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교회적 실존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교회적 실존

  • 손규태
  • |
  • 대한기독교서회
  • |
  • 2014-09-30 출간
  • |
  • 464페이지
  • |
  • 152 X 225 mm
  • |
  • ISBN 9788951117763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1,000원

즉시할인가

18,9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9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서문 / 5

제1부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교회적 현실

1장 한국의 개신교회의 신학적 실존
1. 역사적 회상 / 19
2. 새로운 신학운동들의 도전 / 21
3. 1960?1970년대의 정치 신학적 문제들 / 23
4. 민중신학과 민중교회의 출현과 그 현주소 / 24
5. 교회성장론과 한국 교회 / 25
6.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 실존 / 27
7. 맺는말 / 32
2장 한국 개신교회의 현실과 미래
1. 들어가는 말 / 33
2. 한국 개신교의 현주소 / 34
3. 개신교의 성장론과 그 한계 / 39
4. 한국 교회의 신뢰성 상실 원인 / 42
5. 맺는말 / 45
3장 한국 개신교회의 신뢰성 위기
1. 개신교의 현주소 / 47
2. 한국 개신교에 대한 역사적 회고 / 51
3. 한국 개신교의 정치적(역동적) 사역의 위기 시작 / 55
4. 한국 개신교 신학의 변질과 교회의 변용 / 59
5. 한국 개신교의 신뢰성 회복의 과제들 / 75
6. 한국 개신교의 위기와 미래과제 / 83
7. 맺는말 / 88
4장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과제
1. 역사적 고찰 / 90
2. 장로교 신학사상의 역사적 공과(1) / 91
3. 장로교회 신학과 정신의 역사적 공과(2) / 93
4. 20세기 장로교 신학의 바른 과제를 제시한 칼 바르트의 신학 / 95
5. 한국 장로교회의 현실 / 99
6. 맺는말: 한국 장로교회의 신학적 과제 / 102
5장 한국 교회를 지배하고 있는 군사문화
1. 들어가는 말 / 105
2. 한국 교회의 군사문화의 양태들 / 106
1) 제도에서 / 106
2) 프로그램에서 / 109
3) 언어에서 / 110
3. 맺는말 / 112
6장 종교적 열광주의의 실체와 그 극복방안
1. 서론적 고찰 / 113
2. 종교개혁 당시 그리스도교 열광주의자들 / 115
3. 종교적 열광주의의 특성들 / 118
4. 한국 교회가 극복해야 할 종교적 열광주의 / 120

제2부 한국 개신교의 사회변혁운동

1장 초기 한국 개신교 민족운동의 이념적 지향성
1. 들어가는 말: 개신교 민족운동사 연구개괄 / 127
2. 일제하 다양한 종교집단들의 민족의식의 이념적 목표들 / 133
1) 유교정통주의의 민족의식(性理學派) / 134
2) 유교의 개혁파의 민족의식(實學派) / 136
3) 동학의 민족의식(농민들의 民族意識) / 138
4) 개신교의 민족운동(근대적 의미에서의 民族意識) / 141
3. 맺는말 / 144
2장 한국 개신교의 사회선교에 관한 연구
1. 개념 규정 / 149
2. 사회선교론의 전(前) 역사 / 152
3. 한국 교회의 사회선교론의 역사 / 155
4. 1960년대 이래 한국 교회의 사회선교운동 / 157
1) 사회선교운동을 추동한 조건들 / 157
2) 현대 사회선교운동의 신학적 배경 / 160
3) 산업전도와 산업선교 / 163
4) 사회선교운동의 기구적 발전 / 166
5) 사회선교의 프로그램 개괄 / 166
5. 맺는말: 현실과 전망 / 169
3장 한국 교회의 신보수주의의 사회적 효과들
1. 들어가는 말 / 178
2. 한국 교회의 보수주의의 역사 / 182
3. 한국 사회의 신보수주의의 등장과 그 세력들 / 187
4. 신보수주의의 종교적, 사회적 효과들 / 193
5. 맺는말 / 19

4장 한국 교회: 국가와 시민운동 사이에서 교회의 새로운 위치 모색
1. 역사적 성찰 / 199
2. 1987년 6월 8일 항쟁 이후의 국가와 교회관계 / 202
3. 국가와 교회 관계의 패러다임 / 205
4. 시민사회와 교회의 관계전망 / 207
5장 한국 민중신학의 교회론
1. 문제제기 / 210
2. 민중신학의 교회이해 / 214
3. 민중교회론의 새 지평들 / 222
6장 오늘날 한국에서 신학함이란 무엇인가
1. 교회사적 회상 / 226
2. 새로운 세계질서의 출현과 새로운 신학운동 / 229
3. 성서와 복음으로의 복귀 / 231
1) 정의의 실현으로서 신학하기 / 233
2) 평화실현으로서 신학하기 / 234
3) 교회갱신으로서 신학하기 / 235

제3부 한국 개신교와 세계교회 사이에서

1장 그리스도교 역사에 나타난 종교의 권력화 모델들
1. 들어가는 말 / 239
2. 국가와 종교의 종합(콘스탄티누스) / 240
3. 국가의 영토 확장정책과 선교정책의 종합(칼 대제) / 243
4. 교회와 십자군 전쟁(교황 그레고리 7세) / 246
5. 식민지 정복과 선교(콜럼버스) / 248
6. 반식민지와 선교(라스카사스와 지겐발크) / 251
7.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와 선교의 종합(미국 네오콘) / 255
8. 맺는말 / 258
2장 한국 교회의 본회퍼의 수용과 윤리적 판단
1. 역사적 배경들 / 260
2. 윤리적 판단의 기초로서의 그리스도 고백 / 265
3장 에큐메니칼 운동에서 정의의 문제
1. 서론적 고찰 / 271
2. 에큐메니칼 운동에서 전 단계에서 정의에 대한 논의 / 274
3. 에큐메니칼 운동 본 단계에서 정의에 대한 논의들 / 278
1) 책임사회론 / 278
2) 사회참여의 신학 / 279
3) 사회참여신학의 방법론 / 280
4. 에 큐메니칼 사회윤리에서 정의를 실천하기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들
/ 281
1) 반인종주의 프로그램 / 281
2) 경제적 착취반대 프로그램으로서 개발프로그램(CCPD) / 283
3) 정 의롭고, 참여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JPSS) / 284
4) 정 의, 평화, 창조질서의 보존(JPIC) / 287
5) 교 회의 여성들과의 연대 10년 프로그램 / 289
5. 맺는말 / 290
4장 탈 근대주의와 탈 식민주의 시대의 한국신학
1. 들어가는 말: 문제로서의 근대성 / 292
2. 신학적, 철학적 문제로서의 근대성 / 296
3. 포스트모더니즘 출현의 역사적 배경 / 299
4.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콜로니알리즘 / 304
5. 포스트모더니즘의 양면성 / 311
6. 맺 는말: 신학적 문제로서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콜로니알리즘 /
315
5장 바르멘 신학선언 60주년을 맞이하여
1. 독일 개신교의 고백총회가 열리기까지 / 329
2. 바르멘 신학선언의 성립 과정 / 331
3. 독일 개신교의 현 상황에 대한 신학적 선언(전문) / 333
4. 바르멘 신학선언이 주는 교훈들 / 336
6장 마르틴 루터의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신자유주의 세계체제
1. 들어가는 말: 근대적 자유개념의 발전 / 340
2. 마르틴 루터의 그리스도인의 자유개념의 왜곡 / 343
3. 그리스도인의 자유의 정치신학적 재해석 / 347
4. 맺는말: 신자유주의 세계체제에서 그리스도인의 자유 / 349

제4부 한반도 평화와 통일을 위한 개신교 운동들

1장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정세변화와 한반도의 평화
1. 들어가는 말 / 355
2. 동북아시아에서 한반도의 조건들 / 357
1) 한반도 평화의 내적 조건들 / 359
2) 한반도 평화의 외적 조건들: 동북아시아 국가들과의 협력 / 360
3. 동북아시아 평화공동체의 꿈: 동북아시아의 집 / 362
4. 한반도의 평화건설을 위한 그리스도인들의 사명 / 365
5. 맺는말 / 369
2장 민족의 화해와 대단결을 위한 교회의 과제
1. 들어가는 말: 당위성 / 371
2. 민족의 화해와 단결을 위한 실천방안들 / 374
3. 그리스도인들의 과제 / 378
3장 한반도 평화신학 정립을 위한 시안
1. 들어가는 말 / 387
2. 한반도의 상황분석 / 388
3. 해방신학, 민중신학, 평화신학 / 394
4. 한반도에서 평화신학 정립을 위한 논거들 / 398
4장 북한의 핵무장과 그리스도 교회
1. 들어가는 말 / 404
2. 남한 핵과 북한 핵 / 406
3. 핵무기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태도 / 412
4. 맺는말 / 419
5장 통일 후 남북한 교회의 형성에 대한 시안
1. 들어가는 말 / 421
2. 역사적 회고: 남북한 교회관계의 교회법적 문제들 / 425
1) 북한 교회의 역사적 도정 / 428
2) 남한 교회의 대북관계의 방향들 / 435
3. 통일 이후의 북한 교회의 모델에 대한 시안들 / 443
1) 일본 교단의 모델 / 444
2) 독일 교회의 모델 / 445
4. 맺는말 / 447
6장 한반도에서 그리스도교적 평화정책의 실현가능성
1. 오늘날 한반도의 현실 / 449
2. 국가안보정책에서 민족의

도서소개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교회적 실존』은 신학의 역할이 교회를 성서의 말씀에 따라 바로 세우고 그 과제를 바르게 수행하도록 이끄는 데 있다고 말한다. 또 예수의 성육신 사건은 이 세상이 직면한 문제들을 해명하고 개혁해 나가는 일이 바로 교회의 과제임을 가리킨다고 말한다.(6-7쪽) 이는 동시에 신학적 실존에 완전히 어긋나 버린 오늘날 한국 개신교회의 모습을 폭로하는 심판의 말이 될 것이다. 역사적 현실을 염두에 두지 않은 신학은 죽은 신학이라는 “민중신학”의 외침은 여전히 유효하다.(25쪽) 이 책은 한민족이 직면한 문제들과 이와 연계된 신자유주의 질서 및 군사적 패권주의 등의 세계 문제들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그 문제들을 둘러싼 한국 개신교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말한다. 이 책은 신학적 교회적 실존에 비추어 엄정한 시선으로 한국 개신교회의 과오를 진단하고 가감 없이 비판하며 또한 이로부터 미래의 회복 가능성을 말한다.
교회여, 묵은 땅을 갈아엎고 정의를 심어라!
- 한국 개신교회의 소생을 위한 외침
예수가 이 세상을 사랑하시고 구원하러 오셨다(요 3:16)는 것이 성서의 중심 메시지이고, 그것은 구체적으로 그가 이 지상에 하나님 나라를 건설하는 것이라면(막 1:15), 이 세상이 직면한 문제들을 해명하고 개혁해 나가는 것이 신학과 교회의 과제가 될 것이다. 그래서 필자는 사회윤리학자로서 세상사 일반의 문제와 함께 특히 우리 민족과 교회의 문제들을 탐구하고 그 문제들을 해명하는 데 주력한다. 이 책은, 우리가 직면한 가장 시급한 문제들, 교회개혁, 남북 분단의 극복과 통일에 의한 한반도의 평화실현, 정치적 민주화와 인권신장, 신자유주의적 세계경제체제 아래 직면한 경제문제 등을 교회적, 신학적 관점에서 해명한다. 이 책은 모순과 대결로 점철된 오늘날 한국 사회와 교회의 개혁에 주춧돌이 될 것이다.

출판사 리뷰
칼 바르트는 1933년 히틀러의 나치당 집권 이래 국가의 한 기관으로 전락한 독일 개신교회(제국교회, Reichskirche)에 맞서 탄생한 고백교회(Die Bekennede Kirche)의 주축으로 활동했다. 그는 교회가 성서의 말씀을 침묵시키고 권력집단, 금권집단의 자발적 포로가 된 상황에서 신학적 실존의 회복을 위한 투쟁을 시작했다. 그가 말하는 “신학적 실존”(Thologische Existenz)이란 “신의 말씀에 대한 충성과 함께 그 말씀의 선포를 위한 소명을 헛되게 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칼 바르트의 심정으로 손규태 교수의 책『한국 개신교의 신학적-교회적 실존』은 지금의 한국 개신교회를 향해 교회의 신학적 실존을 되찾기를 간절히 고한다.
오늘날 누구든 한국 교회, 특히 개신교회의 위기를 말한다. 이 위기는 급작스러운 것이 아니며 뿌리깊은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한국 개신교회의 대다수가 여전히 1세기 전 미국 선교사들에 의해 주입된 근본주의 신앙의 족쇄를 풀지 못한 채 맹목적인 친미, 반공, 반북적인 집단이 되었고 이와 한 쌍을 이루는 현상으로서 지극히 자본주의적인 논리에 따른 “교회성장론”의 망상에 사로잡혀 버렸다. 또 한국의 사회적 ? 민족적 문제에 대한 책임을 외면한 채 저세상에 몰두하면서도 현세의 물질적 풍요를 열망하고 과학기술의 진보를 신앙하는 심각한 모순에 빠져 있다. 이 모두로부터 오는 위기에 대한 교회의 대처는 그 뿌리의 근처에도 가닿지 못한 겉핥기 식일 뿐이다.
『한국 개신교의 신학적-교회적 실존』은 신학의 역할이 교회를 성서의 말씀에 따라 바로 세우고 그 과제를 바르게 수행하도록 이끄는 데 있다고 말한다. 또 예수의 성육신 사건은 이 세상이 직면한 문제들을 해명하고 개혁해 나가는 일이 바로 교회의 과제임을 가리킨다고 말한다.(6-7쪽) 이는 동시에 신학적 실존에 완전히 어긋나 버린 오늘날 한국 개신교회의 모습을 폭로하는 심판의 말이 될 것이다. 역사적 현실을 염두에 두지 않은 신학은 죽은 신학이라는 “민중신학”의 외침은 여전히 유효하다.(25쪽) 이 책은 한민족이 직면한 문제들과 이와 연계된 신자유주의 질서 및 군사적 패권주의 등의 세계 문제들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그 문제들을 둘러싼 한국 개신교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말한다. 이 책은 신학적 ? 교회적 실존에 비추어 엄정한 시선으로 한국 개신교회의 과오를 진단하고 가감 없이 비판하며 또한 이로부터 미래의 회복 가능성을 말한다.
이 책은 크게 네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현재 한국 개신교회가 처해 있는 왜곡된 상황을 일제 식민기와 남북 분단, 군사쿠데타 및 군사독재와 급속한 근대화에 따른 배금주의 현상 등과 연관해 논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과거 한국의 개신교회가 동참했던 사회변혁운동들을 검토하고 오늘날 신자유주의적 경제체제 아래 고난당하는 민중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룬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한국 개신교회와 세계교회의 상관성 문제를 논한다. 여기서는 19세기 서구 식민지 시대의 잘못된 선교신학과 오늘날 미국을 필두로 한 세계 세력의 정치적, 경제적 패권주의를 다루는 동시에 에큐메니칼 운동이 한국 신학과 교회에 미친 영향도 다룬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남북 분단이 악화되어 가는 상황에서 한국 개신교회가 남북의 화해와 통일 그리고 궁극적으로 평화의 정착을 위해 가야 할 길에 대해 논한다.
이 책은 신학적 실존을 거부하고 우상숭배 집단으로 추락한 한국 개신교회가 파괴의 위험을 감수할 것을 요청한다. 즉 교회의 신학적 실존을 되찾기 위한 창조적 파괴이다. 그렇기에 지금 우리는 독일 제국교회에 저항한 칼 바르트, 본회퍼의 심장을, 또 한국 개신교회의 근본주의 신앙에 도전한 김재준, 변선환의 심장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는 위인 숭배가 아닌 그들이 충성했던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말씀에 관한 것이다. 이 책은 한국 개신교회의 소생을 위한 소중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