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형은 전기, 전자제품을 비롯하여 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기 등의 수송기계와 반도체, 통신기기, 산업기계, 정밀기계 광학기기, 농업, 건축용 기기, 완구 등을 제조하는데 필수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금형이 응용되는 산업의 분야가 넓어짐에 따라 관련업무가 더욱 복잡, 정밀, 광범위해졌다.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고품질의 제품을 만들어내기 위한 기초 환경으로서의 프레스금형은 정통 기계분야로서 산업발달의 기초가 된다. 프레스금형은 특성상 정밀도를 요하고, 금형업체의 1/3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금형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프레스금형분야의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프레스금형설계기사 자격제도를 제정되었다.
사출금형설계기사는 단일공정 및 여러 단계의 공정에 맞게 형을 만드는 작업을 하기 위해 금형의 제작순서와 수량을 결정하고, 성형작업방법과 기계에 관한 지식을 기초로 하여 필요한 금형세트를 결정하게 된다. 프레스금형설계기사는 생산제품의 특성, 프레스의 특성 및 공정에 따라 모양을 찍어내고, 형을 만들어 압축하는데 사용되는 단일공정 및 여러 단계 공정의 금형을 설계하는 업무를 수행한다. 두 기사 모두 마찬가지로 생산기계에 새로 개발한 금형세트를 설치하여 시험해 보고, 재설계할 것인지 생산작업에 이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자격증 시험은 필기와 실기로 시행이 되며 1차 필기는 객관식 4지 택일형으로, 2차 실기는 작업형으로 시행된다. 필기는 총 4과목으로 금형설계, 기계제작법, 금속재료학, 정밀계측이며 과목마다 20문항씩 출제가 된다.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4과목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 되면 합격이며 과락이 있어 과목당 점수도 최소한 40점 이상이 되어야 한다.