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백 리를 기다리는 말

백 리를 기다리는 말

  • 박해람
  • |
  • 민음사
  • |
  • 2015-03-20 출간
  • |
  • 160페이지
  • |
  • ISBN 9788937408281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9,000원

즉시할인가

8,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8,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꽃 핀다 적고 꽃 진다 노래하는
역설의 풍경과 봄날의 진실

죽음의 빛으로 생의 이면을 비추는 박해람 시인이
9년 만에 선보이는 두 번째 시집

“이미지의 돌연한 결합과 통사의 생산적 혼란이 속출하고,
인간과 자연이 기이하게 한 몸이 되는 이종교배의 현장” -이영광(시인)

정교한 관찰력과 견고한 묘사력으로 정평 난 시인 박해람의 두 번째 시집 『백 리를 기다리는 말』이 민음의 시로 출간되었다. 첫 시집 『낡은 침대의 배후가 되어 가는 사내』가 삶의 다양한 오브제로 죽음에 대한 상상과 성찰을 표현했다면 『백 리를 기다리는 말』은 봄날의 풍경에 집중해 죽음이라는 주제를 드러낸다. ‘백 리를 기다리는 말’, ‘독설’, ‘피크닉 트레일러’ 등 3부로 구성, 모두 60편의 시를 담은 이번 시집은 만개한 꽃이 낙화하는 봄날의 풍경을 극도로 사실적이어서 오히려 거짓 같은 언어로 표현했다. 만물이 탄생하는 생명으로서의 봄이 아닌 절정을 지난 것들이 소멸하는 죽음으로서의 봄에 주목, 아름다운 봄날에 숨겨진 진실한 풍경을 특유의 묘사로 그려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풍경화와 추상화의 매력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박해람 시의 절정을 맛볼 수 있는 시집이다.

■봄, 죽음의 계절
박해람 시에서 봄은 독자적이다. 겨울 다음에 오는 것도 아니고 여름 앞에 오는 것도 아니다. 『백 리를 기다리는 말』에서 봄은 오직 꽃이 진다는 점에서만 의미를 지닌다. 눈물 같은 개화가 절정에 이른 때이기 때문에 봄인 계절, 살아 있는 것들이 자기의 생명을 끌어올릴 대로 끌어올려 그 정점에 이를 때 터져 버리기 때문에 봄인 계절, 결코 말릴 수 없는 개화들을 속절없이 지켜보아야 하기 때문에 봄인 계절. 생명의 이미지에서 죽음을 부르고 미(美)의 이미지에서 추(醜)를 발설하는 박해람의 시는, 눈에 보이는 ‘시작’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끝’을 보는 견자의 언어이자 피안의 문학이다.

모든 눈물은 소용돌이를 거쳐 나온다.
너무 추운 철에 핀 슬픔
다 마르면 뚝, 하고 떨어지는
가장 먼저 흘리는
꽃이라는 봄날의 눈물

-「봄날, 꽃이라는 눈물」에서

■암흑을 묘사하는 시
삶의 뒷면에는 죽음이 있다. 뒷면일 뿐이므로 삶과 죽음은 둘이 아니다. 둘은 동시에 존재하고, 그러므로 우리는 두 세계를 모두 살아야 한다. 한 발짝 살고 한 발짝 죽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시인이 이쪽을 보며 저쪽을 노래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벚꽃 나무의 고향은 이쪽의 봄이 아니라 저쪽의 겨울’ (「벚꽃 나무 주소」)이 되고, 박해람 시를 읽는 우리 또한 소생의 계절에서 일생의 끝을 보게 되는 시인의 눈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검정, 암흑에 대해 묘사하면서도 그것을 하나의 색깔로 바라보는 시인의 눈길은 삶을 있는 그대로 즐기는 긍정의 시선에 다름 아니다. 암흑의 핵심에는 절정의 빛이 있다는 것을 60편의 시가 말해 준다.

벚꽃 나무의 고향은
저쪽 겨울이다.
겉과 속의 모양이 서로 보이지 않는 것들
모두 두 개의 세상을 동시에 살고 있는 것들이다
봄에 휘날리는 저 벚꽃 눈발도
겨울 내내 얼려 두었던 벚꽃 나무의
수취불명의 주소들이다

-「벚꽃 나무 주소」에서

■작품 해설에서
『백 리를 기다리는 말』은 꽃이 만개하여 지는 계절을 담은 시집이다. 꽃이 무르익었기에 만춘(滿春)이되 꽃이 이미 다 졌기에 만춘(晩春)인, 어쩔 수 없이 피어나 허공에서 흔들리고 결국에는 분분히 떨어지는 이 지상의 모든 존재들, 죽음의 장 위에서만 찬란하게 빛나는 이 환한 날들이 충만하게 담겨 흔들린다. ? 박슬기(문학평론가)

■ 추천의 말
꽃과 나무와 벌 나비의 공방에 “바람”의 공장(工匠)이 산다. 누구도 돌보지 않는 낡은 자연과 더불어 그는 백 리 밖으로, 혹은 제 마음의 백 리 깊이로 물러나 있다. 몸피에 어울리지 않게 섬섬옥수를 쥔 이 ‘쟁이’는, 문명의 뒤켠에서 주워 모은 조수충어(鳥獸蟲魚)들을 지극정성으로 매만진다. 그래서 속절 무성한 현실의 백 리 허를, ‘늑대의 꼬리가 몸을 저어 가듯’ 오가며 무수히 바람의 붓질로 물들여 놓는다. 그가 낯익은 유추를 거부하므로 우리는 오래된 관념들이 더 오래된 사물들과 자리를 바꾸고, 인간과 자연이 기이하게 한 몸이 되는 이종교배의 현장을 보게 되는 것. 이 현란한 상상력의 비거리들 안에는 이미지의 돌연한 결합과 통사의 생산적 혼란이 속출한다. “몇 개의 단장이 지나간 흔적” 둘레에 가시 울을 치고, 위리안치 속에서 바깥의 모진 “악필의 문장”들을 견뎌야 하는 박해람 공방의 전언은 그러나, 심중하되 비근한 마음의 안부이다. ‘오십 리를 기다리다 오십 리를 마중 나가는’ 발걸음이 그러하고, 이편에선 ‘가는 길을 지우고’ 저편에선 ‘오는 길을 지워야’ 하는 쓰라린 단념 역시 그러하다. 이것은

목차

1부 백 리를 기다리는 말

흑점
적란운-가와바타 야스나리풍으로
단장(斷腸)
백 리를 기다리는 말
자살하는 악기
묘(猫)의 방식으로 집필
사탕처럼 천천히 녹는 여름
살(煞)-하루에 세 번 살이 있다. 길을 가리킬 때는 오른손에 쥐고 있던 몽둥이는 왼손으로 옮겨 잡고 오른손으로 길을 가리켜라
견족(犬足), 꽃
화무삼일홍(花無三日紅)
앙상한 서명-혜미에게
봄날, 꽃이라는 눈물
이름이 붙은 거리(坡州)-나혜석전(傳)
오르골
몽몽(夢夢)
울음
테이블
여행목(旅行木)

2부 독설

독설-지나간 다정함이란 곁의 어린 쓸쓸함만도 못하다 나는 내 독설에 기대어 견디는 중이다
척독삽입춘서(尺牘揷入春書)
살구나무 달력
병서(病書)
악필(惡筆)
배꽃을 불러 달을 본다
식목일
선풍기(禪風機)
침사 변 씨
물집
화풍여울
저울
괴로운 어둠
소름
발효의 귀
척독(尺牘)
흘리다 봄
구름 치어
창문을 눕히려 눈을 감는다

3부 피크닉 트레일러

입춘(立春)
메리 여왕이 보낸 장지(葬地)
예전 애인
왼쪽의 습관
피크닉 트레일러-벌판에 피크닉 트레일러 한 대가 나무에 묶여 있다.
나무는 벌판에 묶여 있은 지 오래, 저것들은 언제 사라진 피크닉들일까?
지난여름에 두고 온 일
육손이
꽃밭
나뭇잎이 떨어져서
폐광경(廢鑛景)
붉은 감자밭
나무 여자
화장(化粧)
누가 내 한기를 위해 다독을 덮어 줄 것인지
벚꽃 나무 주소
월하정인(月下情人)
망가진 구름
독설-눈과 귀는 한길을 왕래한다고 한다. 입은 지름길이고 먼저 건너간 말〔言〕
의 등에는 삽날이 찍혀 있다고 한다.

작품 해설
화농(化膿)의 계절에서 온 편지 _박슬기(문학평론가)

저자소개

저자 : 박해람
저자 박해람은 1968년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났다. 1998년 《문학사상》으로 등단했다. 시집 『낡은 침대의 배후가 되어 가는 사내』가 있으며 현재 ‘천몽’ 동인으로 놀고 있다.

도서소개

정교한 관찰력과 견고한 묘사력으로 정평 난 시인 박해람의 두 번째 시집 『백 리를 기다리는 말』. 이 책은 봄날의 풍경에 집중해 죽음이라는 주제를 드러낸다. ‘백 리를 기다리는 말’, ‘독설’, ‘피크닉 트레일러’ 등 3부로 구성, 모두 60편의 시를 담은 이번 시집은 만개한 꽃이 낙화하는 봄날의 풍경을 극도로 사실적이어서 오히려 거짓 같은 언어로 표현했다. 만물이 탄생하는 생명으로서의 봄이 아닌 절정을 지난 것들이 소멸하는 죽음으로서의 봄에 주목, 아름다운 봄날에 숨겨진 진실한 풍경을 특유의 묘사로 그려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풍경화와 추상화의 매력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박해람 시의 절정을 맛볼 수 있는 시집이다.
꽃 핀다 적고 꽃 진다 노래하는
역설의 풍경과 봄날의 진실

죽음의 빛으로 생의 이면을 비추는 박해람 시인이
9년 만에 선보이는 두 번째 시집

“이미지의 돌연한 결합과 통사의 생산적 혼란이 속출하고,
인간과 자연이 기이하게 한 몸이 되는 이종교배의 현장” -이영광(시인)

정교한 관찰력과 견고한 묘사력으로 정평 난 시인 박해람의 두 번째 시집 『백 리를 기다리는 말』이 민음의 시로 출간되었다. 첫 시집 『낡은 침대의 배후가 되어 가는 사내』가 삶의 다양한 오브제로 죽음에 대한 상상과 성찰을 표현했다면 『백 리를 기다리는 말』은 봄날의 풍경에 집중해 죽음이라는 주제를 드러낸다. ‘백 리를 기다리는 말’, ‘독설’, ‘피크닉 트레일러’ 등 3부로 구성, 모두 60편의 시를 담은 이번 시집은 만개한 꽃이 낙화하는 봄날의 풍경을 극도로 사실적이어서 오히려 거짓 같은 언어로 표현했다. 만물이 탄생하는 생명으로서의 봄이 아닌 절정을 지난 것들이 소멸하는 죽음으로서의 봄에 주목, 아름다운 봄날에 숨겨진 진실한 풍경을 특유의 묘사로 그려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풍경화와 추상화의 매력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박해람 시의 절정을 맛볼 수 있는 시집이다.

■봄, 죽음의 계절
박해람 시에서 봄은 독자적이다. 겨울 다음에 오는 것도 아니고 여름 앞에 오는 것도 아니다. 『백 리를 기다리는 말』에서 봄은 오직 꽃이 진다는 점에서만 의미를 지닌다. 눈물 같은 개화가 절정에 이른 때이기 때문에 봄인 계절, 살아 있는 것들이 자기의 생명을 끌어올릴 대로 끌어올려 그 정점에 이를 때 터져 버리기 때문에 봄인 계절, 결코 말릴 수 없는 개화들을 속절없이 지켜보아야 하기 때문에 봄인 계절. 생명의 이미지에서 죽음을 부르고 미(美)의 이미지에서 추(醜)를 발설하는 박해람의 시는, 눈에 보이는 ‘시작’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끝’을 보는 견자의 언어이자 피안의 문학이다.

모든 눈물은 소용돌이를 거쳐 나온다.
너무 추운 철에 핀 슬픔
다 마르면 뚝, 하고 떨어지는
가장 먼저 흘리는
꽃이라는 봄날의 눈물

-「봄날, 꽃이라는 눈물」에서

■암흑을 묘사하는 시
삶의 뒷면에는 죽음이 있다. 뒷면일 뿐이므로 삶과 죽음은 둘이 아니다. 둘은 동시에 존재하고, 그러므로 우리는 두 세계를 모두 살아야 한다. 한 발짝 살고 한 발짝 죽고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시인이 이쪽을 보며 저쪽을 노래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벚꽃 나무의 고향은 이쪽의 봄이 아니라 저쪽의 겨울’ (「벚꽃 나무 주소」)이 되고, 박해람 시를 읽는 우리 또한 소생의 계절에서 일생의 끝을 보게 되는 시인의 눈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검정, 암흑에 대해 묘사하면서도 그것을 하나의 색깔로 바라보는 시인의 눈길은 삶을 있는 그대로 즐기는 긍정의 시선에 다름 아니다. 암흑의 핵심에는 절정의 빛이 있다는 것을 60편의 시가 말해 준다.

벚꽃 나무의 고향은
저쪽 겨울이다.
겉과 속의 모양이 서로 보이지 않는 것들
모두 두 개의 세상을 동시에 살고 있는 것들이다
봄에 휘날리는 저 벚꽃 눈발도
겨울 내내 얼려 두었던 벚꽃 나무의
수취불명의 주소들이다

-「벚꽃 나무 주소」에서

■작품 해설에서
『백 리를 기다리는 말』은 꽃이 만개하여 지는 계절을 담은 시집이다. 꽃이 무르익었기에 만춘(滿春)이되 꽃이 이미 다 졌기에 만춘(晩春)인, 어쩔 수 없이 피어나 허공에서 흔들리고 결국에는 분분히 떨어지는 이 지상의 모든 존재들, 죽음의 장 위에서만 찬란하게 빛나는 이 환한 날들이 충만하게 담겨 흔들린다. ? 박슬기(문학평론가)

■ 추천의 말
꽃과 나무와 벌 나비의 공방에 “바람”의 공장(工匠)이 산다. 누구도 돌보지 않는 낡은 자연과 더불어 그는 백 리 밖으로, 혹은 제 마음의 백 리 깊이로 물러나 있다. 몸피에 어울리지 않게 섬섬옥수를 쥔 이 ‘쟁이’는, 문명의 뒤켠에서 주워 모은 조수충어(鳥獸蟲魚)들을 지극정성으로 매만진다. 그래서 속절 무성한 현실의 백 리 허를, ‘늑대의 꼬리가 몸을 저어 가듯’ 오가며 무수히 바람의 붓질로 물들여 놓는다. 그가 낯익은 유추를 거부하므로 우리는 오래된 관념들이 더 오래된 사물들과 자리를 바꾸고, 인간과 자연이 기이하게 한 몸이 되는 이종교배의 현장을 보게 되는 것. 이 현란한 상상력의 비거리들 안에는 이미지의 돌연한 결합과 통사의 생산적 혼란이 속출한다. “몇 개의 단장이 지나간 흔적” 둘레에 가시 울을 치고, 위리안치 속에서 바깥의 모진 “악필의 문장”들을 견뎌야 하는 박해람 공방의 전언은 그러나, 심중하되 비근한 마음의 안부이다. ‘오십 리를 기다리다 오십 리를 마중 나가는’ 발걸음이 그러하고, 이편에선 ‘가는 길을 지우고’ 저편에선 ‘오는 길을 지워야’ 하는 쓰라린 단념 역시 그러하다. 이것은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