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살맛 나는 한국인의 문화

살맛 나는 한국인의 문화

  • 정경조 , 정수현
  • |
  • 삼인
  • |
  • 2016-02-29 출간
  • |
  • 296페이지
  • |
  • ISBN 9788964361115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사람들의 삶은 사계절의 흐름 속에서 도처에 예정되어 있는 재앙을 피하기 위해 애쓰며 사는 반복적인 일상이다. 그러한 일상이 곧 문화다. 그래서 한국인의 문화 시리즈 중 세 번째 책 『살맛 나는 한국인의 문화』에는 한국인들의 살 판, 놀 판, 뛸 판의 모습을 담았다. 삶이라는 무대, ‘판’위에서 재미있는 삶을 살기 위해 애쓴 민초들이 엮어 낸 3막 20장의 연극인 셈이다. ―「머리말」에서

도서출판 삼인에서 이번에 출간된『살맛 나는 한국인의 문화』는 정경조, 정수현이 한국인의 문화에 대해 쓴 세 번째 책이다.『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2013)에서는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통해 한국 문화를 살펴보려고 시도했고,『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2014)에서는 한국인들의 의식주 생활을 통해 한국 문화를 자세히 들여다봤다. 2년 만에 새로 나온 이번 책의 제목은 ‘살맛 나는 한국인의 문화’다. ‘살맛’은 ‘세상을 살아가는 재미나 의욕’을 말한다. ‘살’이란 어근은 ‘살다’, ‘살아가다’에서 비롯된 말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의 연장인 인생, 즉 ‘삶’을 의미한다. 이번 책은 ‘살 판’, ‘놀 판’, ‘뛸 판’이라는 제목 아래 삶이라는 무대, ‘판’ 위에서 벌어지는 우리네 인생을 담았다.

신명 나는 한국인들의 살 판, 놀 판, 뛸 판!
이 책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설명하면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는 ‘신명’이다. 신명은 ‘흥겨운 신이나 멋’으로 정의되는 순우리말이다. 우리는 춤판이나 굿판에서 한(恨)을 풀기도 하고, 노동요를 부르며 일의 능률을 올리기도 하고, 놀이를 통한 공동체적 유대감으로 일상의 고단함을 이겨 내고 삶의 원동력을 찾기도 한다. 이렇게 신명은 한국인들의 현실 생활을 매우 역동적으로 만든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홍보할 때 자주 쓰는 표현이 ‘다이내믹 코리아(dynamic Korea)’다. 한국인이 한강의 기적을 이루어 내고 치열한 투쟁 끝에 민주주의를 달성할 수 있었던 바탕에는 바로 ‘신명’이 있었다.
신명은 우리 민족의 ‘뜨거운 마음’, 즉 열정(熱情)과도 통하는 면이 있다. 이는 ‘쿨(cool)’한 서양 문화와 대비되는 점이기도 하다. 박제가를 비롯한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한 가지 일에 미친 사람들을 높이 평가하면서 ‘미치지 않으면 미칠 수 없다(not crazy, not get it)’는 의미로 ‘불광불급(不狂不及)’이라는 사자성어를 즐겨 사용했다. 이 책에서는 벽(癖)이라고 하는, 미친 듯이 빠져드는 감정적 몰입 상황을 다룬다. 점잖고 근엄했던 선비들이 벽을 옹호한 까닭은 세상을 이끌어 가는 동력이 차가운 이성이 아니라 진정성과 열정을 가지고 목표를 향해 돌진하는 사람들의 집념이라는 것을, ‘세상에 미치지 않고 이룰 수 있는 큰일이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 함께 어울리고 나누는 한국의 공동체 문화
신명은 혼자 있을 때가 아니라 다 함께 어울릴 때 나기 마련이다. 이 책에서는 공연장에서 서양인에 비해 좀 더 어수선하고 소란스러운 한국인의 관람 태도가 우리의 독특한 공연 문화 전통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서양에서는 관객의 참여를 철저히 배제한 닫힌 공간, ‘무대’에서 공연이 이루어진다. 반면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공연자와 관객이 따로 없이 함께 어우러지는 열린 마당, 즉 ‘판’에서 공연이 펼쳐진다. 추임새도 이러한 ‘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판에서는 소리꾼을 북돋아 주는 고수(鼓手)의 추임새만이 아니라, 객석에서 “얼~쑤” 하는 구경꾼의 추임새도 중요하다. 2002년 월드컵 때 “대~한민국”을 외치던 붉은 악마의 함성 소리도 축구 선수들을 격려하는 하나의 추임새였다.
다 함께 어울려 신명을 내는 날로는 우리네 잔칫날도 있다. 새로운 사람을 사귀는 사교 목적이 큰 서양의 파티(party)와 달리, 잔치는 알고 지내는 사람들끼리 맛있는 음식을 같이 만들어 먹고 즐기는 자리다. 먹을거리를 챙겨 주는 넉넉한 손길은 그날 함께한 손님뿐 아니라, 그 집 식구들에게까지 미친다. 식구 수나 형편을 두루 고려하여 음식을 배분하고 적당한 양을 공평하게 싸서 잔치가 끝나고 돌아가는 손님 손에 들려 보낸다. 우리는 이렇게 즐거움은 나누어야 배가 되는 걸 알고 있는 민족이었다.
우리 조상들은 사람만이 아니라 자연에까지 나눔을 베풀었다.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는 감나무에서 붉게 익은 감을 딸 때도 감나무 꼭대기에 열린 감 하나는 따지 않고, ‘까치밥’이라고 불렀다. 겨울철에 배고픈 새가 먹을 수 있게 남겨 둔 것이다. 짚신도 듬성듬성 엮어 튼튼하지 않게 만들었는데, 벌레를 밟아서 죽이는 일이 생길까 봐 그랬다고 한다. 심지어 점심이나 새참을 먹을 때 첫술을 뜨고 “고수레” 하고 외치며 근방을 다스리는 귀신에게 먼저 인사를 드리고 농사가 풍년이 들게 해 달라고 기원하

목차

머리말

Ⅰ. 살 판
1. 장인
2. 신명
3. 벽
4. 춤
5. 판
6. 추임새
7. 까치밥

Ⅱ. 놀 판
8. 다방
9. 주막
10. 짜장면
11. 잔치
12. 도시락
13. 배달

Ⅲ. 뛸 판
14. 태권도
15. 씨름
16. 바둑
17. 활쏘기
18. 골프
19. 등산복
20. 대∼한민국

저자소개

저자 : 정경조
저자 정경조는 경희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고, 연세대학교 원주 캠퍼스에서 영문학 석사· 박사 과정을 공부했다. 2002년부터 교양영어 · 영문법· 토익· 토플을 강의했으며, 2011년부터 한국골프대학에 재직 중이다. 대한민국이 민주주의를 잉태하기 위해 몸부림치던 1980년대에 미국 지향적인 정치학을 공부하면서도, 대학원 석사· 박사 과정에서 영미 소설과 영시, 영미 어린이문학를 읽으면서도 항상 ‘한국인의 소멸’이라는 화두를 놓지 않았다. 함께 지은 책으로『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 『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가 있다.

저자 : 정수현
저자 정수현은 연세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하고, 호주 시드니대학교(The University of Sydney)에서 비교문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통번역 과정을 이수함으로써 한국 문화뿐 아니라 ‘다른 언어’,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혀 왔다. 1995년 호주 시드니 대학교 동아시아학부에서 한국문화 강의를 시작한 이후 지난 20여 년간 외국인들에게 주로 한국 문화 및 한국 문학을 가르쳐 왔다. 현재 연세대학교에서 한국문화론을 강의하며, ‘영어로 한국 문화 소개하기’, ‘한국어 교사 양성’ 등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 문화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바쁜 나날을 보내는 중이다. 글로벌 시대의 ‘한국 문화 교육 전문인’이기를 희망하는 그의 작업은 강의와 글쓰기를 통해 계속되고 있다. 함께 지은 책으로『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 『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가 있다.

도서소개

『살맛 나는 한국인의 문화』는 정경조, 정수현이 한국인의 문화에 대해 쓴 세 번째 책이다. ‘살맛’은 ‘세상을 살아가는 재미나 의욕’을 말한다. ‘살’이란 어근은 ‘살다’, ‘살아가다’에서 비롯된 말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의 연장인 인생, 즉 ‘삶’을 의미한다. 이번 책은 ‘살 판’, ‘놀 판’, ‘뛸 판’이라는 제목 아래 삶이라는 무대, ‘판’ 위에서 벌어지는 우리네 인생을 담았다.
“사람들의 삶은 사계절의 흐름 속에서 도처에 예정되어 있는 재앙을 피하기 위해 애쓰며 사는 반복적인 일상이다. 그러한 일상이 곧 문화다. 그래서 한국인의 문화 시리즈 중 세 번째 책 『살맛 나는 한국인의 문화』에는 한국인들의 살 판, 놀 판, 뛸 판의 모습을 담았다. 삶이라는 무대, ‘판’위에서 재미있는 삶을 살기 위해 애쓴 민초들이 엮어 낸 3막 20장의 연극인 셈이다. ―「머리말」에서

도서출판 삼인에서 이번에 출간된『살맛 나는 한국인의 문화』는 정경조, 정수현이 한국인의 문화에 대해 쓴 세 번째 책이다.『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2013)에서는 한국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통해 한국 문화를 살펴보려고 시도했고,『손맛으로 보는 한국인의 문화』(2014)에서는 한국인들의 의식주 생활을 통해 한국 문화를 자세히 들여다봤다. 2년 만에 새로 나온 이번 책의 제목은 ‘살맛 나는 한국인의 문화’다. ‘살맛’은 ‘세상을 살아가는 재미나 의욕’을 말한다. ‘살’이란 어근은 ‘살다’, ‘살아가다’에서 비롯된 말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사람들의 일상적인 생활의 연장인 인생, 즉 ‘삶’을 의미한다. 이번 책은 ‘살 판’, ‘놀 판’, ‘뛸 판’이라는 제목 아래 삶이라는 무대, ‘판’ 위에서 벌어지는 우리네 인생을 담았다.

신명 나는 한국인들의 살 판, 놀 판, 뛸 판!
이 책에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설명하면서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는 ‘신명’이다. 신명은 ‘흥겨운 신이나 멋’으로 정의되는 순우리말이다. 우리는 춤판이나 굿판에서 한(恨)을 풀기도 하고, 노동요를 부르며 일의 능률을 올리기도 하고, 놀이를 통한 공동체적 유대감으로 일상의 고단함을 이겨 내고 삶의 원동력을 찾기도 한다. 이렇게 신명은 한국인들의 현실 생활을 매우 역동적으로 만든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홍보할 때 자주 쓰는 표현이 ‘다이내믹 코리아(dynamic Korea)’다. 한국인이 한강의 기적을 이루어 내고 치열한 투쟁 끝에 민주주의를 달성할 수 있었던 바탕에는 바로 ‘신명’이 있었다.
신명은 우리 민족의 ‘뜨거운 마음’, 즉 열정(熱情)과도 통하는 면이 있다. 이는 ‘쿨(cool)’한 서양 문화와 대비되는 점이기도 하다. 박제가를 비롯한 조선 후기 실학자들은 한 가지 일에 미친 사람들을 높이 평가하면서 ‘미치지 않으면 미칠 수 없다(not crazy, not get it)’는 의미로 ‘불광불급(不狂不及)’이라는 사자성어를 즐겨 사용했다. 이 책에서는 벽(癖)이라고 하는, 미친 듯이 빠져드는 감정적 몰입 상황을 다룬다. 점잖고 근엄했던 선비들이 벽을 옹호한 까닭은 세상을 이끌어 가는 동력이 차가운 이성이 아니라 진정성과 열정을 가지고 목표를 향해 돌진하는 사람들의 집념이라는 것을, ‘세상에 미치지 않고 이룰 수 있는 큰일이란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 함께 어울리고 나누는 한국의 공동체 문화
신명은 혼자 있을 때가 아니라 다 함께 어울릴 때 나기 마련이다. 이 책에서는 공연장에서 서양인에 비해 좀 더 어수선하고 소란스러운 한국인의 관람 태도가 우리의 독특한 공연 문화 전통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 서양에서는 관객의 참여를 철저히 배제한 닫힌 공간, ‘무대’에서 공연이 이루어진다. 반면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공연자와 관객이 따로 없이 함께 어우러지는 열린 마당, 즉 ‘판’에서 공연이 펼쳐진다. 추임새도 이러한 ‘판’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판에서는 소리꾼을 북돋아 주는 고수(鼓手)의 추임새만이 아니라, 객석에서 “얼~쑤” 하는 구경꾼의 추임새도 중요하다. 2002년 월드컵 때 “대~한민국”을 외치던 붉은 악마의 함성 소리도 축구 선수들을 격려하는 하나의 추임새였다.
다 함께 어울려 신명을 내는 날로는 우리네 잔칫날도 있다. 새로운 사람을 사귀는 사교 목적이 큰 서양의 파티(party)와 달리, 잔치는 알고 지내는 사람들끼리 맛있는 음식을 같이 만들어 먹고 즐기는 자리다. 먹을거리를 챙겨 주는 넉넉한 손길은 그날 함께한 손님뿐 아니라, 그 집 식구들에게까지 미친다. 식구 수나 형편을 두루 고려하여 음식을 배분하고 적당한 양을 공평하게 싸서 잔치가 끝나고 돌아가는 손님 손에 들려 보낸다. 우리는 이렇게 즐거움은 나누어야 배가 되는 걸 알고 있는 민족이었다.
우리 조상들은 사람만이 아니라 자연에까지 나눔을 베풀었다. 우리 할머니, 할아버지는 감나무에서 붉게 익은 감을 딸 때도 감나무 꼭대기에 열린 감 하나는 따지 않고, ‘까치밥’이라고 불렀다. 겨울철에 배고픈 새가 먹을 수 있게 남겨 둔 것이다. 짚신도 듬성듬성 엮어 튼튼하지 않게 만들었는데, 벌레를 밟아서 죽이는 일이 생길까 봐 그랬다고 한다. 심지어 점심이나 새참을 먹을 때 첫술을 뜨고 “고수레” 하고 외치며 근방을 다스리는 귀신에게 먼저 인사를 드리고 농사가 풍년이 들게 해 달라고 기원하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