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국가와 군대윤리(양장본 HardCover) [국방/군사일반]

국가와 군대윤리(양장본 HardCover) [국방/군사일반]

  • 김장흠
  • |
  • 박영사
  • |
  • 2016-03-01 출간
  • |
  • 368페이지
  • |
  • 160 X 230 mm /669g
  • |
  • ISBN 9791130302744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8,000원

즉시할인가

17,82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8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을 펴내며

우리에게 국가란 무엇인가?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어떤 국가에 귀속되어 ‘내 나라 내 조국’이라고 부르고 있으며 국가는 우리가 의지할 영원한 마음의 고향으로서, 사랑과 충성의 대상으로서, 감격과 희망의 대상으로서 존재하고 있다.
국가란 무엇이기에 국가를 위해 희생한다는 것이 충성스러운 행동으로 찬미되고, 또한 인간은 그러한 숭고한 희생을 열망하는 것일까?
여러분과 나의 조국은 대한민국이지요! 여러분은 우리 조국 대한민국이 언제 가장 영광스럽고 감격스러웠나요? 국가를 위해 싸우다 전사한 어느 군인의 모습을 보면서, 스포츠경기에서 대한민국 선수가 우승하여 시상식 때 태극기가 게양되고 애국가가 울려 퍼지는 모습을 보면서, 외국에 나가서 우리 대한민국 한류문화의 활약상을 보면서, 대한민국 기업이 세계 일류기업이 되어 현지에서 내보내는 회사 로그 광고를 보면서, 대한민국의 자긍심을 느끼게 되고 국가라는 이 거대한 조직이 나에게 무엇이고 우리들은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보게 된다.
인간은 누구나 예외 없이 국가라고 하는 사회공동체에 예속하게 되고, 국가를 떠난 인간의 삶을 영유하기란 불가능하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국가의 안전과 국민의 번영을 보장하기 위해 국가정책과 국가전략의 이론과 실제를 깊이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 이를 선도적으로 실천해야 하는 조직이 군대조직이다. 외부의 군사적 위협과 침략으로부터 국가를 보위하고, 한반도에서 전쟁을 억제하고 군사적 긴장완화와 평화정착을 이룩하여 평화적 통일에 이바지하며 지역의 안정과 세계평화에 기여해야 하는 것이 대한민국 군인의 본분이다.
군대 내에서 도덕적 해이 때문에 일어난 사건사고가 다반사다. 2014년 경기도 연천지역의 모 사단에서 윤 일병 구타 사망 사건이 발생했다. 윤 일병 사건은 행동이 느리고 굼뜨다는 이유로 선임들에게 상습적인 폭행과 가혹행위를 당하다 결국 사망에 이른 사건이다. 국방의 의무를 다하려고 군에 입대한 청년들이 선임병사의 몹쓸 폭력과 횡포에 숨죽이면서 하루하루 고통에 시달린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2014년 강원도 고성 전방부대에서 전역을 3개월을 남겨놓은 임 병장이 인격모독을 참지 못해 동료들을 향해 총기를 난사하고 무장탈영한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고로 5명이 사망하고, 7명이 부상을 입었다. ‘군인 사망 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전체 사고의 60% 이상이 자살로 인한 사고이다. 이러한 사고는 군조직의 단결과 사기를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개인적ㆍ사회적으로도 큰 손실을 초래한다. 군 환경ㆍ정서에 적응을 하지 못해 군에서 목숨을 끊는 자살사망자수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또 군에서 상관이나 간부, 선임에 의한 음성적인 성폭력 행위는 끊임없이 발생하는 것도 군의 사기와 명예를 실추시키는 원인이다. 이러한 사건사고를 염두에 두면서 군대윤리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목차

제1부 국가란 우리에게 무엇인가

제1장
국가란 무엇인가 Ⅰ 국가의 형태 3
제1절 국가의 성립과 발전  3
1. 국가의 기원 3
2. 한민족의 원류 7
3. 유럽국가의 등장 10
4. 민주주의 국가체제의 팽창 12
제2절 국가의 성격  14
1. 자유주의 국가론 14
2. 다원주의 국가론 15
3. 계급주의 국가론 16
4. 자율국가론 17
5. 조합주의 국가론 18
6. 관료적 권위주의 국가론 19
제3절 국가의 구성요소  20
1. 영토 20
2. 국민 22
3. 주권 27
제4절 국가의 분류와 국가안보  30
1. 강대국과 약소국 30
2. 강건한 국가와 연약한 국가 31

제2장
국가란 무엇인가 Ⅱ 국가안보와 국력 36
제1절 국가의 불안  36
1. 왜 불안한가 36
2. 위협과 안보 38
3. 이익과 안보 43
4. 취약성과 안보 45
제2절 국가안보와 국가이익  49
1. 국가안보의 개념 49
2. 국가이익의 개념 50  
3. 국가이익의 분류 53
제3절 국  력  54
1. 국력의 정의 54
2. 국력의 요소 55
제4절 국가안보 영역  61
1. 군사안보 61
2. 사회안보 63
3. 경제안보 66
4. 정치안보 69
제2부 우리의 조국 대한민국

제3장
국가로서의 대한민국 75
제1절 대한민국의 건국 75
1. 대한민국 건국의 배경 75
2. 유엔의 한국 결의 78  
3. 남북협상 및 평가 82
4. 5ㆍ10선거와 제주 4ㆍ3사건 84  
5. 건국헌법의 제정, 건국 91
6. 건국의 역사적 의의 93  
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성립 94  
제2절 대한민국 체제의 우월성 97
1.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우월성 97
2. 공산주의 체제와 결함 100
3. 고도경제성장 103
4. 민주주의 발전 107
제3절 한반도 안보현실 109
1. 북한의 경제상황 109
2. 북한의 경제정책 방향 110

제4장
우리 민족의 국난극복 112
제1절 한민족과 민족국가의 형성 112
1. 우리 민족의 부흥기 112
2. 민족국가의 형성 113  
3. 통일국가의 형성 116
제2절 민족웅비 122
1. 고려의 북진정책 122
2. 조선시대의 영토확장 정책 128
제3절 국난극복과 호국정신 133
1. 개관 133
2. 수ㆍ당과의 투쟁 134  
3. 몽고의 침입과 투쟁 136
4.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138
제4절 민족의 시련과 교훈 143
1. 일제의 포악한 무단정치 143
2. 임시정부와 광복전쟁 146

제5장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148
제1절 위대한 유산 대한민국 148
1. 경제원조 주는 나라 148
2. 발전 국가체제의 가동 158
3. 중화학공업화와 국토 사회의 개발 161
4. 중진경제로의 진입 168
제2절 대한민국과 국군 172
1. 군의 발전상 172
2. 강군육성 175
3. 자랑스럽고 보람 있는 군 복무 여건 조성 176
제3부 군대윤리의 기초

제6장
군대윤리란 무엇인가 181
제1절 인간과 윤리 181
1. 인간의 자기이해 181
2. 윤리와 윤리학 182
3. 현대사회와 윤리 192
4. 한국과 윤리 197
제2절 군대윤리의 이론적 토대 202
1. 윤리학의 개관 202
2. 군대윤리의 성립 203
3. 군대윤리의 범주와 지향 205
4. 군대윤리의 개념과 특성 207
5. 전쟁도덕으로서 군대윤리 212

제7장
군인의 직업윤리 217
제1절 직업의 본질, 의식 217
1. 직업이란 217
2. 직업의 필요성 218
3. 직업관의 내용 219
4. 전통사상과 직업의식 220
5. 현대사회와 바람직한 직업의식 223
제2절 직업군인 223
1. 직업군인의 역사 223
2. 직업군인의 사회적 시각 224
3. 직업분류상 군인의 의미, 특수성 226
4. 직업군인으로서의 군대윤리 228
5. 전쟁과 도덕으로서의 군대윤리 230
제3절 직업의 선택과 준비 234
1. 직업선택 시 고려요소 234
2. 직업발달이론 235
3. 성취동기와 성취행위 237  
4. 직업생활 준비 239
제4절 군인과 국가 243
1. 전문직업과 군대 243
2. 전문직업의 개념 247
3. 군인과 국가의 관계 248
제4부 군인의 윤리규범

제8장
군대사회와 군대문화 253
제1절 군대사회의 특징 253
1. 군대의 임무와 기능 253
2. 군대 조직의 특성 254
3. 명령과 복종의 윤리 255  
4. 명령에 대한 복종의 한계 259
제2절 군대문화의 특징 266
1. 군대문화의 개념 특징 267  
2. 군대문화와 시민문화의 조화 269
3. 군대의 전통적 가치 272  
4. 군대의 관행과 전통들 277
제3절 군대문화의 정체성 확립 285
1. 왜곡된 군대문화 286  
2. 바람직한 군대문화 291

제9장
군인의 의무와 덕목 295
제1절 진 실 성 295
1. 진실성의 의미 295  
2. 지휘자의 진실성 296
3. 진실성과 신뢰성 297
제2절 성 실 성 298
1. 성실의 의미 298  
2. 지휘자의 성실성 299
3. 성실과 신뢰 감동 301  
4. 성실의 함양과 고취 302
제3절 충 성 303
1. 충성의 의미 303  
2. 군인의 충성 304
3. 충성의 함양과 고취 305
제4절 존 중 307
1. 존중의 의미 307  
2. 존중의 실현 310
3. 군대에서의 존중 311
제5절 책 임 315
1. 책임의 의미 315  
2. 책임의 실현 316
3. 고의적이지 않은 행위에 대한 책임 317  
4. 군대에서의 책임 318
제6절 용 기 320
1. 용기의 의미 320  
2. 용기의 실현 321
3. 군대에서의 용기 321
제7절 명 예 324
1. 명예의 의미 324  
2. 군대에서의 명예 326
3. 명예의 실현 329

제10장
바람직한 군간부상 331
제1절 사 생 활 331
1. 공직자의 사생활에 관한 논의 331  
2. 군인의 사생활 333
3. 성적 군기문란 335  
4. 종교생활 336  
5. 사생활의 품위 338
제2절 동ㆍ서양의 전통적 장수상 339
1. 직업주의와 능력 339  
2. 장수의 지위와 역할 341
3. 동ㆍ서양의 장수상 분석 342
제3절 한국군 간부상 정립 353
1. 대한민국 군의 창군과 건군 353  
2. 참군인 사례분석 355

사항색인 363

저자소개

저자 김장흠은 1957년 충북 영동에서 출생, 대전에서 초?중?고를 졸업하고 육군3사관학교와 육군대학을 졸업했다. 한성대학교 국제대학원 안보전략학석사, 한성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정책학박사를 졸업했다. 대한민국 육군에서 32년간 야전부대와 정책부서에서 지휘관과 참모업무를 수행하면서 국가와 군을 위해 헌신하는 자세로 열정적이고 성공적으로 근무를 하였다.
육군대령으로 전역하여 영남대학교 군사학과에서 후학양성에 일익을 담당하면서 국가안보와 군 간부의 도덕성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깨닫게 되었다. 이후 대덕대학교 군사학부장으로 자리를 옮겨 ‘군이 원하는 인재’ 인성과 품성을 겸비한 장교 및 부사관 양성에 진력하고 있다. 현재 대덕대학교에서 군사학부장과 3사커리어개발센터장을 역임하면서 육군3사관학교, 육군부사관, 해군부사관 전국최다 합격생을 배출하고 있다.

도서소개

▶ 이 책은 국가와 군대윤리를 다룬 이론서입니다. 국가와 군대윤리의 기초적이고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