가을에 맺힌 꽃씨가 있고 그 꽃씨 속에 지난해 여름의 꽃과 다음 여름에 피어날 꽃이 있다. 갓난아기 속에 자기를 낳아준 아비 어미가 있고, 그 아비 어미를 낳아준 할아비 할미가 있고, 그 갓난아기 속에 장차의 아비 어미, 할아비 할미가 있고, 더 먼 장래의 흙 한 줌이 들어 있다.
이장환은 농현 같은 시간을 생각하고 있다. 카메라의 렌즈를 통해 시간 찍어낼 궁리를 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는 시간이 보이지 않으면 셔터를 누르지 않는 것이다. 그래, 그렇다. 내 소설 속에도 시간이 담겨 있도록 해야 한다. 모든 예술 작품은 결국 시간을 형상화하는 것 아닐까(537~538쪽).”

“갈대밭 속에서 벌거벗은 노파의 알몸과 앳된 여자의 알몸”을 대비시켜 이장환이 궁극적으로 포착하려 했던 시간의 농현은 이 자선 단편집 속에서도 고스란히 구현된다. 바다, 신화, 여성성, 노을과 달, 바다와 여성을 꼭짓점에 두고 두 남성이 “문명과 자연의 대결, 신화시대와 근대의 대결, 좌우의 대결, 에로스와 타나토스의 대결”을 벌이는 작중인물들의 삼각 구도 등은 여주인 양산댁의 목선을 차지하려는 석주와 태수를 그리는 「목선」 이후 많은 중단편에서 다채롭게 변주되면서 한승원의 문학 세계를 이룬다. 이처럼 ‘「앞산도 첩첩하고」의 오달병이 호남가를 부르며 죽은 장례를 찾아 「기찻굴」의 기찻굴 속으로 들어가는 세계, 「폐촌」의 밴강쉬가 죽었다가 「해신의 늪」의 물 아래 김 서방으로 환생하는 세계, 「목선」이 「해변의 길손」을 예비하고 50년 전의 문장이 50년 후의 문장들에 의해 다시 살아나는 세계’, 바로 『야만과 신화』가 “마치 현이 다른 현을 넘나들듯 하나의 시간이 다른 시간들과 겹치는 장엄한 농현”이다.

“내 문학은 인간과 역사의 폭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부끄러운 기록들이지만 그것은 어찌할 수 없는 내 실제의 발자국들이다.”


『야만과 신화』에 특별히 수록할 작품들을 고르면서 한승원은 작가의 말에서 “내 문학은 인간과 역사의 폭력에서 자유롭지 못했다”고 되돌아본다. 갈매기의 울음소리에 관한 기원 설화를 차용한 「갈매기」와 바리데기 설화를 모티프로 하는 「어머니」 등 신화적 상상력으로부터 시작된 한승원 문학은 「폐촌」에서 인간의 폭력적인 역사를 끌어안는다. 설화 세계로부터 소환된 인물들인 밴강쉬와 미륵례는 “식민지 수탈과 동족 간의 살육전에 의해 폐허가 된 한국, 곧 문명의 종착지”인 하룻머릿골에서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국면들(일제강점기와 광복, 그리고 이후 좌우간 이데올로기 대립으로 줄곧 이어진 살육)을 온몸으로 겪어낸다. 「해변의 길손」의 무수한 죽음들 저변에도 일제강점기부터 광복, 여수ㆍ순천 사건, 한국전쟁, 월남전, 그리고 5ㆍ18 광주민주화운동까지 한국 현대사의 참담한 사건들이 개입되어 있다. 한승원은 말한다. “깨어 있는 자만이 우주와 소통할 수 있다. 문학은 우주와 소통하기의 일환이다”라고. 신화와 역사를 대면시키고 결합하며 농현케 하는 한승원 문학은 그래서 신화적ㆍ설화적ㆍ환상적 리얼리즘 소설이다.

책속으로 추가

그는 발을 멈추고 바람을 등으로 받으면서 눈을 감았다. 그의 머릿속에 그 바람처럼 어지럽게 회오리치는 것들이 있었다. 그는 으흠으흠 하고 헛목을 다듬으면서 얼굴을 일그러뜨렸다. 이제 보니, 그는 골목길을 걸어오면서 줄곧 검은 어둠 속으로 사라져간 아버지와 어머니와 동생 두헌이와 큰아들과 둘째 아들과 아내에 대한 생각을 하고 있었다. 빌어먹을 놈의 세상…… 그들은 모두 제명대로 살지를 못하고 억지 죽음들을 한 것이었다. (…) 떠나가버리는 것을 어쩌랴. 황두표 씨에게는 악만 남아 있었다. 그는 주변의 모든 살붙이들에게서 따돌림을 받고 있다는 생각을 하여오고 있었다. 그는 이 근처 마을에서 불효자라고 소문이 나 있었다. 그를 돌려세워놓고 비쭉거리며 흉을 보는 사람들에게 그는 할 말이 많았다. 내가 어머니 뱃속에서부터 이마빡에 불효자라는 판을 박고 태어났는 줄 아는가. 나야말로 억울한 피해자다. 나한테만 더러운 불효자라는 점을 찍어놓고 아버지 어머니 그리고 형제들은 모두 뿔뿔이 흩어져 가버렸다.
―「해변의 길손」(351~352쪽)

목차

작가의 말_ 나를 역사 속에 묻으려는 시간의 의지일지도 모르지만

목선
갈매기
어머니
폐촌
앞산도 첩첩하고
낙지 같은 여자
해신의 늪
기찻굴
가을 찬바람
해변의 길손
까치노을
검은댕기두루미
그러나 다 그러는 것만은 아니다

작품 해설_ 반(反)파우스트-목선(木船)에서 농현(弄絃)까지?김형중

저자소개

저자 한승원은 1939년 전남 장흥에서 태어났다. 서라벌예술대학 문예창작과에서 스승 김동리에게 문학에 대해 배웠고, 1968년 《대한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목선」이 당선되면서 작품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후 50년 작가 생활 동안 고향인 장흥 바다를 시원(始原)으로 한 작품들을 꾸준히 써오면서 현대문학상, 한국문학작가상, 이상문학상, 대한민국문학상, 한국소설문학상, 한국해양문학상, 한국불교문학상, 미국 기리야마 환태평양 도서상, 김동리문학상 등 유수의 문학상들을 수상했다. 중단편집으로 『목선』, 『아리랑 별곡』, 『누이와 늑대』, 『해변의 길손』, 『내 고향 남쪽 바다』, 『검은댕기두루미』, 『잠수거미』, 『희망 사진관』 등이, 장편소설로 『아제아제 바라아제』, 『우리들의 돌탑』, 『시인의 잠』, 『동학제』, 『아버지를 위하여』, 『까마』, 『연꽃 바다』, 『해산 가는 길』, 『포구』, 『꿈』, 『사랑』, 『화사』, 『멍텅구리배』, 『물보라』, 『초의』, 『흑산도 하늘길』, 『원효』, 『키조개』, 『추사』, 『다산』, 『보리 닷 되』, 『피플 붓다』, 『항항포포』, 『겨울잠, 봄꿈』, 『사랑아, 피를 토하라』, 『사람의 맨발』, 『물에 잠긴 아버지』 등이, 산문집으로 『허무의 바다에 외로운 등불 하나』, 『키 작은 인간의 마을에서』, 『푸른 산 흰 구름』, 『바닷가 학교』, 『시방 여그가 그 꽃자리여』, 『이 세상을 다녀가는 것 가운데 바람 아닌 것이 있으랴』, 『차 한 잔의 깨달음』, 『강은 이야기하며 흐른다』 등이, 시집으로 『열애 일기』, 『사랑은 늘 혼자 깨어 있게 하고』, 『노을 아래서 파도를 줍다』, 『달 긷는 집』, 『사랑하는 나그네 당신』, 『이별 연습하는 시간』 등이 있다.

도서소개

한국 문단의 거목이자 한국 작가들의 스승 한승원의 등단 50주년 자선 중단편집 『야만과 신화』. 이 소설집은 한승원이 50년 작가 생활 동안 발표했던 모든 중단편 중에서 직접 가려 뽑은 인생의 소설들 13편을 묶었다. 데뷔작 「목선」부터 대표작 「폐촌」ㆍ「해신의 늪」ㆍ「해변의 길손」 등을 포함해 한승원의 예술관을 엿볼 수 있는 「그러나 다 그러는 것만은 아니다」까지, ‘야만’과 ‘신화’라는 두 단어로 포괄되는 한승원 문학의 주제가 응집된 한 권으로, 평생의 궤적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선집이다. 가장 토속적인 고향 바닷가 마을 이야기에서 보편적인 인간의 근원과 생명력, 에로티시즘과 샤머니즘이 소용돌이치는 신화적ㆍ설화적ㆍ환상적 리얼리즘의 세계를 구축해온 작품들은 서사가 희미해진 한국 문학에 여전히 강력한 서사가 살아 있음을 증명해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