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전쟁과 섭리

전쟁과 섭리

  • 이재호
  • |
  • 두란노서원
  • |
  • 2016-09-27 출간
  • |
  • 504페이지
  • |
  • 162 X 231 X 35 mm /964g
  • |
  • ISBN 9788953126435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현대전의 모범이 되는 뛰어난 전략,
기막힌 작전과 지략이 점철된 고대 중근동 전쟁,
그 속에서 역사를 움직이시는 거룩한 하나님의 섭리!

전쟁의 역사가 입체적으로 보여
성경이 더욱 생생하게 다가온다


고대 바빌로니아-이집트-히타이트-앗시리아-신바빌로니아-페르시아로 이어지는 힘의 순차적 이동에서 알 수 있듯이, 근동 지역의 패권을 둘러싼 문명국들의 충돌은 수많은 전쟁을 동반하였고, 지정학적으로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곳에 위치한 이스라엘은 이러한 충돌의 중심에 있었다.
하위개념으로서 전쟁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뜻’을 구현하기 위해 현실 세계에서 사용하시는 물리적 수단이라 볼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구약성경에 나타난 부족 간 또는 국가 간 대소 전쟁은 우발적인 분쟁이 아니라, 그릇된 길을 행하는 인생들에 대한 하나님의 징계였으며, 징벌적 수단이라기보다는 오히려 하나님의 사랑과 자애로움의 표현이었다.
저자인 이재호 목사는 20여 년 동안 군대 전·후방 각지에서 참모·지휘관으로 복무한 경험이 있다. 그렇기에 성경 속 전쟁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꼼꼼한 역사적 고증과 이스라엘 현지 답사를 하며 이 책을 집필했다.
이 책은 프랑스혁명 이후 각종 국제 전쟁에서 도출된 경험칙에 의거하고, 동서고금의 전쟁술의 원칙이 된 제반 요소들을 고려하여 성경에 언급된 전쟁과 전투를 가능한 한 성경 원문에 충실하게 재구성했다.
저자는 전쟁이라는 도구를 통해 인류 역사를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섭리를 드러내고자 했다. 사랑의 하나님뿐 아니라 인간의 역사 속에 보이는 ‘하나님의 공의’와 ‘거룩함’을 알리고 왜 인류에게 메시아이신 예수님이 필요한지 역사를 통해 스스로 깨닫게 하고자 했다. 독자는 ‘섭리’라는 숲을 기초로 시대별로 일어난 ‘전쟁’이라는 각각의 나무를 통해 전쟁 속 하나님의 섭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책속으로 추가 ]]

6. 가나안 정복 전쟁 1: 여리고 성, 아이 성 전투
신명기 34장; 여호수아 1-8장을 중심으로

여리고 성에 거주하는 백성은 이스라엘 백성의 포위에 대해 이미 충분한 대비를 했다. 가을 수확이 끝나자마자, 성안에 곡식을 충분히 저장하였고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샘도 여러 군데 확보했다. 이러한 상황으로 유추해 볼 때, 전쟁을 장기간 지속할 수 있는 충분한 식량과 물이 있고 성 외곽 또한 견고하였으므로, 아마도 여리고 성 백성은 이스라엘의 공격을 그다지 두려워하지 않았을 것이다.
전투 전(前)의 승패는 이미 결정되어 있었다. 여호와께서 여호수아에게 “보라 내가 여리고와 그 왕과 용사들을 네 손에 넘겨주었으니”(수 6:2)라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성경 기록에 의하면, 하나님은 여호수아에게 독특한 여리고 성 공격 방법을 가르쳐 주셨다. 하나님의 방법대로 여호수아는 군사들로 하여금 여리고 성 주위를 6일간은 하루에 한 번씩, 7일째 되는 날은 일곱 바퀴를 돌게 했다. 그리고 제사장들이 양각나팔 소리를 길게 울릴 때, 모든 백성이 있는 힘을 다해 일제히 함성을 지르게 했다. 그러자 견고한 여리고 성이 일순간 무너졌고, 이스라엘군은 그 성을 향해 돌진, 난공불락의 여리고 성을 함락했다.
숨 돌릴 틈도 없이 이스라엘군은 이어서 아이(Ai) 성을 공략한다. 여리고 성 전투와는 달리 아이 성 전투는 현대전의 모범이 될 만한 뛰어난 전략이 투사된 전투였다. 기만작전, 유인작전, 매복작전, 포위작전 등이 총체적으로 적용된 전쟁이었다. 먼저 여호수아는 3만 명의 보병을 야간에 은밀히 이동시켜 아이 성과 인근 벧엘(Bethel) 사이에 매복시켰다. 그리고 다음 날, 직접 군사를 진두지휘하여 아이성 정면으로 이동했다. 성문 앞에 이르러 모든 병사로 하여금 성안에 있는 적을 향하여 조롱과 격한 야유를 퍼붓도록 했다. 적의 화를 돋워 그들 스스로 성문을 열고 나오도록 하는 일종의 유인책이었는데, 이 계략은 적중하여 마침내 성문이 열렸다.
그러자 이스라엘군이 혼신의 힘을 다해 후퇴해 버린다. 이에 아이 왕은 이스라엘군의 퇴각에 득의양양하여 전(全) 병사와 민간 백성까지 동원하여 여호수아군을 추격한다. 아이 왕이 여호수아의 유인책에 속은 것이다.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적어도 성안에 경계병과 예비대(豫備隊, reserve)는 남겨 두었어야 했으나 그것도 잊고 추격했다. 그런데 이것은 이스라엘의 구속사 측면에서 볼 때 아이 왕의 실책이 아니라 ‘하나님의 섭리’라 해야 옳을 것이다.
내가 아이 왕과 그의 백성과 그의 성읍과 그의 땅을 다 네 손에 넘겨주었으니(수 8:1).
아이 성이 빈 사이 반대편에서 매복하고 있던 이스라엘의 3만 병사가 보무도 당당하게 무혈 입성했다. 점령 완료했다는 신호로 봉화를 올리니 후퇴하던 이스라엘 병사들이 급속히 180도 회군하여 추격하던 아이군과 정면으로 맞부딪친다. 동시에 아이군의 뒤편에서는 성을 점령한 이스라엘군이 돌진하여 아이군의 후방을 압박함으로 아이군은 이스라엘군에 완벽히 포위되고 말았다. 전쟁사를 볼 때, 이 같은 포위작전에 걸린 진영은 예외 없이 전멸했다. 이 전투에서 아이 거민 1만 2000명이 죽임을 당했다고 성경은 기록하고 있다.
여리고와 아이 성 전투는 인간의 판단과 이성으로서는 이해가 불가한 전쟁이었다. 이 전쟁은 역사를 통치하시는 ‘하나님의 섭리’의 관점에서 이해해야만 한다. 이 전투를 통해 하나님은 인간 이성의 한계와 능력을 초월하신, 그리고 전지(Omniscience)전능(Omnipotence)하신 우주의 통치자임을 나타내셨다. 하나님의 주권적인 통치는 자신이 택한 지도자 여호수아에게 ‘너의 생각으로 전쟁의 승패를 염려하지 말고 나에게 온전히 맡겨라. 그리고 내가 전쟁을 지휘함을 믿어 모든 것을 나에게 의지하고 너는 단지 마음을 강하게 하고 담대하라’(수 1:6, 7, 9)는 반복적인 메시지에서 잘 나타나 있다. 그리고 “내가 여리고와 그 왕과 용사들을 네 손에 넘겨주었으니“(수 6:2)라는 전쟁의 결말까지 예고하시어 전쟁의 승패는 하나님 자신에게 달려 있음을 확증하셨다. …
p. 86-89

35. 남유다의 영화(기원전 792-740년)
열왕기하 14:21, 15:1-7; 역대하 26:1-23을 중심으로

기원전 780년경, 앗시리아 아다드 니라리 3세의 침공 이후, 아람국이 급격히 쇠퇴하자, 북이스라엘은 그야말로 날개 달린 사자처럼 거침없이 영토를 넓혀 재도약의 길을 걷고 있었다. 이러한 영화는 그동안 이민족의 침입으로 고통받던 이스라엘에 대한 하나님의 약속이었다. 여로보암 2세가 이 약속의 대행자가 되어 그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고 있었다.
북이스라엘이 승승장구하고 있을 무렵, 파란 많은 생을 살다 신하들의 모반으로 죽임을 당한 아마샤를 계승한 아사랴(Azariah)라 불리는 웃시야(Uzziah, 기원전 792-740년)가 그의 나이 지학(志學) 16세에 유다의 왕위에 올랐다.50 웃시야도 여로보암 2세와 마찬가지로 여호와의 도움으로 얻은 정치적·경제적·군사적 성공으로 유다를 강대국의 반열에 올려놓은 위대한 왕이었다.51
웃시야의 재임 52년을 요약하면, 세 가지의 성공과 한 가지의 실책으로 평가될 수 있다. 먼저, 웃시야 왕의 성공적인 업적은 (1) 창의적인 군사력 건설 (2) 영토 확장 (3) 농업 생산성 확대다.
그는 즉위하자마자 왕국의 군사력 건설에 역량을 집중했다. 군대장관으로 하나냐(Hananiah)를 임명하고, 서기관 여이엘(Jeiel)과 관원 마아세야(Maaseiah)에게 지시해 전투 가능한 모든 장정을 파악하도록 했다. 지휘관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유능한 족장이 2600명, 병사로 복무할 수 있는 인원이 30만 7500명 정도임이 파악되었고, 이에 따라 족장 한 명당 병사 120명을 할당해 지휘하도록 했다. 오늘날 보병 중대급과 동일한 제대다. 그리고 각 병사들에게 전투에 필요한 장비를 지급했다. 보병에게는 방패, 창, 투구 그리고 갑옷을, 궁병에게는 활과 화살을, 투석병에게는 돌물매뿐만 아니라 특수하게 제작한 장비를 운용케 했다(대하 26:12-15 참고).
군사력 건설에서 드러난 웃시야의 창의력은 단연 특수무기 개발에서 돋보였다.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 유다의 기술자들에게 대량인마살상용 전투무기를 개발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이 고안한 특수 무기는 ‘투석기’와 ‘쇠뇌’였다. 먼저 투석기는 돌물매를 응용한 무기였는데, 제작한 틀에 돌을 넣고 쏘아 성벽을 무너뜨리는 장비였다.52 그리고 쇠뇌는 동물뼈, 가죽 등으로 특수 제작한 거대한 활로서 사거리가 100~150m나 되며, 한 번에 여러 발을 동시에 쏠 수 있는 당시로서는 엄청난 살상무기였다. 그리고 전쟁 시 접근하는 적을 대량 살상하기 위해 예루살렘 성 모퉁이마다 망루(tower)를 만들어 이들 투석기와 쇠뇌를 설치했다. 병력의 교육 훈련, 장비 개선, 무기 체계의 획기적인 개발을 기반으로 웃시야는 드디어 정복전쟁을 개시했다. 우선 비교적 상대하기 쉬우며 경제 부흥을 위해 필요한 홍해 아카바 만에 접한 도시 ‘엘랏’(Elath, 또는 엘롯)을 정복하고 이 도시를 이스라엘 용도에 맞게 재건했다. 이 엘랏은 유다 백성에게 두 가지 측면에서 각별했다.
p. 350-352

목차

일러두기
프롤로그

제1부 찬란한고대제국과이스라엘
아브람부터 사사 시대까지 기원전 1801-1120년

1. 첫 동맹군 전투 그리고 아브람_BC 1801
참고지식 1 중근동의국제정세_BC 15001000
2. 이집트 탈출 작전 1:탈출배경_ BC 1446
3. 이집트 탈출 작전 2:추격및홍해도하작전_BC 1446
4. 르비딤 전투
5. 이스라엘의 민족 형성기 :자유의지,좌절그리고연단
6. 가나안 정복 전쟁 1: 여리고성,아이성전투
7. 가나안 정복 전쟁 2:미완의정복
8. 카데시 전투 1:두문명의충돌_BC 1275-1274
9. 카데시 전투 2:무승부그리고평화협정_ BC 1275-1274
10. 이스르엘 계곡 전투:기드온특수부대_ BC 1183
11. 바빌로니아 대 엘람 전쟁_ BC 1120

제2부 해양세력의부상과통일왕국의길
사무엘부터 르호보암까지 기원전 1048-926년

12. 믹마스 전투 _BC 1048
13. 길보아 산에 떨어진 별 1: 블레셋의 도발 _BC 1010
14. 길보아 산에 떨어진 별 2: 사울의 죽음 _BC 1010
15. 피의 전쟁 1: 통일왕국으로 가는 길
16. 피의 전쟁 2: 영원한 왕국 건설
참고지식 2 통일 이스라엘 분열 전 국제 정세 _BC 1051-931
17. 이스라엘의 분열 : 분쟁의 서막 _BC 931
18. 이집트의 유다 침공 _BC 926

제3부 견고한 앗시리아와 흔들리는 이스라엘
아비얌부터 아몬까지 기원전 911-677년

참고지식 3 앗시리아 제국의 탄생과 멸망 _BC 911-609
19. 제1차 남북전쟁: 남유다 아비얌의 선제공격 _BC 913
20. 제2차 남북전쟁: 북이스라엘 바아사의 도발 _BC 885
21. 제1차 사마리아 대 아람 전쟁: 아람의 패배 _BC 856
22. 제2차 사마리아 대 아람 전쟁: 아람의 패배, 아합의 오판 _BC 855
23. 카르카르 전투 1: 발발 배경 _BC 853
24. 카르카르 전투 2: 충돌 전야 _BC 853
25. 카르카르 전투 3: 무승부 _BC 853
26. 제3차 사마리아 대 아람 전쟁: 이스라엘의 패배 _BC 852
27. 3국 동맹군 대 모압 전쟁 1: 모압의 반란 _BC 850
28. 3국 동맹군 대 모압 전쟁 2: 그모스의 분노 _BC 850
29. 제4차 사마리아 대 아람 전쟁: 책사 엘리사의 활약_ BC 848, 845
30. 유다 봉신국들의 반란: 신의 징계 _BC 845, 842
31. 반역, 반역 그리고 반역: 새 왕조의 등장 _BC 841
32. 금송아지와 바알의 비극: 그 몰락의 서막
33. 제3차 남북전쟁: 레바논의 가시나무와 들짐승 _BC 790
34. 공의와 자비의 공존 _BC 781-760
35. 남유다의 영화 _BC 792-740
36. 사마리아의 창녀 죽다 1: 죽음의 서막 _BC 722
37. 사마리아의 창녀 죽다 2: 북이스라엘의 멸망 _BC 722
38. 베옷 입은 히스기야와 채색옷 입은 산헤립 1: 앗시리아의 1차 유다 침공 _BC 714
39. 베옷 입은 히스기야와 채색옷 입은 산헤립 2: 앗시리아의 2차 유다 침공 _BC 701
40. 베옷 입은 히스기야와 채색옷 입은 산헤립 3: 히스기야의 구원
참고지식 4 기원전 7세기경의 앗시리아와 이집트 정세
41. 초승달과 훼방받는 이스라엘의 거룩한 자: 앗시리아의 3차 유다 침공 _BC 677

제4부 바벨론의 부상과 이스라엘의 멸망
요시야부터 시드기야까지 기원전 620-586년

참고지식 5 신바빌로니아의 부상과 몰락 _BC 620-539
42. 니느웨 성 전투 1: 1차 니느웨 공격 실패 _BC 612
43. 니느웨 성 전투 2: 바벨론 동맹군 결성과 전초전
44. 니느웨 성 전투 3: 불타는 철옹성 니느웨
45. 하란 전투: 이집트의 패배, 앗시리아 잔존 세력의 멸망 _BC 610
46. 므깃도 전투: 요시야 왕의 죽음 _BC 609
47. 제1차 갈그미스 전투: 바벨론의 패배 _BC 609
48. 제2차 갈그미스 전투 1: 이집트의 속국이 된 유다 _BC 605
49. 제2차 갈그미스 전투 2: 바벨론의 승리 _BC 605
50. 바벨론 대 이집트 전쟁 1: 폭풍전야, 1차 바벨론 포로 _BC 601
51. 바벨론 대 이집트 전쟁 2: 이집트의 패배, 1차 바벨론 유다 침공 _BC 601
52. 바벨론의 2차 유다 침공: 2차 바벨론 포로, 시드기야의 오판 _BC 597
53. 바벨론 대 이집트의 재격돌: 이집트의 패배 _BC 588
54. 샤론의 꽃 지다: 바벨론의 3차 유다 왕국 침공, 3차 바벨론 포로 _BC 586

에필로그

저자소개

저자 이재호는 성경에 나타난 전쟁의 역사적 사실성을 재조명하기 위해 수년 동안 광범위한 자료를 수집, 연대 고증, 이스라엘 답사를 통하여 지식을 확증했으며, 정통개혁교회의 핵심교리 중 하나인 ‘하나님의 섭리’와 인류의 역사 속에 수반된 ‘전쟁’과의 상관관계를 성경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그리고 인류의 역사는 구원의 역사이며 전쟁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속성인 ‘공의’와 ‘자비’를 이행하는 도구적 역할을 하였다는 결론을 내놓았다. 저자는 당대 근동 지역의 정치적 역학관계, 종교적 세계관, 문화적 정체성에 근거하여 성경에 기록된 전쟁이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진행되었음을 강조하였다. ‘섭리’라는 전체적인 숲을 기초로 시대별로 일어난 ‘전쟁’이라는 각각의 나무를 분석하여, 성경 속의 전쟁을 생동감 있게 내러티브(narrative) 형식으로 전개했다.
저자는 육군 장교로 임관한 후 육군대학, 국방대학원을 졸업하고 전·후방 각지에서 참모·지휘관으로 복무했다. 그 후 도미하여 서남침례신학대학원(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에서 신학석사(M.Div)를 마치고 교회사를 전공, 영국의 침례교 선구자인 벤자민 키치(1640-1704년)의 신학적 스펙트럼을 연구해 철학박사 학위(Ph. D.)를 받았다.
‘전쟁과 섭리’는 달라스 소재 《뉴스코리아》와 뉴욕 소재 《기독저널》에 ‘전쟁과 종교’란 주제로 절찬리에 연재되었던 것으로 독자들의 뜨거운 사랑을 받았다. 현재 미국 침례신문과 《기독저널》의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고 ‘전쟁과 섭리’를 연재 중이다.

도서소개

『전쟁과 섭리』는 프랑스혁명 이후 각종 국제 전쟁에서 도출된 경험칙에 의거하고, 동서고금의 전쟁술의 원칙이 된 제반 요소들을 고려하여 성경에 언급된 전쟁과 전투를 가능한 한 성경 원문에 충실하게 재구성했다. 저자는 전쟁이라는 도구를 통해 인류 역사를 다스리시는 하나님의 섭리를 드러내고자 했다. 사랑의 하나님뿐 아니라 인간의 역사 속에 보이는 ‘하나님의 공의’와 ‘거룩함’을 알리고 왜 인류에게 메시아이신 예수님이 필요한지 역사를 통해 스스로 깨닫게 하고자 했다. 독자는 ‘섭리’라는 숲을 기초로 시대별로 일어난 ‘전쟁’이라는 각각의 나무를 통해 전쟁 속 하나님의 섭리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