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각국사(2017)

대각국사(2017)

  • 오태진
  • |
  • 윌비스
  • |
  • 2016-10-13 출간
  • |
  • 688페이지
  • |
  • 210 X 270 mm
  • |
  • ISBN 979115962153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6,000원

즉시할인가

32,4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2,4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대한민국 NO.1 한국사 시험 전문가
오태진 교수가 우리 제자 학생들에게 고함!

→ 이러한 수험서들이 넘쳐나다 보니 발생한 문제점은 한국사를 배운 적이 없는 수험생들이 대부분이며 ‘읽기 능력(독해력과 암기력 포함)’이 많이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단, 1번도 제대로 기본서를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을 하고 시험장에 가는 학생들이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부분의 수험생들의 한국사 고득점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는 것입니다.

“중학교 올라가는 순간 더 이상 입시와 무관한 책은 읽을 수 없습니다. 심지어 책 읽으면 손해라고 생각하죠. 그러니 대학 들어가서는 좀 어려운 책은 읽지를 못합니다. 읽어도 취업서입니다. 뭐, 한마디로 대한민국이 무식해진 거죠. 교양의 암흑기랄까요. 이런 현상이 어떤 종류의 인간을 만들어 낼 거냐 하면 생각하지 않는 인간, 태도가 없는 인간입니다. 그래서 앞으로가 뻔한 거예요. 표피적인 사회, 질문과 호기심이 사라진 사회. 무식한 대한민국이죠.”
- 장대익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의 탄식

02 한국사 기본서의 ‘리더’, ‘대각국사’의 좋은 점
① 드디어 많은 ‘기본서의 두께가 적어지기 시작’했습니다.
2015년 대각국사 기본서를 줄였을 때, 많은 분들이 우려하셨지만 2015년 공무원 시험 문제에서 빗나간 문제가 없었습니다. 많은 독자 여러분들의 많은 사랑과 신뢰를 얻게 된 것이 무엇보다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인지 한국사 기본서의 양이 줄어들기 시작한 것이 무엇보다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② 그러나 여전히 기본서로 공부하는 학생들은 10명 중 2명, 3명밖에 안 됩니다. 그 2명, 3명은 이미 합격생입니다.
이번에 기출된 문제들을 분석해보시면 아시겠지만, 요약서나 강의노트로만 공부해서는 절대 고득점을 얻을 수 없습니다. 이번에 합격한 학생들을 일일이 열거할 수는 없지만, 합격한 학생들의 절대 다수는 기본서로 단권화하고 기출문제를 5회독 이상 풀어본 학생들입니다.
오죽하면, 여러 개의 시험을 동시에 합격한 학생이 강의실에서 문제풀이 할 때 기본서를 펴 놓고 공부하는 동료들을 알아보고 미리 합격할 줄 알았다는 말을 제게 전했겠습니까. 수험 경향이 달라지고 수험서가 다양화한다고 하더라도 결국은 ‘기본서’입니다.
기본서를 얼마나 많이! 정확하게!! 빠르게!!! 정독했느냐가 한국사 고득점의 왕도라는 것을 부정할 분들은 없을 것입니다.
③ 기본서 읽기가 너무 어려워요!
네. 기본서를 정확하게 다회독 하는 것은 어려운 일입니다. 왜냐하면
㉠ 한국사 본문은 99%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 독해 능력이 많이 떨어지고
㉢ 독해가 안 되면 암기도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기본서를 잘! 읽을 수 있을까요.
방법은 한 가지 밖에 없습니다. 암기부터 해야 합니다. 많은 분들이 한국사를 단순 암기하려고만 합니다. 마치 영어 단어를 외우는 일반적인 방법을 똑같이 적용하려고 하면서 말이지요.
그러니까, 계속 까먹는 것입니다(2015년 5월 오태진 한국사 설문조사 결과).
영어 단어를 문장과 함께 외우면 비교적 오랫동안 기억이 유지되는 것과 같은 이치로,
한국사 역시 문장으로, 문맥을 통하여 암기해야 합니다. 그래서 다양한 방법과 수단을 강구해보았는데요. 그것은 바로 ‘니채국사’와 ‘도사국사’인 것입니다.
④ 초심자의 한국사 만점 수험 전략 강의는 ‘대각국사’ → ‘대각국사(복습)’ → ‘도사국사’ → ‘니채국사’ → ‘기출문제풀이’ 순으로 듣습니다.

자습은 다음과 같이 활용합니다.
니채국사는
1. 지하철에서 통학할 때
2. 타 과목 수강 시 쉬는 시간에
3. 화장실에서
4. 혼자서 밥 먹을 때
5. 다른 공부하다가 지쳤을 때
6. 시험장 당일 30분 동안 한국사를 총정리하고 싶을 때

이렇게 짬짬이 5분 정도 1페이지 정도를 읽어주면 됩니다.

도사국사는 (빈 칸 채워넣기 연습)

1. 기본서를 정독하기 전
2. 스터디 할 때
3.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총정리하고 싶을 때
4. 85점까지만 맞고 싶을 때

니채국사와 도사국사를 번갈아 가면서 공부하여 암기를 강화하고.
그 이후 대각국사로만 단권화합니다. 시험에 임박해서는 대각국사는 하루 8시간 동안 1회독을 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 만일 이것이 불가능하다면 니채국사와 도사국사로 다시 돌아가서 반복해서 암기를 강화합니다.)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내용이 나왔을 때, 그 내용이 대각국사 어디쯤 있었는지 알면서 바로 찾아볼 수 있는 능력이 갖추어질 때까지 읽어야 합니다.

03 수험생들에게 고함
한국사를 어려워하는 수험생 여러분!
제가 대학과 대학원에서 한국사를 공부해 온 지는 벌써 20여 년이 다 되어 갑니다.
강의를 한 것은 벌써 11년이나 되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제 강의 내용 중에 기출 문제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부분마저
제 강의 안에서 모두 적중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문제를 어떻게 맞히라고 내는 거야! 라고 하는 문제들도
제 강의에 녹아 있답니다.

조금만 신경을 써서 제 강의를 집중했던 학생들은 모두 눈이 휘둥그래지고는 합니다.
하지만, 저는 당연한 결과라고 생각합니다.
출제 위원들이 저와 같이 대학과 대학원에서 한국사학을 전공하고 공부한 동료들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사를 단순히 한국사 교과서로, 혹은 개설서로 공부한 분들이 아니라, 저처럼 모두 심도 있는 전공 서적과 삼국유사, 삼국사기, 고려사, 동국통감, 조선왕조실록 등등을 모두 직접 접한 권위 있는 전공자들이기 때문입니다. 전공자들의 생각은 거의 비슷합니다. 더군다나 이제는 노교수님들이 아니라, 저처럼 4세대 한국사학자들이기 때문입니다. 제 동료이고 제 선후배들인 그들의 머릿속과 제 머릿속이 다를까요? 똑같은 은사님들에게 가르침을 받은 그들이 이제는 출제위원들이 되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강의를 하면 할수록 수험생 여러분들에게 한국사는 쉬운 과목이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반드시 길은 있습니다. 그 시작은 쉽고 짧으면서도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구성된 한국사 기본서를 한 번 완독하는 것입니다.

자, 기본서를 펴십시오. 고려시대까지는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의 통일정책까지는 끝까지 손을 놓지 마십시오. 1번만 완주를 하십시오. 시작이 반입니다. 6?15 남북공동선언과 10?4 평?번 선언을 만나고 온 여러분!
이미 합격하셨습니다. 축하합니다!

2016년 10월
한국사 교수 오태진

목차

제1편 역사학의 바른 이해
제1장 역사학의 연구 방법론 2
01 역사의 의미 2
02 역사 학습의 목적 3
03 한국사의 바른 이해 3
제2장 한국사의 사관(史觀) 6
01 일제의 식민사관 6
02 민족주의 사관 8
03 사회 경제 사학 13
04 문화사학 14
05 실증주의 사학 14

제2편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제1장 선사 시대의 전개 18
01 선사 시대의 시작 18
02 한반도의 구석기 시대 19
03 돌을 갈아서 사용한 신석기 시대 21
제2장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26
01 청동기 문화가 나타나다 26
02 최초의 국가 고조선이 성립하다 30
03 고조선의 발전 32
제3장 여러 나라의 발전 36
01 초기 국가의 발전 36
⑴ 부여(扶餘 또는 夫餘) 36
⑵ 고구려 38
⑶ 옥저와 동예 39
⑷ 삼 한 41

제3편 고대 사회의 발전
제1장 고대 국가의 정치적 발전 46
01 고대 국가의 성립 47
02 남북국 시대의 정치 78
03 고대 국가의 통치 체제 91
제2장 고대의 경제 98
01 삼국 시대의 경제 생활 98
02 남북국 시대의 경제적 변화 102
제3장 고대의 사회 110
01 삼국 시대 110
02 남북국 시대 115
제4장 고대의 문화 118
01 고대의 신앙과 학문 118
02 고대의 과학과 예술 128

제4편 중세 사회의 성립
제1장 고려의 정치 142
01 후삼국과 민족의 재통일 142
02 고려 전기의 정치적 변화 145
03 고려 중기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154
04 고려 전기의 통치 체제 158
05 무신정권 170
06 고려의 대외 관계 175
07 고려 후기의 정치 상황의 변동 182
제2장 고려의 경제 192
01 경제 정책 192
02 고려 시대 신분에 따른 경제적 기반 202
03 고려 시대의 경제 활동 204
제3장 고려의 사회 210
01 고려의 신분 제도 210
02 백성의 생활 모습 216
제4장 고려의 문화 222
01 불교 사상과 신앙 222
02 중세 유학의 발달 230
03 귀족 문화의 발달 245

제5편 근세 사회의 성립
제1장 경국대전 체제의 성립 256
01 조선의 건국 256
02 조선 정치 체제의 정비 261
03 조선 전기 경국대전 체제 271
04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287
05 사화(士禍)의 발생 290
06 붕당(사림) 정치 296
07 일당 전제화의 대두와 탕평책(蕩平策) 309
08 세도 정치의 전개 319
09 조선 후기 대외 관계의 변화 326
제2장 조선의 경제 330
01 토지 제도 330
02 조세 제도와 국가 재정 운영 335
03 조선의 경제 활동 전개 347
제3장 조선의 사회 364
01 양반 관료 중심의 사회 364
02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371
03 사회 정책과 가족 제도 376
04 사회 변혁의 움직임 378
제4장 조선의 문화 384
01 성리학 통치 이념 정착 384
02 주자성리학 VS 실학ㆍ양명학 389
03 불교와 민간 신앙 400
04 역사서의 편찬 402
05 지도, 지리서, 법전, 백과사전의 편찬 408
06 조선의 문학 411
07 건 축 415
08 공 예 418
09 그림과 글씨 419
10 조선의 과학 기술 424
11 한국의 세계 유산 426

제6편 근대 사회의 성립
제1장 외세의 침략적 접근과 개항 440
01 19세기 세계 정세 440
02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통상수교 거부 441
03 개항과 개화 정책의 추진 444
04 동학 농민 운동 458
05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462
06 독립협회와 광무개혁 466
07 일제의 국권 침탈 471
08 항일 의병 투쟁과 애국 계몽 운동 477
제2장 개항 이후 경제와 사회 488
01 열강의 경제 침탈 488
02 경제적 구국 운동의 전개 490
제3장 근대 문물의 수용 494
01 근대 문물과 시설 494
02 언론 기관 495
03 근대 교육과 국학 연구 497
04 개화기의 문학 500
05 종교의 새 경향 503

제7편 일제의 식민 통치와 민족의 독립 운동
제1장 일제의 국권 강탈과 식민지 정책 510
01 무단 통치의 실시(1910~1919) 510
02 민족 분열 통치(1919~1931) 514
03 민족 말살 통치(1931~1945) 519
제2장 민족의 독립 운동 524
01 1910년대 국내ㆍ외의 독립 운동 524
02 3ㆍ1 운동 529
03 대한민국 임시정부 533
04 3ㆍ1운동 이후 국외의 독립전쟁의 전개 540
05 3ㆍ1운동 이후 국내의 독립 운동(1919~1945) 548
06 민족 문화 수호 운동 558

제8편 분단국가의 성립과 통일을 위한 노력
제1장 해방 이후의 통일국가 수립운동과 실패 566
01 건국 준비 활동과 8ㆍ15 해방 566
02 분단 국가의 수립 572
제2장 대한민국의 발전과 민주주의 574
01 이승만 정권 - 제1공화국 574
02 장면 내각 - 제2공화국(1960. 8∼1961. 5) 582
03 박정희 정부의 성립 584
04 전두환 정부(제5공화국, 1981~1987) 590
05 노태우 정부(제6공화국, 1988~1992) 594
06 김영삼 정부(1993~1997) - ‘문민 정부’ 595
07 김대중 정부(1998~2002) - ‘국민의 정부’ 597
08 노무현 정부(2003~2007) - ‘참여 정부’ 598
09 이명박 정부 - ‘실용 정부’ 599
제3장 고도성장과 사회 모습의 변화 602
01 이승만 정부 602
02 박정희 정부 603
03 1980년대 이후의 경제 정책 - ‘개방경제체제의 전개’ 606
04 1990년대 이후의 경제 정책 607
제4장 한반도 통일 정책 610
01 이승만 정부 610
02 4ㆍ19 혁명 이후의 통일 정책 610
03 박정희 정부의 통일 정책 611
04 전두환 정부의 통일 정책 613
05 노태우 정부의 통일 정책 614
06 김영삼 정부의 통일 정책 618
07 김대중 정부의 통일 정책 619
08 노무현 정부의 통일 정책 620
09 이명박 정부의 통일 정책 622
10 헷갈리기 쉬운 통일 정책 구분하기 622
제5장 북한 정권의 수립 626
01 해방 공간의 북한 정부 수립 과정 626
02 6ㆍ25 전쟁 이후 북한의 정치 상황의 변동 627
03 1960년대 629
04 1970년대 630
05 1980년대~1990년대 630
06 김정은 체제(2011~현재) 631

부 록
ㆍ 대각국사 연표 634
ㆍ 찾아보기(INDEX) 64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