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논형 - 있는 그대로를 논한다

논형 - 있는 그대로를 논한다

  • 왕충
  • |
  • 동아일보사
  • |
  • 2016-02-22 출간
  • |
  • 1056페이지
  • |
  • ISBN 9791187194019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42,000원

즉시할인가

37,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7,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머리말|논리의 저울, 논형
왕충에 대해|저울처럼 공평하고 거울처럼 깨끗하게
제1 봉우(逢遇) 우연히 만나다
제2 누해(累害) 거듭되는 재앙
제3 명록(命祿) 명과 복록
제4 기수(氣壽) 기에 따른 수명
제5 행우(幸偶) 행운
제6 명의(命義) 명의 의미
제7 무형(無形) 신체와 수명의 관계
제8 솔성(率性) 본성을 이끌다
제9 길험(吉驗) 상서로운 조짐
제10 우회(偶會) 우연히 만나다
제11 골상(骨相) 골격에 나타난 인상
제12 초품(初稟) 처음 받다
제13 본성(本性) 선악의 본성
제14 물세(物勢) 만물의 기세
제15 기괴(奇怪) 괴상하고 기이하다
제16 서허(書虛) 서적에 나타난 허구를 밝히다
제17 변허(變虛) 이변의 허구를 밝히다
제18 이허(異虛) 이변의 허구를 밝히다
제19 감허(感虛) 감응의 허구를 밝히다
제20 복허(福虛) 복의 허구를 밝히다
제21 화허(禍虛) 화의 허구를 밝히다
제22 용허(龍虛) 용의 허구를 밝히다
제23 뇌허(雷虛) 뇌성의 허구를 밝히다
제24 도허(道虛) 도술의 허구를 밝히다
제25 어증(語增) 표현의 과장
제26 유증(儒增) 유가 서적에 나타난 과장 표현
제27 예증(藝增) 오경에 나타난 과장 표현
제28 문공(問孔) 공자에게 묻다
제29 비한(非韓) 한비자의 논리를 비판하다
제30 자맹(刺孟) 맹자를 꾸짖다
제31 담천(談天) 하늘을 논하다
제32 설일(說日) 해를 논하다
제33 답녕(答?) 영인의 실체를 밝히다
제34 정재(程材) 관리의 자질을 측정하다
제35 양지(量知) 지식을 측정하다
제36 사단(謝短) 유생과 문리의 단점을 설명하다
제37 효력(效力) 지력을 고찰하다
제38 별통(?通) 통인을 식별하다
제39 초기(超奇) 탁월함을 뛰어넘다
제40 상류(狀留) 나아가지 못하다
제41 한온(寒?) 추위와 더위
제42 견고(譴告) 꾸짖고 훈계하다
제43 변동(變動) 변하여 감동시키다
제44 초치(招致) 불러서 이르게 하다
제45 명우(明雩) 기우제의 의미를 밝히다
제46 순고(順鼓) 북소리에 순응하다
제47 난룡(亂龍) 토룡을 설치하는 까닭을 밝히다
제48 조호(遭虎) 호랑이를 만나다
제49 상충(商蟲) 충해의 원인을 밝히다
제50 강서(講瑞) 상서로운 동물에 대해 밝히다
제51 지서(指瑞) 상서로운 조짐을 말하다
제52 시응(是應) 조짐을 바로잡다
제53 치기(治期) 다스리기에 알맞은 시기
제54 자연(自然) 무위한 자연
제55 감류(感類) 사물에 감응하다
제56 제세(齊世) 세대를 분별하다
제57 선한(宣漢) 한나라를 밝히다
제58 회국(恢國) 광대한 한나라
제59 험부(驗符) 상서로운 조짐을 증명하다
제60 수송(須頌) 마땅히 칭송해야 한다
제61 일문(佚文) 문장을 잃어버리다
제62 논사(論死) 죽음을 논하다
제63 사위(死僞) 죽음에 대한 잘못된 생각
제64 기요(紀妖) 요기에 대해 쓰다
제65 정귀(訂鬼) 귀신에 대한 평론
제66 언독(言毒) 헐뜯는 말의 해독
제67 박장(薄葬) 검소한 장례
제68 사휘(四諱) 세속의 네 가지 금기 사항
제69 난시(?時) 금기일의 터무니없음을 밝히다
제70 기일(譏日) 금기일의 터무니없음을 밝히다
제71 복서(卜筮) 거북점과 시초점
제72 변수(辨?) 동티를 밝히다
제73 난세(難歲) 태세신의 금기를 힐난하다
제74 힐술(詰術) 주택의 길흉을 살피는 방법을 힐난하다
제75 해제(解除) 재앙을 제거하다
제76 사의(祀義) 제사의 의의
제77 제의(祭意) 제사의 의미
제78 실지(實知) 지식의 근원을 밝히다
제79 지실(知實) 지식의 실제
제80 정현(定賢) 현인의 표준을 확정하다
제81 정설(正說) 올바른 주장
제82 서해(書解) 서적의 이해
제83 안서(案書) 여러 서적을 대조하다
제84 대작(對作) 본서의 저작 목적을 밝히다
제85 자기(自紀) 진실만을 기록하다

도서소개

인문플러스 동양고전100선 시리즈. ‘논형’은 ‘평론의 저울’을 가리키는 말이다. 저자 왕충은 『논형』을 저울로 삼아 세상의 시비와 진위에 대한 표준을 가늠하고자 했다. 자그마치 30여 년에 걸친 지난한 작업이었으며, 분량도 20여 만 자에 이른다. 속된 유가 및 제자백가의 주장에 대한 긍정과 반박은 물론, 인간의 수명과 생사, 귀신의 실체, 서적의 산일, 자연과 천체, 숙명론 등 정치, 사회, 문화의 제반 문제에 대해 실증적이고 합리적인 비판을 가하고 있다.
올곧은 비판 정신 하나로 중국 고대 사상사에 우뚝 선 탁월한 이정표
『논형』의 저자 왕충은 한대의 사상가이자 철학자이다. 전한에서 후한으로 이어지던 왕충의 당시는 시대적 혼란기라고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세속에는 근거 없는 미신과 속설이 난무했으며, 경서를 읽는 유생과 학자들은 고대의 저술만 추앙하며 성인의 말을 맹신해 조금의 잘못도 없다고 여겼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왕충은 홀로 당시의 사회적 모순에 용기 있게 맞선 인물이다. 왕충은 한때 주군에서 공조(功曹) 벼슬을 지내기도 했지만, 여러 차례 장관의 잘못을 충간해도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그만두었다. 그는 견식이 천박한 유생들이 지나치게 서적의 장구에만 매달려 경전에 담긴 내용의 정수와 참뜻을 잃고 있다고 여겼다. 그리하여 세상과의 교유를 끊고 은거해 집 안의 문과 창문, 벽 곳곳에 붓과 도필(刀筆)을 놓아두고 『논형』을 저작했다. 제자백가의 학설을 포함해, 제국 질서하의 주류 사상과 관습에 대해서도 서슴없이 예리한 붓을 휘둘렀다. 집필에만 자그마치 30여 년이 걸린 외롭고도 지난한 작업이었으며, 그 분량도 20여 만 자에 이른다.
당대를 풍미한 관습적 사고와 편견의 허구를 날렵한 붓끝으로 파헤치고 있는 『논형』은 이렇듯 왕충의 고절한 사고를 통해 얻어진 산물로서, 그 비판 정신의 측면에서 전한시대 사마천(司馬遷)의 역작 『사기(史記)』와 명말 이지(李贄)가 쓴 위대한 금서인 『분서(焚書)』에 비견할 만하다. 또한 『논형』은 유협(劉?)의 『문심조룡(文心雕龍)』에도 내용이 언급되어 있다. 『문심조룡』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필적하는 육조시대의 문학 이론 비평서로 일컬어지는 점을 고려한다면, 거기 언급된 사실 자체만으로도 『논형』이 뛰어난 가치를 인정받았음을 알 수 있다. 『논형』은 통치자의 논리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오랫동안 ‘사악한 책’으로 몰려 배포가 금지되었고, 한때 오직 필사본으로만 은밀히 전해져 내려오기도 했지만,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시대가 흐를수록 더욱 빛을 발하고 있다.

엉터리 문장과 터무니없는 논리에 반대한다!
『논형』은 모두 30권 85편이다. 제목만 전해지는 제44편 「초치」를 제외하면 실제 편 수는 84편이다. 『논형』이 다루는 문제는 정치, 사회, 문화, 역사, 과학의 전 분야를 망라하고 있다. 인간의 숙명 문제를 다루는가 하면, 귀신의 실체를 논리적으로 따졌고, 우주만물의 이치를 논하는가 하면, 제가(諸家)의 학설에 대해서도 조목조목 반박했다.
공자에 대한 반박으로 익히 알려진 「문공」에서는 주로 『논어』 구절을 예로 들어, 비록 성현의 말과 문장일지라도 서로 맞지 않는 부분이 많고, 그 문장 전후에도 서로 모순되는 논리가 많다는 점을 실증했다. 「비한」에서는 법령만 숭상하고 도덕을 경시하는 한비자의 설법에 대해 반론했으며, 「자맹」에서는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는 맹자를 신랄히 비판하고 있다. 또한 토목공사나 이전, 장례, 제사, 혼례 등에 드러난 민간의 미신이 터무니없음을 밝히고,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재앙과 이변 현상이 하늘이 내리는 특별한 징조가 아니라 절기에 따른 자연스런 변화라는 점도 논했다.
『논형』이 다루는 주제는 이처럼 광범하지만, 그 안을 관통하는 이치는 단 하나다. 어떠한 주장이든 반드시 그 근거가 합리적인지를 먼저 따져야 한다는 사실이다. 왕충은 이렇듯 『논형』 전편을 통해 시비를 판단하고 변별하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되풀이하며 강조하고 있다.

정밀한 저울처럼, 오직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논한다!
인문플러스 동양고전100선을 통해 출간된 『논형』은 국내 최초의 완역이다. 원래의 고사가 지나치게 생략된 구절을 비롯해, 인용구의 원문과 해설 차이가 있는 부분, 동일한 인용구일지라도 시대에 따라 달리 해석되는 부분, 인용구의 원문을 보충해 밝히지 않으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나 다르게 인용된 부분 등을 대조해 본뜻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보충했다.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중국과 일본, 타이완에서 발간된 『논형』 해석서를 총망라해 잘못 전사(轉寫)된 오자와 탈자를 바로잡고 별도의 『논형교감(論衡校勘)』으로 발간하는 성과까지 이루어냈다.
왕충은 『논형』의 자서(自敍)에 해당하는 84편 「대작」에서 이 책의 저작 목적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세속의 의혹을 해석하고, 시비를 분간하는 이치를 밝히고, 후진들로 하여금 옳고 그름을 분명하게 깨닫게 했다. …… 옳은 일이 도리어 잘못으로 바뀌고, 거짓이 도리어 진실로 변하는 형국을 바로잡기 위해 사실을 논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 『논형』 전편에 걸쳐 공자가 『춘추』를 저작했을 때의 정신을 여러 차례 언급하기도 한다. 즉 아무리 작은 선일지라도 칭찬하고, 아무리 작은 악일지라도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