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16 김종석 행정법 세트 (전2권)

2016 김종석 행정법 세트 (전2권)

  • 김종석
  • |
  • 윌비스
  • |
  • 2015-07-11 출간
  • |
  • 942페이지
  • |
  • 210 X 270 mm
  • |
  • ISBN 978896538858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42,000원

즉시할인가

37,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7,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취소소송의 체계

PART 행정법 통론 1

제1절 행정소송의 종류················································ 2
Ⅰ 개설_ 2
Ⅱ 현행 행정소송법상 행정소송의 종류_ 2
Ⅲ 법정외 항고소송_ 3

제2절 취소소송의 의의················································ 4

제3절 소송요건······················································ 4
Ⅰ 개설_ 4
Ⅱ 피고적격_ 6
Ⅲ 관할법원_ 15
Ⅳ 전심절차_ 17
Ⅴ 제소기간_ 18
Ⅵ 소장_ 19
Ⅶ 원고적격 및 협의의 소의 이익_ 19
Ⅷ 대상적격_ 22

Chapter 1 행 정 28

제1절 행정의 정의··················································· 28
Ⅰ 행정의 개념_ 28
Ⅱ 행정과 다른 국가작용과의 구별_ 29
Ⅲ 행정의 분류_ 30

제2절 권력분립이론·················································· 31
Ⅰ 전통적 권력분립이론_ 31
Ⅱ 현행 헌법상 권력분립_ 31

제3절 통치행위····················································· 31
Ⅰ 의의_ 31
Ⅱ 제도적 전제_ 32
Ⅲ 각국의 통치행위 인정 실태_ 32
Ⅳ 통치행위의 인정여부에 관한 학설_ 32
Ⅴ 우리나라에 있어서의 통치행위_ 33
Ⅵ 통치행위로 인정?불인정되는 구체적인 예_ 36
Ⅶ 통치행위의 법적 효과_ 37
Ⅷ 통치행위의 한계_ 37

Chapter 2 행정법 38

제1절 행정법의 의의 및 성립과 유형···································· 38
Ⅰ 행정법의 의의_ 38
Ⅱ 행정법의 성립과 유형_ 38

제2절 법치주의와 법치행정의 원리······································ 39
Ⅰ 법치주의_ 39
Ⅱ 법치행정의 원리_ 41

제3절 행정법의 특색················································· 46

제4절 행정법의 법원(法源) ············································ 47
Ⅰ 법원의 의의 및 특징_ 47
Ⅱ 법원의 종류_ 47

제5절 행정법의 일반원칙(조리) ········································· 56
Ⅰ 의의_ 56
Ⅱ 비례의 원칙(=과잉금지의 원칙)_ 56
Ⅲ 평등의 원칙과 행정의 자기구속의 원칙_ 63
Ⅳ 신뢰보호의 원칙_ 70
Ⅴ 부당결부금지의 원칙_86

제6절 행정법의 효력················································· 90
Ⅰ 시간적 효력_ 90
Ⅱ 지역적 효력_ 96
Ⅲ 대인적 효력_ 96

제7절 행정법의 기본원리·············································· 97
Ⅰ 민주행정의 원리_ 97
Ⅱ 법치행정의 원리(실질적 법치국가주의)_ 97
Ⅲ 사법국가주의_ 97
Ⅳ 복리국가주의_ 98
Ⅴ 지방분권주의_ 98

Chapter 3 행정상 법률관계 99

제1절 행정상 법률관계의 종류········································· 99
Ⅰ 개괄_ 99
Ⅱ 행정조직법적 관계_ 99
Ⅲ 행정작용법적 관계_ 99

제2절 특별행정법관계··············································· 105
Ⅰ 전통적 특별권력관계론_ 105
Ⅱ 특별권력관계론의 재검토_ 108
Ⅲ 특별행정법관계와 법치주의_ 109

제3절 행정법관계의 당사자··········································· 111
Ⅰ 개설_ 111
Ⅱ 행정주체_ 112
Ⅲ 행정객체_ 117

제4절 행정법관계에 대한 사법규정의 적용······························· 117
Ⅰ 의의 및 쟁점_ 117
Ⅱ 사법규정의 적용_ 117
Ⅲ 사법규정의 유추적용의 한계_ 119

제5절 행정법관계의 내용············································ 119
Ⅰ 국가적 공권_ 119
Ⅱ 개인적 공권_ 119
Ⅲ 개인적 공권의 확대경향_ 126

Chapter 4 행정법상의 법률요건과 법률사실 142

제1절 법률요건과 법률사실··········································· 142

제2절 행정법상의 사건·············································· 144
Ⅰ 시간의 경과_ 144
Ⅱ 주소_ 150

제3절 행정법상의 사무관리?부당이득·································· 150
Ⅰ 사무관리_ 150
Ⅱ 부당이득_ 151

제4절 사인의 공법행위·············································· 154
Ⅰ 공법행위의 의의 및 종류_ 154

PART 행정 작용법 2
Ⅱ 사인의 공법행위_ 155
Ⅲ 사인의 공법행위로서의 신고_ 158

Chapter 1 행정입법 170

제1절 개 설······················································· 170
Ⅰ 행정입법의 의의_ 170
Ⅱ 행정입법의 종류_ 170

제2절 법규명령···················································· 172
Ⅰ 법규명령의 의의와 성질_ 172
Ⅱ 법규명령의 종류_ 172
Ⅲ 법규명령의 한계_ 176
Ⅳ 법규명령의 성립, 발효요건 및 그 하자의 효과_ 182
Ⅴ 법규명령의 소멸_ 184

제3절 행정규칙···················································· 186
Ⅰ 의의_ 186
Ⅱ 행정규칙의 구속력_ 186
Ⅲ 행정규칙의 종류_ 188
Ⅳ 법규명령형식의 행정규칙(법규명령형식의 재량준칙, 법규명령형식의 처분기준) _ 190
Ⅴ 행정규칙형식의 법규명령(법규적 성질의 행정규칙, 법령보충적 행정규칙, 법령보충규칙) _ 194
Ⅵ 규범구체화행정규칙_ 198
Ⅶ 행정규칙의 근거와 한계_ 199
Ⅷ 행정규칙의 성립요건과 발효요건_ 199
Ⅸ 행정규칙의 하자(흠)_ 200
Ⅹ 행정규칙의 소멸_ 200

제4절 행정입법의 통제·············································· 200
Ⅰ 법규명령에 대한 통제_ 200
Ⅱ 행정규칙의 통제_ 206

제5절 행정권의 시행명령(집행명령) 제정의무 및 행정입법부작위············· 208

Chapter 2 행정행위 211

제1절 행정행위의 종류·············································· 211
Ⅰ 주체를 기준으로 한 분류_ 211
Ⅱ 행정청의 의사표시를 기준으로 한 분류_ 211
Ⅲ 법에 기속되는 정도에 의한 분류_ 211
Ⅳ 상대방에 대한 효과를 기준으로 하는 분류_ 211
Ⅴ 상대방의 협력(신청 또는 동의) 유무에 따른 분류_ 212
Ⅵ 대상에 따른 분류_ 212
Ⅶ 상대방이 불특정 다수인인가 특정되어 있는가에 따른 분류_ 213
Ⅷ 형식여부에 따른 분류_ 213
Ⅸ 현재의 법률상태 변경여부에 따른 분류_ 213

제2절 가행정행위?사전결정?부분허가································· 213
Ⅰ 가행정행위_ 213
Ⅱ 다단계 행정절차(단계적 행정절차)_ 214

제3절 복효적 행정행위(이중효과적 행정행위) ····························· 217
Ⅰ 의의_ 217
Ⅱ 복효적 행정행위의 직권취소 및 철회_ 219

제4절 재량행위···················································· 219
Ⅰ 의의_ 219
Ⅱ 결정재량과 선택재량_ 219
Ⅲ 재량행위와 기속행위의 구별_ 220
Ⅳ 재량권의 한계_ 225
Ⅴ 재량행위에 대한 통제_ 230
Ⅵ 판례가 재량행위로 본 사례_ 232
Ⅶ 판례가 기속행위로 본 사례_ 233

제5절 판단여지(론) ················································· 233
Ⅰ 의의_ 233
Ⅱ 재량행위와 판단여지의 구별_ 234
Ⅲ 판단여지가 인정되는 영역_ 234
Ⅳ 판단여지의 한계_ 235
Ⅴ 판례의 태도(구별부정설)_ 235

제6절 행정행위의 내용·············································· 237
Ⅰ 개설_ 237
Ⅱ 법률행위적 행정행위_ 237
Ⅲ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_ 260

제7절 행정행위의 부관·············································· 268
Ⅰ 개설_ 268
Ⅱ 부관의 기능_ 270
Ⅲ 부관의 종류_ 271
Ⅳ 부관의 한계_ 278
Ⅴ 위법한 부관과 행정행위의 효력_ 283
Ⅵ 위법한 부관과 행정쟁송_ 284
Ⅶ 부관의 하자와 사법상 법률행위의 효력_ 285

제8절 행정행위의 성립요건과 효력요건································· 286
Ⅰ 행정행위의 성립요건_ 286
Ⅱ 행정행위의 효력발생요건(발효요건)_ 287

제9절 행정행위의 효력·············································· 290
Ⅰ (내용적) 구속력_ 290
Ⅱ 공정력(예선적 효력)_ 291
Ⅲ 존속력(확정력)_ 298
Ⅳ 강제력_ 301

제10절 행정행위의 하자(흠) ·········································· 301
Ⅰ 개설_ 301
Ⅱ 행정행위의 부존재_ 302
Ⅲ 행정행위의 무효와 취소의 구별_ 302
Ⅳ 하자의 승계_ 305
Ⅴ 하자 있는 행정행위의 치유와 전환_ 310

제11절 행정행위의 무효·············································· 315
Ⅰ 개설_ 315
Ⅱ 무효원인(행정행위의 하자의 구체적인 예)_ 316
Ⅲ 무효의 효과_ 321
Ⅳ 무효의 주장방법_ 321
Ⅴ 일부무효_ 321

제12절 행정행위의 폐지·············································· 322
Ⅰ 행정행위의 (직권)취소_ 322
Ⅱ 행정행위의 철회_ 333

제13절 행정행위의 실효············································· 336
Ⅰ 의의_ 336
Ⅱ 실효사유_ 337
Ⅲ 실효의 효과_ 337
Ⅳ 실효의 주장_ 338

Chapter 3 그 밖의 행정의 행위형식 339

제1절 행정법상의 확약·············································· 339
Ⅰ 의의_ 339
Ⅱ 구별개념_ 339
Ⅲ 법적 성질_ 340
Ⅳ 법적 근거_ 340
Ⅴ 확약의 요건_ 341
Ⅵ 확약의 효과_ 342
Ⅶ 확약과 권리구제_ 342

제2절 공법상 계약·················································· 343
Ⅰ 의의_ 343
Ⅱ 각국의 공법상 계약의 유형_ 345
Ⅲ 공법상 계약의 성립가능성과 자유성_ 345
Ⅳ 공법상 계약의 성립요건_ 346
Ⅴ 공법상 계약의 종류_ 347
Ⅵ 공법상 계약의 특수성과 유용성_ 348
Ⅶ 공법상 계약의 한계_ 351
Ⅷ 공법상 계약의 장점과 단점_ 352
Ⅸ 입찰참가자격제한_ 352

제3절 행정상 사실행위·············································· 354
Ⅰ 의의_ 354
Ⅱ 종류_ 356
Ⅲ 법적 근거와 한계_ 356
Ⅳ 행정상 사실행위에 대한 구제_ 357

제4절 행정지도···················································· 358
Ⅰ 의의_ 358
Ⅱ 법적 성질_ 359
Ⅲ 행정지도의 유용성과 문제점_ 359
Ⅳ 행정지도의 종류(기능에 의한 분류)_ 360
Ⅴ 행정지도의 법적 근거와 한계_ 360
Ⅵ 행정지도의 원칙과 방식_ 361
Ⅶ 행정지도와 권리구제_ 362

제5절 비공식적(비정형적) 행정작용···································· 365
Ⅰ 의의_ 365
Ⅱ 비공식적 행정작용의 종류_ 365
Ⅲ 비공식적 행정작용의 법적 성질 및 법적 근거_ 366
Ⅳ 비공식적 행정작용의 유용성과 문제점_ 366
Ⅴ 비공식적 행정작용의 허용성?효과 및 한계_ 367

제6절 행정계획···················································· 367
Ⅰ 의의_ 367
Ⅱ 행정계획의 종류_ 368
Ⅲ 행정계획의 법적 성질_ 369
Ⅳ 행정계획의 법적 근거_ 372
Ⅴ 행정계획의 절차_ 372
Ⅵ 행정계획의 효력_ 374
Ⅶ 행정계획의 집중효_ 375
Ⅷ 계획재량_ 377
Ⅸ 계획보장청구권(행정계획과 신뢰보호)_ 379
Ⅹ 행정계획과 권리구제_ 382

제7절 행정의 자동화작용············································· 384
Ⅰ 의의_ 384
Ⅱ 법적 성질_ 384
Ⅲ 행정자동결정에 대한 법적 규율의 특수성_ 384
Ⅳ 행정자동결정의 대상_ 385
Ⅴ 행정자동결정의 하자와 권리구제_ 385

제8절 행정절차···················································· 385
Ⅰ 행정절차의 필요성(기능)_ 385
Ⅱ 각국의 행정절차제도_ 386
Ⅲ 행정절차의 법적 근거_ 387
Ⅳ 행정절차법의 구조?특징_ 389
Ⅴ 행정절차의 하자_ 390
Ⅵ 행정절차법의 내용_ 392
Ⅶ 행정절차법 관련판례_ 406

PART 행정의 실효성 확보수단 3

제9절 정보공개···················································· 414
Ⅰ 정보공개제도_ 414
Ⅱ 정보공개의 문제점_ 415
Ⅲ 정보공개의 법적 근거_ 415
Ⅳ 정보공개법의 내용_ 418
Ⅴ 정보공개 관련판례_ 425

제10절 개인정보보호················································ 437
Ⅰ 개인정보보호제도_ 437
Ⅱ 법적근거_ 438
Ⅲ 개인정보보호법의 내용_ 438
Ⅳ 개인정보보호 관련판례_ 460

Chapter 1 개 설 464

Chapter 2 행정강제 465

제1절 행정상 강제집행·············································· 465
Ⅰ 개설_ 465
Ⅱ 행정상 강제집행의 수단_ 466

제2절 행정상 즉시강제·············································· 490
Ⅰ 개설_ 490
Ⅱ 종류(행정상 즉시강제의 수단)_ 492
Ⅲ 한계_ 493
Ⅳ 행정상 즉시강제에 대한 구제_ 495

Chapter 3 행정조사 497

제1절 개 설······················································· 497
Ⅰ 행정조사의 독자성 인정여부_ 497
Ⅱ 행정조사의 법적 성질_ 497
Ⅲ 행정조사의 종류_ 497
Ⅳ 법적 근거_ 498
Ⅴ 행정조사의 한계 및 구제_ 498
Ⅵ 행정조사기본법의 내용_ 500

Chapter 4 행정벌 508

제1절 개 설······················································· 508
Ⅰ 의의_ 508
Ⅱ 행정벌의 성질_ 508
Ⅲ 행정벌의 근거_ 508
Ⅳ 행정벌의 종류 및 본질_ 509

제2절 행정형벌···················································· 510
Ⅰ 행정형벌의 특수성_ 510
Ⅱ 행정형벌의 과벌절차_ 513

제3절 행정질서벌·················································· 515
Ⅰ 행정형벌과 행정질서벌의 병과 가능성_ 515
Ⅱ 행정질서벌과 죄형법정주의_ 517
Ⅲ 행정질서벌의 법적 성질_ 517
Ⅳ 질서위반행위규제법의 내용_ 518

Chapter 5 새로운 실효성 확보수단 527

제1절 금전상의 제재················································ 527
Ⅰ 과징금_ 527
Ⅱ 가산금_ 531
Ⅲ 가산세_ 532

제2절 공급거부···················································· 533
Ⅰ 개설_ 533
Ⅱ 한계_ 533
Ⅲ 구제(처분성 인정여부)_ 534

제3절 행정상 공표(위반사실의 공표) ···································· 535
Ⅰ 개설_ 535
Ⅱ 한계_ 536
Ⅲ 구제_ 536

제4절 관허사업의 제한·············································· 537
Ⅰ 개설_ 537
Ⅱ 한계 및 문제점_ 537

제5절 기타의 수단들················································ 538

PART 행정 구제법 4 Chapter 1 행정구제법 총설 540

제1절 개 설······················································· 540
제2절 부패방지 및 국민권익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법률··············· 541
제3절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 557
제4절 행정규제기본법··············································· 562

Chapter 2 행정상 손해전보 570

제1절 행정상 손해배상·············································· 570
Ⅰ 국가배상책임의 법적 근거_ 570
Ⅱ 공무원의 위법한 직무행위로 인한 손해배상_ 571
Ⅲ 영조물의 설치?관리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_ 603
Ⅳ 행정상 손해배상의 청구절차_ 614

제2절 행정상 손실보상·············································· 617
Ⅰ 개설_ 617
Ⅱ 손실보상청구권의 성질_ 623
Ⅲ 행정상 손실보상의 요건_ 624
Ⅳ 손실보상의 기준과 내용_ 627
Ⅴ 보상의 방법과 지급_ 640
Ⅵ 행정상 공용수용의 절차_ 642
Ⅶ 재결에 대한 권리구제_ 650

제3절 행정상 손해배상과 손실보상의 구별······························· 654
제4절 그 밖의 손해전보제도·········································· 655
제5절 공법상 결과제거청구권········································· 656
Ⅰ 의의_ 656
Ⅱ 요건_ 657
Ⅲ 효과_ 658
Ⅳ 쟁송절차_ 658

Chapter 3 행정소송 659

제1절 행정쟁송의 종류·············································· 659
Ⅰ 심판기관에 따른 구분_ 659
Ⅱ 목적에 따른 구분_ 659
Ⅲ 쟁송절차에 따른 구분_ 659
Ⅳ 처분의 존재여부에 따른 구분_ 659
Ⅴ 행정쟁송의 단계에 따른 구분_ 660

제2절 행정소송의 한계(사법의 본질에서 오는 한계) ························ 660

제3절 항고소송···················································· 661

제1항 취소소송························································ 661
Ⅰ 취소소송의 의의_ 661
Ⅱ 취소소송의 성질_ 661
Ⅲ 소송요건_ 662
Ⅳ 본안심리_ 708
Ⅴ 가구제(잠정적 권리보호)_ 720
Ⅵ 취소소송의 판결_ 730
Ⅶ 취소소송의 종료_ 747
Ⅷ 취소소송의 불복절차(상소, 재심 및 헌법소원)_ 747
Ⅸ 소송비용_ 750

제2항 무효등확인소송·················································· 750
Ⅰ 개설_ 750
Ⅱ 주요 소송요건_ 750
Ⅲ 본안심리_ 752
Ⅳ 판결_ 753
Ⅴ 준용여부_ 755

제3항 부작위위법확인소송··············································· 756
Ⅰ 의의_ 756
Ⅱ 성질_ 757
Ⅲ 한계_ 757
Ⅳ 주요 소송요건_ 757
Ⅴ 본안심리_ 760
Ⅵ 판결_ 762
Ⅶ 준용여부_ 762

제4절 당사자소송·················································· 763
Ⅰ 개설_ 763
Ⅱ 당사자소송의 종류_ 764
Ⅲ 당사자소송의 주요 소송요건_ 768
Ⅳ 당사자소송의 본안심사_ 770
Ⅴ 당사자소송의 판결_ 770
Ⅵ 가집행선고_ 771
Ⅶ 준용여부_ 771
Ⅷ 준용여부 총정리_ 772

제5절 객관적 소송·················································· 773
Ⅰ 개설_ 773
Ⅱ 민중소송_ 774
Ⅲ 기관소송_ 775

Chapter 4 행정심판 778

제1절 행정심판의 의의·············································· 778
Ⅰ 행정심판의 의의_ 778
Ⅱ 행정심판의 기능(존재이유)_ 780
Ⅲ 2010년 행정심판법 전부개정_ 781

제2절 행정심판의 종류·············································· 782
Ⅰ 행정심판법상의 행정심판의 종류_ 782

제3절 행정심판의 대상·············································· 785
Ⅰ 개괄주의_ 785
Ⅱ 행정심판법상 행정심판의 대상_ 785

제4절 행정심판의 심리·············································· 786
Ⅰ 심리의 내용과 범위_ 786
Ⅱ 심리의 기본원칙_ 787

제5절 행정심판의 재결·············································· 789
Ⅰ 재결의 의의_ 789
Ⅱ 재결의 성질_ 789
Ⅲ 재결의 절차_ 789
Ⅳ 재결의 종류_ 790
Ⅴ 재결의 효력_ 792
Ⅵ 재결에 대한 행정소송_ 795

부 록 색 인

제6절 고지제도···················································· 796
Ⅰ 개설_ 796
Ⅱ 고지제도의 법적 근거_ 797
Ⅲ 고지의 종류_ 797
Ⅳ 불고지 및 오고지의 효과_ 798
Ⅴ 행정절차법상 고지와 행정심판법상 고지의 비교_ 799

제7절 행정심판법 내용·············································· 799

판례색인
사항별색인

도서소개

이 책의 특징
공무원 수험계는 끊임없는 변화로 그렇지 않아도 공부로 힘겨운 수험생들을 심란하게 만든다. 2013년에는 행정법총론과 행정학개론이 필수과목에서 선택과목으로 변경되어 사회, 과학, 수학 등이 선택과목으로 추가되었고, 서울시 7급ㆍ9급에서 그해 처음으로 문제가 공개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행정직 시험에서도 계속되어 올해부터 문제가 공개되고 있다. 7급 시험의 경우 영어가 토익 등 공인시험으로 대체된다고 하고 9급에서도 같은 조치가 있을 것이라는 풍설이 돈다. 1. 판례제목 최근에 시행된 2015년 공무원 시험을 살펴보면, 이론, 법령, 판례 중에서 판례의 비중이 늘어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2.기출표시 기존에 기출표시만 되어 있던 것을 작년에 혁신판을 내놓으면서 10년간 기출문제를 선별하고 최신 기출시험인 변호사시험, 경행특채, 사회복지직 9급, 국회 8급, 국가 9급, 서울시 9급 등의 문제들을 날개에 수록하여 본문의 기출표시와 함께 날개에 기출문제들을 풀어 볼 수 있게끔 하였던 것에 더욱 혁신을 가해 그 중 중요하지 않거나 중복된 문제들을 추려내고, 바로 책을 인쇄하기 직전까지 기출된 시험문제들을 관련부분마다 빠짐없이 수록하고 보완하였다. 3. 2천여개의 기출 OX문제 기출 OX 지문은 기출문제 중에서 본문에서 학습한 것과 관련된 내용을 기본서 날개에 배치함으로써 공부한 이론이 어떤 식으로 틀린 지문으로 변형되어 출제되는지 알 수 있게 하고 공부한 내용을 바로바로 검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 적합성을 극대화하였다. 4. 300여개의 단답형 기출, 단답형 예상문제 2016년판 김종석 행정법총론은 이러한 출제경향도 놓치지 아니하고 기본서 날개에 10여년간 기출되었던 단답형 기출을 수록하였으며, 5. 150여개의 케이스 기출, 케이스 예상문제 2016년판 김종석 행정법총론은 이런 출제경향에 맞추어 10여년간 기출문제집에 있는 모든 케이스 문제를 날개에 수록하여 앞으로 나올 어떤 대한민국 어떤 공무원시험에도 자신있게 케이스 문제를 대비할 수 있게끔 하였다. 6. 법령 출제경향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법조문 그 자체를 그대로 보고 눈에 익혀야 한다. 따라서 2016년 대비 김종석 행정법총론은 중요한 행정심판법, 행정절차법, 정보공개법, 개인정보법, 행정조사기본법, 질서위반행위규제법, 부패방지권익위법,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 행정규제기본법 등 9개의 법률을 원문 그대로 싣었고, 날개에는 기출 OX, 단답형 기출 또는 예상, 케이스 기출 등으로 분류하여 2015년 최신기출을 포함한 10여년의 기출문제를 수록하였다. 7. 앞으로의 출제 예상 2016년 김종석 행정법총론은 10여년간 출제된 판례의 핵심쟁점을 뽑아 “이렇게 출제된다”를 만들었다. 수험생들은 판례를 읽고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머리말

김종석 행정법에 대한 수험생 여러분의 변함없는 지지와 후원에 힘입어 2016년판 김종석 행정법총론을 출간한다.

공무원 수험계는 끊임없는 변화로 그렇지 않아도 공부로 힘겨운 수험생들을 심란하게 만든다. 2013년에는 행정법총론과 행정학개론이 필수과목에서 선택과목으로 변경되어 사회, 과학, 수학 등이 선택과목으로 추가되었고, 서울시 7급ㆍ9급에서 그해 처음으로 문제가 공개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행정직 시험에서도 계속되어 올해부터 문제가 공개되고 있다. 7급 시험의 경우 영어가 토익 등 공인시험으로 대체된다고 하고 9급에서도 같은 조치가 있을 것이라는 풍설이 돈다.
실로 변화무쌍한 거친 풍랑으로 한치 앞도 보기 힘든 공무원 수험계에서 묵묵히 빛을 밝혀 합격의 길로 인도하는 등대같은 존재가 절실하다. 감히 그 등대의 역할을 자임하는 공무원 시험의 최고강사로서 자신있게 2016년판 김종석 행정법총론을 여러분 앞에 내놓는다.

2016년 김종석 행정법총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판례제목
최근에 시행된 2015년 공무원 시험을 살펴보면, 이론, 법령, 판례 중에서 판례의 비중이 늘어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문제가 공개되는 시험이 많아지면서 출제 오류라는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출제위원들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이론문제보다는 정오판단이 명확한 판례 위주로 출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추세는 더 강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판례학습이 강조되는 현실에 맞춰 교과서에 수록된 모든 판례에 중요 쟁점, 관련이론, 기억하기 쉬운 사실관계를 들어 제목을 붙였다. 법학을 처음 접하는 수험생들은 언제나 방대하고 복잡하며 말투마저 딱딱한 판례에 대해 항상 벽을 느끼곤 한다. 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시간 고민한 끝에 그 각각의 판례에 특징을 부여하는 이름을 붙임으로써 수험생들의 이해와 암기에 도움을 주기로 결심했다. 교과서 수록된 무수한 판례마다 적절한 제목을 붙이는 것이 참으로 어렵고 시간이 많이 드는 작업이었지만 그 결과 수험생들이 이 책으로 판례를 공부하기에 훨씬 수월하게 될 것이라 장담한다.

2.기출표시
수험에 있어서 단기간에 합격하는 비결은 좋은 기본서와 해설이 잘 되어 있는 기출문제집을 보는 것이다. 공무원 단기합격을 위한 좋은 기본서는 단순히 모든 내용이 빠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것과 덜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는 바로미터(barometer)가 되는 기출표시가 잘 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시험에 1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 하는 내용을 달달달 암기한들 시험장에서 좋은 성적을 기대하기 힘들다. 이러한 점에서 2016년판 김종석 행정법총론은 합격의 바로미터인 기출표시를 10여 년간 모두 수록하여 강ㆍ약을 조절하며 기본서를 읽고 시험장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시험장에 강한 행정법 기본서이다.
기존에 기출표시만 되어 있던 것을 작년에 혁신판을 내놓으면서 10년간 기출문제를 선별하고 최신 기출시험인 변호사시험, 경행특채, 사회복지직 9급, 국회 8급, 국가 9급, 서울시 9급 등의 문제들을 날개에 수록하여 본문의 기출표시와 함께 날개에 기출문제들을 풀어 볼 수 있게끔 하였던 것에 더욱 혁신을 가해 그 중 중요하지 않거나 중복된 문제들을 추려내고, 바로 책을 인쇄하기 직전까지 기출된 시험문제들을 관련부분마다 빠짐없이 수록하고 보완하였다. 이론학습과 함께 15년 최근 기출문제들과 10여 년간의 기출문제집을 푸는 동일한 효과를 주려 한 것인데, 언제나 시간에 쫓기는 수험생 여러분께 단기간 합격을 위한 가장 빠른 지름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3. 2천여개의 기출 OX문제
“There is nothing new under the sun.(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이라고 한다. 공무원 시험의 특징은 “기출이 반복된다.”는 점이다. 실제 공무원 시험은 기출문제집을 그대로 또는 약간 변형해서 나오는 것이 대부분인데, 단순히 기출문제집만을 달달달 봐서는 사상누각(沙上樓閣)이 되어 정리도 안되고 전체적인 행정법 체계를 세우지 못하게 된다. 시험에서 조금만 변형하면 당황하여 실력발휘도 못하고 ‘행정법 때문에 시험에 떨어졌다’라는 말이 나오게 된다. 2016년 김종석 행정법총론은 이런 체계없는 수험을 지양(止揚)하고 변형문제에도 항상 준비할 수 있게끔 기본서와 기출문제집이 유기적ㆍ체계적ㆍ논리적인 사고를 만들어 주는 이해ㆍ정리ㆍ암기의 통합기본서이다.
기출 OX 지문은 기출문제 중에서 본문에서 학습한 것과 관련된 내용을 기본서 날개에 배치함으로써 공부한 이론이 어떤 식으로 틀린 지문으로 변형되어 출제되는지 알 수 있게 하고 공부한 내용을 바로바로 검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험 적합성을 극대화하였다. 2016년판 김종석 행정법총론의 기출 OX 지문을 적절히 활용하면 이론학습에서 혼란을 줄이고 정확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을 것이다.

4. 300여개의 단답형 기출, 단답형 예상문제
2015년 행정법총론이 선택과목으로 변경되면서 단답형 기출문제가 눈에 띄게 많이 출제되었다. 예컨대, 2015년 서울시 9급 공무원 시험에서는 20문제 중 14문제가 단답형이었다. 2016년판 김종석 행정법총론은 이러한 출제경향도 놓치지 아니하고 기본서 날개에 10여년간 기출되었던 단답형 기출을 수록하였으며, 출제가 아직 되지 아니하였으나 앞으로 출제될 가능성이 높은 예상 단답형 문제를 만들어 수록하여 앞으로의 시험에 만전을 기하게 하고 있다.

5. 150여개의 케이스 기출, 케이스 예상문제
수험생들이 가장 풀기 어려워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는 종합적인 사고를 묻는 케이스 형태의 문제이다. 케이스형 문제는 단답형 문제를 출제하는 최근 경향과 함께 변별력을 높이려고 그 출제비율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변호사시험, 국회 8급 시험은 말할 것도 없지만, 최근에는 국가직 9급에도 케이스 형태의 문제가 상당수 출제되고 있는 상황이다.
2016년판 김종석 행정법총론은 이런 출제경향에 맞추어 10여년간 기출문제집에 있는 모든 케이스 문제를 날개에 수록하여 앞으로 나올 어떤 대한민국 어떤 공무원시험에도 자신있게 케이스 문제를 대비할 수 있게끔 하였다.

6. 법령
행정법총론에는 꼼꼼히 봐야 될 법률이 있다. 행정소송법, 행정심판법, 행정절차법, 정보공개법, 개인정보법, 행정조사기본법, 질서위반행위규제법, 부패방지권익위법,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 행정규제기본법, 공익사업법 등 11개가 그 예이다. 그리고 2015년 출간시점까지 개정ㆍ시행되었거나 개정ㆍ시행될 법률은 행정심판법[시행 2014.5.28.], 행정소송법[시행 2014.11.19.], 정보공개법[시행 2014.11.19.], 개인정보보호법[시행 2014.11.19.], 부패방지권익위법[시행 2014.11.19.],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시행 2014.11.19.], 행정절차법[시행 2015.3.31.], 행정규제기본법[시행 2015.5.18.], 공익사업법[시행 2015.7.1.] 등인데, 2016년 김종석 행정법총론에 이를 완벽하게 반영하였다.
최근 법령문제는 법조문 그대로 맞는 지문으로 내거나 아니면 약간 변형하여 출제한다. 예컨대, “~할 수 있다”를 “~하여야 한다”로 바꾸어 틀린 지문으로 만들고 있다. 이런 출제경향을 대비하기 위해서는 법조문 그 자체를 그대로 보고 눈에 익혀야 한다. 따라서 2016년 대비 김종석 행정법총론은 중요한 행정심판법, 행정절차법, 정보공개법, 개인정보법, 행정조사기본법, 질서위반행위규제법, 부패방지권익위법, 민원사무처리에 관한 법률, 행정규제기본법 등 9개의 법률을 원문 그대로 싣었고, 날개에는 기출 OX, 단답형 기출 또는 예상, 케이스 기출 등으로 분류하여 2015년 최신기출을 포함한 10여년의 기출문제를 수록하였다.

7. 앞으로의 출제 예상
앞에 언급했듯이 공무원시험에서는 출제논란을 피하기 위해 판례가 많이 출제되는 경향이다. 이에 대비하기 위하여 2016년 대비 김종석 행정법은 2015년 기본서 판례집, 최종정리 판례집을 100% 수록하여 판례문제집을 따로 보지 않아도 되도록 이론과 기출지문에 관련된 중요 판례들을 빠짐없이 풍부하게 수록하였다.
또한 실제 공무원 시험에서 판례문제의 출제경향은, 단순히 결론만을 묻는 것도 있지만, 사실관계를 적시하고 그 사실관계에 대한 설명 중 정오를 묻기도 하고, 결론에 이르는 논리적인 과정을 출제하기도 한다. 이러한 새로운 유형에 대비하기 위하여 2016년 김종석 행정법총론은 10여년간 출제된 판례의 핵심쟁점을 뽑아 “이렇게 출제된다”를 만들었다. 수험생들은 판례를 읽고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바쁜 강의시간 와중에 시간을 내어 교재 연구를 하면서, 진정으로 수험생 여러분께 도움이 되는 길을 찾고 또 찾았다. 지난한 노력의 결과로 여러분께 자신있게 권할 수 있는 책이 나오게 되어 내심 뿌듯하면서도 한편으로 진정으로 의도한 만큼 수험생 여러분께 도움이 될 수 있을지 두려운 마음도 동시에 든다. 하지만 오랜 강사로서의 경험을 담아 새로 출간한 2016년 김종석 행정법 총론 기본서와 함께라면 행정법은 공무원 7급, 9급, 행정사, 국회 8급, 세무사 등 각종 국가고시 시험에서 전략과목이 되리라 확신하며, 행정법 고득점과 함께 합격의 영광이 있으리라 확신한다.
교재만으로 독학하기에는 아무래도 법학은 쉽지 않을 것이다. 강의로 학습에 도움을 받고자 하는 수험생은 www.gongdangi.com에서 편저자의 강의를 들을 수 있으며, 책에 대한 질문이나 개정된 최신법령 등에 대한 자료도 같은 사이트에서 구할 수 있다.

2016년 김종석 행정법이 출간되기까지 많은 이들의 수고와 관심이 있었다. 책의 내용과 편집에 대해 애정을 듬뿍 담아 여러가지 의견을 주고 교정작업까지 도와준 사랑하는 제자 김보슬, 김영지, 장준하 님들께 감사드린다. 꼭 합격의 영광을 안으시기를 기원한다.
언제나 편집 및 교정에 애를 쓰시는 분들이 있다. 이분들의 수고와 열정이 없었다면 대한민국 최고의 행정법교재는 있을 수 없다.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2015.7.
일산 서재에서
김종석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