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최신 Raspberry Pi로 시작하는 IOT의 모든 것 초보에서 고급까지(상)

최신 Raspberry Pi로 시작하는 IOT의 모든 것 초보에서 고급까지(상)

  • 김덕규
  • |
  • 리얼오메가컨설팅
  • |
  • 2016-08-30 출간
  • |
  • 629페이지
  • |
  • 188 X 257 X 37 mm /1387g
  • |
  • ISBN 9788990852038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의 소개
------------------------
> 사물인터넷 (IOT)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독자들이 사물인터넷 (IOT)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구현하여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기초적인 내용부터 시작하여 고급 수준의 지식까지 안내하고 있다.

> 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와 Linux에서 시작하여 고급 주제인 Apache, MySQL, PHP를 거쳐 Embedded Computing, Interface, Sensor를 사용한 사물인터넷 (IOT) 실제까지 폭 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책의 목표
------------------------
> 나도 이제 라즈베리파이 (Raspberry Pi)로 사물인터넷 (IOT)를 한다.

>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하여 IOT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모든 지식과 기술을 초급에서 고급까지 단계적으로 단숨에 정복한다.


책의 특징
------------------------
> 가장 최신 Model인 라즈베리파이 3 (Raspberry Pi 3)의 최신 내용을 기준으로 모든 내용을 설명하여 독자들이 최신 지식을 이해하고 실제 적용하는 과정에 문제가 없도록 함.

> 초보자가 내용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 주제에 대한 다양한 사진과 도표, 사례를 제시하여 설명함.

> 주제에 대해서 다양한 실제 테스트 사례를 제시하여 단순 지식이 아니라 실전적인 내용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함.

> 고급 사용자가 이 책에서 설명하지 않는 고급 주제를 학습하고 할 때 추가 학습에 필요한 학습자료를 얻을 수 있도록 안내함.

도서의 출판사 Homepage
====================
Please refer to the followings for detail information about the titles.

English Title -- http://www.realomega.com/publish/category/raspberrypi/english-raspberrypi/
Korean Title -- http://www.realomega.com/publish/category/raspberrypi/korea-raspberrypi/



목차


서문
1 이 책을 쓰기까지
2 이 책의 전체적인 구성
3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4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의 수준
5 이 책에서 사용되는 관례(conventions)

Chapter 1 Raspberry Pi 개요
1.1 개요
1.1.1 Raspberry Pi의 탄생
1.1.2 Raspberry Pi 발전 History
1.2 Raspberry Pi 특징

Chapter 2 Raspberry Pi 하드웨어
2.1 Raspberry Pi의 하드웨어 구성
2.1.1 Raspberry Pi 기본적인 구성도
2.1.2 Raspberry Pi의 model 특성 비교
2.2 SoC, CPU 및 memory
2.3 SD card slot
2.4 Power Supply
2.4.1 Micro USB power supply port
2.4.2 장치별 전류 소비
2.5 비디오 및 오디오 장치
2.5.1 HDMI video port
2.5.2 CSI camera interface
2.5.3 DSI display port
2.5.4 3.5mm audio jack and composite video
2.6 USB port
2.6.1 model 별 USB port
2.6.2 USB Port의 전력 제약
2.7 network 장치
2.7.1 Ethernet port
2.7.2 Wi-Fi 장치
2.7.3 Bluetooth 장치
2.8 GPIO

Chapter 3 장비/부품 구매 및 설치
3.1 Raspberry Pi 모델 선택
3.2 본체 케이스
3.3 방열판
3.4 저장장치
3.4.1 SD 카드
3.4.2 외부 대용량 저장장치
3.5 power adapter 및 전원공급 cable
3.6 network 장치
3.6.1 WAN 접속 장비, LAN Hub 및 공유기
3.6.2 LAN 케이블
3.6.3 WI-FI Adapter
3.6.4 Bluetooth Adapter
3.7 입력 장치
3.7.1 키보드
3.7.2 마우스
3.8 비디오 출력
3.8.1 HDMI cable 및 HDMI 지원 모니터
3.8.2 TFT-LCD
3.9 camera
3.9.1 USB 카메라
3.9.2 CSI port 지원 카메라 및 Raspberry Pi 전용 camera
3.9.2.1 일반 가시광선(visible-light) camera
3.9.2.2 적외선(infrared) camera
3.9.2.3 Raspberry Pi 전용 카메라 H/W 설치하기
3.1 외부 Interface

Chapter 4 운영체제 설치하기
4.1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종류
4.1.1 설치 가능한 운영체제 목록
4.1.2 주요 운영체제 내용 검토
4.2 운영체제 설치 개요
4.2.1 운영체제 설치 방법
4.2.2 복수 운영체제 설치에 대해서
4.3 SD card 준비하기
4.3.1 SD card format 하기
4.3.2 〈NOOBS〉 utility와 SD card format
4.4 설치 파일 download 준비하기
4.4.1 Raspberry Pi homepage에서 download
4.4.2 다른 source에서의 download
4.5 〈NOOBS〉 utility를 이용한 설치
4.5.1 〈NOOBS〉 utility 개요
4.5.2 〈NOOBS〉 utility 프로그램 download 및 시스템 준비
4.5.3 〈NOOBS〉 utility 기능
4.5.4 〈NOOBS〉 utility 실행을 통한 운영체제 설치
4.5.5 운영체제 설치 후의 〈NOOBS〉 utility 활용
4.6 운영체제 image를 이용한 설치
4.6.1 운영체제 image 파일 download 및 준비
4.6.2 SD card에 image 파일 copy하기
4.6.3 설치된 운영체제 작동하기

Chapter 5 기본 시스템 시작 및 종료
5.1 시스템 booting
5.1.1 booting의 의미
5.1.2 booting할 운영체제 선택
5.1.3 booting 절차
5.1.4 booting할 때 화면이 보이지 않을 때 조치
5.2 시스템 Logon
5.2.1 logon 의미
5.2.2 기본 사용자 "pi" 계정
5.2.3 logon 처리
5.3 시스템 Logout
5.3.1 logout 의미
5.3.2 logout 처리
5.4 시스템 종료
5.4.1 시스템을 종료하는 방법
5.4.2 shutdown 명령
5.4.3 reboot 명령

Chapter 6 시스템 접속 방법과 종료
6.1 시스템 접속 개요
6.1.1 시스템 기본 구성도
6.1.2 시스템 접속 개요
6.2 local 접속
6.2.1 console에서의 terminal 전개 구성도
6.2.2 local 접속 방식 설정
6.2.3 terminal 접속
6.2.4 local desktop window 연결
6.3 시스템 접속과 종료
6.3.1 종료하는 방법
6.3.2 terminal에서의 시스템 종료
6.3.3 window에서의 시스템 종료

Chapter 7 desktop window 둘러보기
7.1 Raspbian 운영체제 window의 특징
7.1.1 왜 window를 사용하는가?
7.1.2 X Windows와 LXDE
7.1.3 다른 운영체제 window와의 차이점
7.2 window 기본 구조
7.2.1 window 시작화면
7.2.2 Panel 영역 구성
7.2.3 desktop 영역의 구성
7.3 Panel(메뉴 및 작업표시줄)의 세부 구조
7.3.1 Panel의 설정
7.3.2 Menu(시작메뉴)
7.3.3 Application Launch Bar(작업시작)
7.3.4 Task Bar(작업표시)
7.3.5 Tool (도구)
7.4 desktop(바탕화면) 영역의 세부 구조
7.4.1 desktop의 기능
7.4.2 desktop 특성 설정
7.4.3 폴더와 파일 생성하기
7.5 주요 실행 프로그램 개요
7.5.1 Accessories
7.5.2 Programming
7.5.3 Internet Web Browser (EpicHany)
7.5.4 Game
7.6 Help
7.6.1 Debian Reference
7.6.2 Raspberry Pi Help
7.7 Preference
7.7.1 Mouse and Keyboard Settings
7.7.2 Theme and Appearance Settings
7.7.3 Main Menu Editor
7.8 Run
7.9 Shutdown

Chapter 8 Terminal과 Shell 프로그램
8.1 terminal 프로그램
8.1.1 terminal 프로그램 시작 방법
8.1.2 terminal 화면의 구성
8.1.3 terminal 화면에서의 작업
8.2 Shell 프로그램
8.2.1 Shell 과 BASH (Bourne Again Shell)
8.2.2 기본 Shell 프로그램의 지정

Chapter 9 Raspberry Pi 시스템 설정
9.1 시스템 설정 개요
9.1.1 시스템 설정의 의미
9.1.2 시스템 설정 대상 항목
9.2 시스템 설정 방법
9.2.1 raspi-config 명령
9.2.2 desktop window를 이용하는 방법
9.3 파일시스템 확장 설정
9.3.1 의미
9.3.2 설정 절차
9.4 default user "pi"에 대한 사용자 암호 변경
9.4.1 기본 사용자 "pi" 사용자의 의미
9.4.2 암호 변경 절차
9.5 booting 시작화면 설정
9.5.1 booting 시작화면 종류
9.5.2 설정방법
9.6 Internationaliation Options 설정
9.6.1 Internationaliation Options 설정 공통 메뉴
9.6.2 locale 설정
9.6.3 Time zone 설정
9.6.4 Keyboard 설정
9.7 성능 항목 설정
9.7.1 overclock 설정
9.7.2 GPU memory 조정
9.8 camera 및 오디오 장치 설정
9.8.1 Raspberry Pi camera 활성화
9.8.2 audio 출력 조정
9.9 network 관련 설정
9.9.1 SSH 활성화
9.9.2 hostname 설정
9.1 주변기기 interface 장치 설정
9.10.1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설정
9.10.2 I2C(Inter-Integrated Circuit)

Chapter 10 Shell 명령
10.1 명령 일반
10.1.1 표준 입력 및 출력
10.1.2 Shell 특수 키
10.1.3 quote 규칙
10.1.4 명령 실행이력 활용
10.2 Shell 환경
10.2.1 변수(variable)
10.2.2 환경변수(environment variable)
10.3 Shell과 profile
10.3.1 profile 종류
10.3.2 profile 적용 순서
10.4 기초 명령
10.4.1 clear 명령 - 화면 지우기
10.4.2 echo 명령
10.4.3 man 명령 - 명령에 대한 도움말 보기
10.4.4 alias 사용법
10.5 연산 처리 관련 명령
10.5.1 expr 명령 - 산술연산
10.5.2 test 명령
10.6 선택적 실행 처리 관련 명령
10.6.1 && 명령 - 연결 명령 and 실행
10.6.2 || 명령 - 연결 명령 or 실행
10.7 프로그램 실행 관련 명령
10.7.1 which 명령 - 실행파일의 path name 확인
10.7.2 ; 명령 - 복수 명령의 연속 실행
10.7.3 프로그램 background/foreground 실행
10.7.4 exit 명령 - 처리 종료
10.8 입력 및 출력 조정 명령
10.8.1 xargs 명령
10.8.2 redirection 명령 - 입력, 출력 장치 변경
10.8.3 | (pipe) 명령
10.9 자료 조작 관련 명령
10.9.1 awk 명령
10.9.2 wc 명령
10.9.3 sort 명령
10.9.4 uniq 명령
10.1 시스템 정보 관련 명령
10.10.1 date 명령 - 시간정보 조회 및 변경
10.10.2 cal 명령과 ncal 명령

Chapter 11 network
11.1 network 일반
11.1.1 network 접속과 IP address
11.1.2 ifconfig 명령 - network 장치 작동 및 IP 주소 확인하기
11.2 network 설정 정보
11.2.1 network 설정 정보
11.2.2 IP address 부여 방식 설정
11.3 host name 이용
11.3.1 host name 설정하기
11.3.2 Host name을 이용한 통신
11.4 유선 network 연결
11.5 무선 연결
11.5.1 panel 메뉴를 이용한 Wi-Fi 설정
11.5.2 network 직접 설정을 통한 무선 연결
11.6 static IP 설정하기
11.6.1 DHCP 서버에서 고정 IP address를 지정하는 방법
11.6.2 Raspberry Pi 시스템에서 고정 IP address를 지정하는 방법
11.7 network 활성화 및 중단
11.7.1 ifup과 ifdwon 명령을 이용한 network 활성화 및 중단
11.7.2 ifconfig명령을 이용한 활성화 및 중단
11.8 Bluetooth 설정 및 연결
11.8.1 Raspberry Pi를 외부 Bluetooth 기기에 공개하기
11.8.2 Raspberry Pi에 외부 Bluetooth 기기 등록 및 해제하기

Chapter 12 사용자
12.1 사용자의 종류
12.1.1 시스템 기본 사용자와 추가 생성 사용자
12.1.2 시스템 관리자와 일반 사용자
12.1.3 super user와 일반 user
12.2 Logon 사용자와 현재 작업 사용자
12.2.1 logon 사용자
12.2.2 현재 작업 사용자
12.3 사용자 계정의 시스템 내부 관리
12.4 사용자 생성
12.4.1 사용자 생성의 필요성
12.4.2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검토 사항
12.4.3 adduser 명령 - 사용자 생성
12.5 사용자 삭제
12.6 사용자 변경
12.6.1 usermod 명령 - 사용자 변경
12.6.2 사용자 암호 변경
12.7 사용자 그룹
12.7.1 사용자 그룹이란
12.7.2 사용자와 사용자 그룹의 관계
12.7.3 사용자 그룹에 대한 시스템 관리 방식
12.7.4 사용자와 사용자 그룹의 관계에 대한 시스템 관리 방식
12.7.5 addgroup 명령 - 사용자 그룹의 정의
12.7.6 delgroup 명령 - 사용자 그룹의 삭제
12.7.7 사용자 계정에 대한 사용자 그룹 지정

Chapter 13 파일 권한
13.1 파일 권한 체계 이해
13.1.1 파일에 대한 권한 정보 확인
13.1.2 window 화면에서의 권한 정보의 조회
13.1.3 파일에 대한 소유자 및 그룹의 체계
13.1.4 파일에 대한 권한 체계
13.2 파일에 대한 권한 변경
13.2.1 파일에 대한 소유자 및 그룹의 변경
13.2.2 파일에 대한 처리 권한의 변경

Chapter 14 device
14.1 device 개요
14.1.1 device 종류와 /dev 파일
14.1.2 character device
14.1.3 block device
14.1.4 network device
14.2 USB 장치
14.2.1 USB 장치 확인 - lsusb
14.2.2 USB 장치와 device

Chapter 15 저장장치와 파일시스템
15.1 논리적 저장장치 관리
15.1.1 파티션 관리
15.1.2 disk의 format
15.1.3 device의 mount
15.1.4 특별 device 검토
15.2 파일 시스템의 구조

Chapter 16 파일 관리
16.1 폴더와 파일의 기본 체계
16.1.1 폴더와 파일의 개념
16.1.2 폴더와 파일의 이름 규칙
16.1.3 폴더와 파일의 경로 지정
16.1.4 특수 폴더와 파일
16.2 폴더와 파일의 관리
16.2.1 폴더 생성
16.2.2 폴더와 파일의 이름 변경
16.2.3 파일 생성
16.2.4 폴더와 파일의 이동
16.2.5 폴더 복사
16.2.6 폴더와 파일의 삭제
16.2.7 Trash Can에 있는 자료의 관리 및 복구
16.3 폴더와 파일의 활용
16.3.1 cd 명령 - 현재 작업경로 이동
16.3.2 pwd 명령 - 현재 파일경로 확인
16.3.3 파일 이름 검색
16.3.4 파일 내용으로 파일 검색
16.3.5 폴더와 파일의 사용 저장공간 확인
16.3.6 파일의 종류 판단
16.3.7 폴더 내의 내용 확인
16.3.8 파일 내용 확인
16.4 텍스트 파일 관리
16.4.1 텍스트 파일의 개념
16.4.2 nano 텍스트 편집기
16.4.3 vim 텍스트 편집기
16.4.4 leafpad 텍스트 편집기

Chapter 17 프로그램 설치와 Upgrade
17.1 package manager system
17.1.1 package
17.1.2 package repository
17.1.3 package manager system
17.1.4 package repository의 source list
17.1.5 package 이름 규칙
17.2 package 관리도구
17.2.1 package 관리도구 개요
17.2.2 package 관리도구 - dpkg
17.2.3 package 관리도구 - apt
17.2.4 package 관리도구 ? aptitude
17.3 프로그램 package 목록 및 상태 확인
17.4 설치 프로그램 source 확보
17.4.1 package repository에 등록된 프로그램 이용 방법
17.4.2 wget 명령으로 인터넷에서 download하는 방법
17.4.3 GitHub를 이용해서 인터넷에서 download하는 방법
17.5 프로그램 설치 및 재설치
17.5.1 source 배포 방식에 따른 프로그램 설치 비교
17.5.2 package repository로 배포되는 프로그램 설치
17.5.3 package 형식의 파일로 배포되는 프로그램 설치
17.5.4 일반 파일 형식으로 배포되는 프로그램 설치
17.6 프로그램 설치 제거 및 파일 정리
17.6.1 프로그램 설치 제거
17.6.2 프로그램 package 파일 정리
17.7 프로그램 update 및 upgrade
17.7.1 프로그램 upgarde
17.7.2 apt-get update 명령 - local package database 정보 갱신
17.7.3 apt-get upgrade 명령- 설치 프로그램 수정 반영
17.8 system kernel 및 firmware upgrade

색인
그림/표 색인
저작권
저자 및 출판내역

저자소개

저자 김덕규 고려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대기업의 IT부문에서 오랫동안 근무한 후, 독립하여 현재 ERP Consultant로서 활동하고 있다. 재무, 원가, 세무, 자금, 구매, 영업, 출하, 재고, 생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에 대하여 폭넓은 이해를 하고 있다. 1997년 SAP consultant 국제자격증을 획득한 이후, GS-Caltex, SK㈜, Volvo, 석유공사, 한화-토탈 등 주로 대기업의 대형 ERP 프로젝트를 수행해 오면서, SD, MM, HR, IS-OIL, BW, ABAP/4, ALE/EDI, Interface등에 대해 풍부한 지식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는 ERP, DW, SEM, CRM, EAI, Biz. Application 등을 사업영역으로 하는 Real Omega Consulting Inc.에서 활동하고 있다.

도서소개

『최신 Raspberry Pi로 시작하는 IOT의 모든것(상)』은 IOT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독자들이 IOT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구현하여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기초적인 내용부터 시작하여 고급 수준의 지식까지 안내하고 있다. Raspberry Pi와 Linux에서 시작하여 고급 주제인 Apache, MySQL, PHP를 거쳐 Embedded Computing, Interface, Sensor를 사용한 IOT 실제까지 폭 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