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조경은 오달수다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
CHAPTER 01 자연을 담은 디자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
1.1 조경이란?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5
1.2 조경의 현실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9
1.3 자연미와 예술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3
1.4 대상의 축소와 자연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6
1.5 관계의 축소와 자연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8
CHAPTER 02 정원과 조경은 무엇이 다를까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3
2.1 정원이란?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3
2.2 조경이란?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6
2.3 정원과 조경의 차이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2
2.4 조경의 현대적 가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5
1) 진: 조경의 가치는 다름이다 36
2) 선: 조경의 가치는 자연이다 37
3) 미: 조경의 가치는 오달수다 39
4) 조경이 명품조연의 역할을 수행한 하이라인 40
CHAPTER 03 조경의 오늘을 만든 사람들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45
3.1 앤드류 잭슨 다우닝(Andrew Jackson Downing):
미국조경의 설립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45
3.2 프레데릭 로우 옴스테드(Frederick Law Olmsted):
미국 조경의 아버지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49
3.3 찰스 엘리엇(Charles Eliot)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54
3.4 헨리 빈센트 허바드(Henry Vincent Hubbard)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58
3.5 가렛 에크보(Garrett Eckbo)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1
3.6 이안 맥하그(Ian McHarg)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66
3.7 알아두면 좋은 현대 조경가 요약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1
CHAPTER 04 동양의 정원은 왜 만들었을까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3
4.1 중국의 정원: 원림(園林)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4
4.2 일본의 정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9
1) 아스카(飛鳥)시대와 나라(奈良)시대 80
2) 헤이안(平安)시대 80
3) 가마쿠라(鎌倉)시대 82
4) 무로마치(室町) 시대 82
5) 모모야마(桃山)시대 83
6) 에도(江戶)시대 84
7) 메이지(明治)시대 이후 84
8) 일본정원의 특성 85
4.3 한국의 정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86
1) 한국정원에 영향을 준 사상체계 86
2) 삼국시대: 신라의 월지 88
3) 조선시대: 창덕궁 후원과 소쇄원 92
4) 한국정원의 특징 100
CHAPTER 05 서양의 정원은 무엇을 남겼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1
5.1 성서의 정원: 에덴동산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1
5.2 메소포타미아의 정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5
1) 수렵원(狩獵苑) 106
2) 공중정원 107
5.3 이집트의 정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09
1) 주택과 분묘정원 109
2) 신원(神苑) 110
5.4 그리스의 아도니스 가든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11
5.5 로마의 주택정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13
1) 주택정원 113
2) 별장정원 114
3) 포럼과 시장, 그리고 정원식물 115
5.6 중세의 정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17
1) 유럽의 정원 117
2) 이슬람 정원 119
5.7 르네상스 정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23
1) 이탈리아 정원 124
2) 프랑스 정원 125
5.8 18세기 영국 정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28
CHAPTER 06 공원녹지의 존재이유는 무얼까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31
6.1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한 분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32
1)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15조 133
2)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35조 135
6.2 공원녹지의 특징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36
1) 공원녹지의 성격 136
2) 공원녹지의 기능 138
3) 공원녹지의 유형 140
4) 그린인프라 141
6.3 영국의 공원: 버큰헤드파크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43
6.4 미국의 공원: 센트럴파크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48
6.5 우리나라의 도시공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54
1) 도시공원의 효시 마을숲 154
2) 도시공원의 도입에서 여의도공원까지 157
CHAPTER 07 공원녹지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63
7.1 대구시 도시공원의 도입과 전개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63
1) 달성공원과 중앙공원 165
2) 앞산공원과 망우공원 167
3) 두류공원과 범어공원 170
4) 봉무공원, 국채보상기념공원. 2ㆍ28기념중앙공원 172
5) 가로수, 도시숲, 푸른옥상 175
7.2 서울특별시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80
1) 여의도샛강생태공원과 길동생태공원, 영등포공원 180
2) 선유도공원ㆍ낙산공원ㆍ월드컵공원 181
3) 청계천복원과 서울숲 183
4) 북서울꿈의숲과 서서울호수공원, 상상어린이공원 184
5) 푸른도시선언과 시민생활 밀착형 공원녹지 186
6) 서울시 공원녹지 정책의 주요 변화로 본 교훈 188
CHAPTER 08 조경의 시작은 인간의 이해에서부터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91
8.1 인간의 몸과 스케일(Scale)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92
8.2 황금비와 척도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95
8.3 스케일의 측정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00
8.4 환경심리학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03
1) 개인적 공간 205
2) 개인적 공간의 크기 207
3) 영역성 212
CHAPTER 09 자연을 담기 위한 준비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17
9.1 조경계획과정: PㆍPㆍT분석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19
9.2 People: 이용자 특성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21
1) 사회적 분석: 설문조사법(Questionnaires) 221
2) 이용자행태와 환경의 상호작용 분석(User’s Behaviour) 222
9.3 Place: 대상지의 물리적, 생태적 그리고 역사적 특성 ㆍㆍㆍㆍㆍㆍㆍ 224
1) 지질(Geology) 224
2) 토양(Soil) 225
3) 지형(Topography) 225
4) 식생(Vegetation) 225
5) 야생동물(Wildlife) 226
6) 대상지의 특성(Existing Features) 226
7) 시각적인 질(Visual Quality) 227
8) 기후(Climate) 227
9.4 Time: 시대적 특성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28
9.5 조경디자인 요소: 4E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29
1) 지형 231
2) 식물재료 234
3) 물 237
4) 돌 239
CHAPTER 10 자연과 인간을 화해시키는 방법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43
10.1 디자인과 환경의 특성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43
1) 상호관련성 244
2) 광역성 245
3) 시차성 247
4) 탄력성과 비가역성 248
5) 엔트로피 증가 249
10.2 기후변화와 조경디자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50
10.3 조경디자인을 위한 기초 생태학과 생태계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54
10.4 도시생태계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57
10.5 도시열섬현상과 지속가능한 디자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61
1) 도시열섬현상 261
2) 지속가능한 개발(Sustainable Development) 263
10.6 그린디자인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66
1) 인간과 자연을 화해시키는 방법 266
2) 3R : 재생, 재활용, 재사용 268
00.머리말_목차.indd 7 2016-02-15 오후 2:46:24
3) 지속가능한 조경디자인: 그린디자인 270
CHAPTER 11 자연을 담는 방식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73
11.1 식재디자인 원리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75
1) 통일(Unity) 276
2) 대비(Contrast) 278
3) 균형(Balance) 279
4) 점진(Gradation) 280
5) 반복(Repetition) 282
6) 유사(Similarity) 283
7) 축(Axis) 284
8) 질감(Texture) 285
9) 리듬(Rhythm) 287
10) 균제(Symmetry) 288
11.2 식재디자인의 기본개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89
11.3 식물의 규격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95
1) 측정 기준 295
2) 식물규격표시 방법 297
CHAPTER 12 나무를 이야기하다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99
12.1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old et Zucc.)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01
12.2 메타세쿼이아(Metasequoia glyptostroboides Hu & W. C. heng) ㆍㆍ 303
12.3 은행나무(Ginkgo biloba L.)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05
12.4 칠엽수(Aesculus turbinata BLUME.)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06
12.5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L.)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11
12.6 이팝나무(Chionanthus retusus Lindl. & Paxton) ㆍㆍㆍㆍㆍㆍㆍㆍ 313
12.7 호랑가시나무(Ilex cornuta Lindl. & Paxton)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15
에필로그: 나무와 친해지는 한 가지 방법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19
13.1 벚꽃(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Maxim.) E. H. Wilson) ㆍ 323
13.2 목련(Magnolia kobus A. P. DC.)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24
13.3 산딸나무(Cornus kousa F. Buerger ex Miquel) ㆍㆍㆍㆍㆍㆍㆍㆍ 325
13.4 모과나무(Cydonia sinensis THOUIN)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26
13.5 섬잣나무(Pinus parviflora S. et Z.)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27
13.6 백합나무(Liriodendron tulipifera L.)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28
13.7 박태기나무(Cercis chinensis Bunge)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29
13.8 피라칸타(Pyracantha angustifolia C. K. Schneid.) ㆍㆍㆍㆍㆍㆍㆍ 330
13.9 꽃댕강나무(Abelia mosanensis T.H.Chung) ㆍㆍㆍㆍㆍㆍㆍㆍㆍ 331
13.10 단풍나무(Acer palmatum Thunb.)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32
13.11 중국단풍(Acer buergerianum MIQ.)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33
13.12 화살나무(Euonymus alatus (Thunb.) Siebold) ㆍㆍㆍㆍㆍㆍㆍㆍ 334
13.13 메타세쿼이아(Metasequoia glyptostroboides) ㆍㆍㆍㆍㆍㆍㆍㆍㆍ 335
13.14 수수꽃다리(Syringa oblata var. dilatata (Nakai) Rehder)ㆍㆍㆍㆍ 336
13.15 영산홍(Rhododendron indicum Linnaeus)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37
13.16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38
13.17 은목서(Osmanthus fragrans (Thunb.) Lour.) ㆍㆍㆍㆍㆍㆍㆍㆍㆍ 339
13.18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40
13.19 전나무(Abies holophylla Max.)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41
13.20 좀작살나무(Callicarpa dichotoma.)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42
찾아보기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3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