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이환 쌤의 전공국어 현대시

이환 쌤의 전공국어 현대시 중등 국어 교원 임용 대비

  • 이환
  • |
  • 북이그잼
  • |
  • 2016-08-10 출간
  • |
  • 572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9115683410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합격혁신판!! 중등국어 교원 임용 대비
중등국어 임용대비 전공국어의 절대지존

현대시 ㆍ 현대시조 이론 ㆍ 현대시 작품론

-전공국어 현대시 파트에 대한 핵심이론 총망라
-풍부한 심화자료를 통한 현대시 이론의 완벽한 이해
-갈래별 작품의 분석, 배경지식과 심화학습으로 살아있는 현대시 학습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01 서답형 1차, 2차 현대시 영역의 기출문제를 흐름을 파악하고, 현대시 평가 성취요소를 제시하여 학습할 지식을 출제 경향에 맞게 체계화할 수 있게 하였으며, 통합적인 문제의 출제 방향을 예측할 수 있도록 관련 내용을 통시적으로 구성하여 반복학습을 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02 현대시는 시대별?작가별?갈래별로 구성하여 각 갈래의 특성과 발생 배경, 문학사적 의의와 가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또한 사회적 맥락을 통하여 문학사 & 문학비평론에서 학습한 내용을 심화시켜 실전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내용을 형성하였습니다.
03 각 갈래별 작품 분석은 감상의 초점을 바탕으로 본문 분석, 구성요소별 분석, 관련 배경지식 및 심화학습, 실전 적용문제로 구성하여, 단순한 문학 학습을 분석하는 차원이 아닌, 작품의 기본 지식을 습득하여 실전에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살아있는 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체계화 하였습니다.
04 현직 교사의 경험과 교과서 집필, 시험 출제자의 노하우를 통하여 지식을 실전문제 풀이에 직접 적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구성하여 자연스럽게 지식을 습득하여 문제 풀이 능력이 향상되도록 구성한 교재입니다.
이 책은 이환 문학 교재의 가장 기본이 되는 문학사 & 문학비평론, 문학갈래론 & 문학교육론을 바탕으로 영역별 작품을 분석한 시리즈 중, 현대시 편으로 현대시의 기본 지식과 전체적인 흐름을 잡아 문학 학습의 가이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환과 함께 이 교재를 통하여 학습한다면, 평소에 막혔던 문학의 체증이 확 내려 갈 것이며 문학을 보는 혜안이 생겨 임용 시험 합격은 물론 현장에서 국어교사로 학생을 지도할 때 빛을 발할 수 있는 교재입니다.

목차

제1편 현대시?현대시조 이론

제1장 현대시 이론 · 14

01 개 관 · 14
02 현대시 감상의 기초 18

제2장 현대시조 이론 · 63

01 개 관 · 63
02 현대시조의 작가와 작품 68

제2편 현대시 작품론

제1장 1900년대 시 감상 84

01 개 관 · 84
02 작품의 이해 89
ㆍ 애국하는 노래(1896)-이필균, 개화가사 · 89
ㆍ 동심가(同心歌)(1896)-이중원, 개화가사 92
ㆍ 가요풍송(歌謠諷誦)(1908)-미상, 개화가사 93
ㆍ 경부철도가(1908)-최남선, 창가 ··· 94
ㆍ 해에게서 소년에게(1908)-최남선, 신체시 ·· 96
ㆍ 꽃 두고(1909)-최남선, 신체시 100
ㆍ 구작(舊作) 3편(三編)(1909)-최남선, 신체시 ·· 101

제2장 1910년대 시 감상 102

01 개 관 · 102
02 작품의 이해 104
ㆍ 봄은 간다(1918)-김억, 자유시 · 104
ㆍ 불놀이(1919)-주요한, 자유시 ··· 106
ㆍ 샘물이 혼자서(1919)-주요한, 현대시 · 111
ㆍ 우리집(1924)-주요한, 현대시 ··· 113

제3장 1920년대 시 감상 115

01 개 관 · 115
02 작품의 이해 122
ㆍ 사(死)의 예찬-박종화, 낭만시 ··· 122
ㆍ 나는 왕이로소이다(1923)-홍사용, 낭만시 · 123
ㆍ 나의 침실로(1923)-이상화, 낭만시 · 125
ㆍ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1926)-이상화, 저항시 127
ㆍ 봄은 고양이로다(1923)-이장희, 낭만시 · 130
ㆍ 국경의 밤(1925)-김동환, 서사시 · 132
ㆍ 북청 물장수-김동환, 현대시 ·· 137
ㆍ 눈이 내리느니-김동환, 현대시 ·· 139
ㆍ 님의 침묵(1926)-한용운, 전통시 · 140
ㆍ 나룻배와 행인-한용운, 전통시 ·· 145
ㆍ 찬송(讚頌)-한용운, 현대시 · 147
ㆍ 알 수 없어요-한용운, 현대시 149
ㆍ 정천한해(情天恨海)-한용운, 현대시 · 152
ㆍ 진달래꽃(1926)-김소월, 전통시 ··· 153
ㆍ 초혼(招魂)(1925)-김소월, 전통시 156
ㆍ 가는 길(1923)-김소월, 전통시 · 160
ㆍ 산유화(1923)-김소월, 전통시 ··· 163
ㆍ 길(1925)-김소월, 전통시 ··· 166
ㆍ 삼수갑산(三水甲山)(1934)-김소월, 전통시 168
ㆍ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대일 땅이 있었다면 170
(1925)-김소월
ㆍ 우리 오빠와 화로(1929)-임화, 경향시 ··· 173
ㆍ 네거리의 순이(1938)-임화, 현대시 · 176

제4장 1930년대 시 감상 178

01 개 관 · 178
02 작품의 이해 186
ㆍ 모란이 피기까지는(1934)-김영랑, 순수시 · 186
ㆍ 내 마음 아실 이-김영랑, 현대시 · 189
ㆍ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김영랑, 순수시 ··· 191
ㆍ 끝없이 강물이 흐르네-김영랑, 현대시 ··· 193
ㆍ 독을 차고-김영랑, 현대시 ·· 195
ㆍ 북-김영랑, 현대시 197
ㆍ 춘향-김영랑, 현대시 199
ㆍ 향수(1927)-정지용, 순수시 ··· 200
ㆍ 고향-정지용, 순수시 203
ㆍ 인동차(忍冬茶)(1942)-정지용, 순수시 205
ㆍ 장수산 1(1939)-정지용, 순수시 ··· 207
ㆍ 유리창 1-정지용, 순수시 ··· 209
ㆍ 떠나가는 배(1930)-박용철, 시문학파 · 212
ㆍ 바다와 나비(1946)-김기림, 모더니즘 · 214
ㆍ 길(1936)-김기림, 모더니즘 ··· 217
ㆍ 연륜(年輪)-김기림, 현대시 · 218
ㆍ 거울(1933)-이상, 모더니즘 ··· 219
ㆍ 오감도(烏瞰圖)시제일호(詩第一號)(1934)-이상, 모더니즘 223
ㆍ 꽃나무(1933)-이상, 모더니즘 ··· 226
ㆍ 가정(家庭)-이상, 모더니즘 · 228
ㆍ 외인촌(1935)-김광균, 모더니즘 ··· 230
ㆍ 추일서정(秋日抒情)(1940)-김광균, 모더니즘 235
ㆍ 와사등(1938)-김광균, 모더니즘 ··· 237
ㆍ 설야(雪夜)-김광균, 모더니즘 · 239
ㆍ 데생-김광균, 모더니즘 241
ㆍ 노신(魯迅)-김광균, 모더니즘 · 243
ㆍ 달, 포도, 잎사귀(1936)-장만영, 모더니즘 ··· 244
ㆍ 화사(花蛇)(1936)-서정주, 생명파 247
ㆍ 자화상(1939)-서정주, 생명파 ··· 251
ㆍ 추천사(?韆詞)(1955)-서정주, 생명파 253
ㆍ 꽃밭의 독백(1958)-서정주, 순수시 · 256
ㆍ 무등을 보며(1954)-서정주, 순수시 · 258
ㆍ 자화상(1941)-서정주, 순수시 ··· 260
ㆍ 생명의 서(書)(1938)-유치환, 생명파 ·· 262
ㆍ 일월(日月)(1939)-유치환, 생명파 267
ㆍ 바위(1941)-유치환, 생명파 ··· 269
ㆍ 해바라기 비명(碑銘)(1936)-함형수, 생명파 ·· 272
ㆍ 꽃덤불(1946)-신석정, 전원시 ··· 275
ㆍ 그 먼 나라를 알으십니까(1939)-신석정, 전원시 277
ㆍ 슬픈 구도(1939)-신석정, 전원시 · 279
ㆍ 아직 촛불을 켤 때가 아닙니다(1933)-신석정, 전원시 ·· 281
ㆍ 내 마음(1937)-김동명, 전원시 · 283
ㆍ 남(南)으로 창(窓)을 내겠소(1939)-김상용, 전원시 285
ㆍ 고향(1938)-백석, 전통시 ··· 289
ㆍ 여승(1936)-백석, 전통시 ··· 293
ㆍ 여우난 곬족(族)(1935)-백석, 전통시 ·· 296
ㆍ 수라(1936)-백석 298
ㆍ 남신의주유동박시방봉(1948)-백석 ··· 304
ㆍ 나와 나타샤와 흰당나귀(1938)-백석 ·· 308
ㆍ 흰 바람벽이 있어(1938)-백석 ··· 310
ㆍ 팔원(八院)(1939)-서행시초(西行詩抄)3-백석 ·· 311
ㆍ 낡은 집(1938)-이용악, 전통시 · 314
ㆍ 오랑캐꽃(1939)-이용악, 전통시 ··· 319
ㆍ 두만강 너 우리의 강아(1938)-이용악, 전통시 322
ㆍ 풀벌레 소리 가득 차 있었다(1937)-이용악, 전통시 ·· 324
ㆍ 우라지오 가까운 항구에서(1937)-이용악, 전통시 ·· 326
ㆍ 전라도 가시내(1939)-이용악, 전통시 · 327
ㆍ 그리움(1945)-이용악, 전통시 ··· 330

제5장 1940년대 시 감상 331

01 개 관 · 331
02 작품의 이해 333
ㆍ 하관(1959)-박목월, 청록파 ··· 333
ㆍ 청노루(1946)-박목월, 청록파 ··· 336
ㆍ 산도화(1946)-박목월, 청록파 ··· 339
ㆍ 산이 날 에워싸고(1946)-박목월, 청록파 ··· 341
ㆍ 나무(1964)-박목월, 청록파 ··· 343
ㆍ 이별가(1968)-박목월, 청록파 ··· 345
ㆍ 봉황수(鳳凰愁)(1940)-조지훈, 청록파 347
ㆍ 고풍의상(古風衣裳)(1939)-조지훈, 청록파 350
ㆍ 고사(古寺) 1(1946)-조지훈, 청록파 352
ㆍ 완화삼(玩花衫)(1946)-조지훈, 청록파 353
ㆍ 나그네-박목월 354
ㆍ 승무(僧舞)(1939)-조지훈, 청록파 356
ㆍ 낙화(1946)-조지훈, 청록파 ··· 358
ㆍ 민들레꽃(1952)-조지훈, 청록파 ··· 360
ㆍ 풀잎 단장(1952)-조지훈, 청록파 · 362
ㆍ 석문(1952)-조지훈, 청록파 ··· 364
ㆍ 묘지송(墓地頌)(1939)-박두진, 청록파 365
ㆍ 향현(香峴)(1939)-박두진, 청록파 370
ㆍ 해(1946)-박두진, 청록파 ··· 372
ㆍ 강(江) 2(1962)-조지훈, 청록파 374
ㆍ 꽃(1962)-박두진, 청록파 ··· 377
ㆍ 그 날이 오면(1949)-심 훈, 저항시 · 379
ㆍ 서시(序詩)(1948)-윤동주 382
ㆍ 또 다른 고향(1948)-윤동주 ··· 384
ㆍ 간(肝)(1948)-윤동주 386
ㆍ 자화상(自畵像)(1948)-윤동주 387
ㆍ 광야(曠野)(1948)-이육사 389
ㆍ 교목(喬木)(1940)-이육사 392
ㆍ 절정(絶頂)(1940)-이육사 394
ㆍ 청포도(1948)-이육사 ··· 396
ㆍ 황혼(黃昏)(1933)-이육사 398

제6장 1950년대 시 감상 400

01 개 관 · 400
02 작품의 이해 403
ㆍ 나비와 광장(1955)-김규동, 주지시 · 403
ㆍ 초토의 시 8-적군묘지 앞에서(1956)-구상, 전후시 · 406
ㆍ 초토의 시 1-구상, 전후시 · 409
ㆍ 목마와 숙녀(1955)-박인환, 모더니즘 · 410
ㆍ 꽃을 위한 서시(1955)-김춘수, 주지시 ··· 412
ㆍ 꽃(1955)-김춘수, 주지시 ··· 415
ㆍ 샤걀의 마을에 내리는 눈(1976)-김춘수, 모더니즘 418
ㆍ 폭포(1959)-김수영, 참여시 ··· 419
ㆍ 눈(1957)-김수영, 참여시 ··· 423
ㆍ 풀(1968)-김수영, 참여시 ··· 426
ㆍ 사령(1959)-김수영, 참여시 ··· 428
ㆍ 푸른 하늘을(1974)-김수영, 참여시 · 431
ㆍ 새(1959)-박남수, 전통시 ··· 432
ㆍ 아침 이미지(1968)-박남수, 전통시 · 434
ㆍ 가을에(1959)-정한모, 전통시 ··· 436
ㆍ 나비여행(1965)-정한모, 전통시 ··· 438
ㆍ 울음이 타는 강(1959)-박재삼, 전통시 ··· 440
ㆍ 추억에서(1962)-박재삼, 전통시 ··· 443
ㆍ 흥부 부부상(1962)-박재삼, 전통시 · 446
ㆍ 수정가(1962)-박재삼, 전통시 ··· 449
ㆍ 눈물(1963)-김현승, 순수시 ··· 450
ㆍ 플라타너스(1953)-김현승, 순수시 ··· 452
ㆍ 양심의 금속성(1958)-김현승, 순수시 · 453
제7장 1960년대 시 감상 455
01 개 관 · 455
02 작품의 이해 457
ㆍ 성북동 비둘기(1968)-김광섭, 참여시 · 457
ㆍ 마음(1939)-김광섭, 순수시 ··· 460
ㆍ 생의 감각(1967)-김광섭, 주지시 · 461
ㆍ 껍데기는 가라(1967)-신동엽, 참여시 · 462
ㆍ 봄은(1968)-신동엽, 참여시 ··· 466
ㆍ 산에 언덕에(1963)-신동엽, 참여시 · 468
ㆍ 누가 하늘을 보았다고 하는가(1967)-신동엽, 참여시 470
ㆍ 오렌지(1989)-신동집, 주지시 ··· 472
ㆍ 송신(送信)(1973)-신동집, 주지시 475
ㆍ 목숨(1954)-신동집, 순수시 ··· 477
ㆍ 어떤 사람(1968)-신동집, 순수시 · 480
ㆍ 의자 7(1964)-조병화, 전통시 ··· 481
ㆍ 정념의 기(1960)-김남조, 순수시 · 483
ㆍ 설일(1967)-김남조, 순수시 ··· 486
ㆍ 겨울바다(1967)-김남조, 순수시 ··· 490
ㆍ 강강술래(1955)-이동주, 전통시 ··· 493

제8장 1970년대 이후 시 감상 · 495

01 개 관 · 495
02 작품의 이해 496
ㆍ 농무(1971)-신경림, 참여시 ··· 496
ㆍ 목계장터(1973)-신경림, 참여시 ··· 499
ㆍ 가난한 사랑노래(1988)-신경림 · 501
ㆍ 갈대(1948)-신경림 ··· 503
ㆍ 눈길(1962)-고은, 관조시 ··· 506
ㆍ 문의마을에 가서(1959)-고은, 관조시 · 509
ㆍ 머슴 대길이(1986)-고은, 현대시 · 511
ㆍ 선제리 아낙네-고은, 민중시 ·· 513
ㆍ 화살(1978)-고은, 현대시 ··· 514
ㆍ 벼(1974)-이성부, 참여시 ··· 515
ㆍ 봄(1974)-이성부, 참여시 ··· 516
ㆍ 타는 목마름으로(1982)-김지하, 참여시 · 518
ㆍ 저문 강에 삽을 씻고(1977)-정희성, 민중시 520
ㆍ 한 그리움이 다른 그리움에게(1991)-정희성, 순수시 523
ㆍ 귀천(歸天)(1979)-천상병, 순수시 525
ㆍ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나면(1986)-강은교, 순수시 527
ㆍ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1987)-황지우, 참여시 ·· 529
ㆍ 너를 기다리는 동안(1987)-황지우, 순수시 ·· 534
ㆍ 사평역에서(1981)-곽재구, 민중시 ··· 536
ㆍ 새벽편지-곽재구, 주지시 539
ㆍ 은행나무(1991)-곽재구, 주지시 ··· 540
ㆍ 슬픔이 기쁨에게(1979)-정호승, 주지시 · 541
ㆍ 또 기다리는 편지-정호승, 주지시 ··· 544
ㆍ 맹인 부부 가수-정호승, 전통시 ··· 546
ㆍ 엄마 걱정(1989)-기형도, 순수시 · 548
ㆍ 질투는 나의 힘-기형도, 주지시 ··· 551
ㆍ 가을무덤(제망매가)-기형도, 전통시 · 552
ㆍ 바람의 집(겨울판화1)-기형도, 주지시 553
ㆍ 식목제(植木祭)-기형도, 참여시 · 554
ㆍ 홀린 사람-기형도, 풍자시 ·· 556
ㆍ 상한 영혼을 위하여-고정희, 현대시 ··· 558
ㆍ 우리 동네 구자명씨-고정희, 현대시 ··· 559
ㆍ 즐거운 편지(1958)-황동규, 순수시 · 560
ㆍ 조그만 사랑의 노래(1972)-황동규, 순수시 ·· 562
ㆍ 기항지(寄港地)·1 (1967)-황동규, 순수시 ··· 564
ㆍ 산문에 기대어(1980)-송수권, 순수시 · 567
ㆍ 납작납작-박수근화백을 위하여(1981)-김혜순, 순수시 56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